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연학님의 답변
2018-09-17- 3
플라즈몬이란 금속 내부의 전자들이 동시에 진동하는 물질을 말한다(표면에서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유사 입자를 말한다)
표면 플라즈몬이란 주로 은, 금 등과 같은 금속 박막 표면에 존재하는 자유전자의 종적인 파동을 지칭한다.
외부에서 특정한 파장 및 운동량을 갖는 빛이 금속 박막에 입사되었을 때 빛이 가진 대부분의 에너지가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자유전자로 전달되어 표면 자유전자의 진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플라즈몬 공명 현상이라 함. -
답변
김병관님의 답변
2018-09-27- 0
표면 플라스몬(surface plasmon)은 TM편광으로 입사하는 광에 의해서 유전체와 금속의 경계면을 따라 존재하는 광자와 금속 표면의 고밀도 전하 분포에 의해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 의해, 금속 표면에 형성되는 근접장을 말합니다. (TM편광: Transverse Magnetic의 약자로 자기장의 진동방향이 입사면을 가로지른다(수직하다))
근접장의 편광 방향은 경계면에 수직인 TM 편광이고, 전파 길이가 길고 세기가 강한 국소 근접장의 성질 및 특유의 분산 현상과 공명 현상(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표면 플라스몬 공명)에 의해 나노 광학의 한 분야로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공명 현상을 이용하면 표면 플라스몬의 중첩과 상쇄로 반응감도를 비약적으로 올릴 수 있는 방법(~10,000배 이상)이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