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12
org.kosen.entty.User@65a933c8
한승범(hanbum11)
- 2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1번사진은 사진은 강 에서의 피로균열 그래프, 2번사진은 강 용접부에서 피로균열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일반 강에서보다 용접부에서 그래프 범위(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가 넓은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1번사진은 사진은 강 에서의 피로균열 그래프, 2번사진은 강 용접부에서 피로균열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일반 강에서보다 용접부에서 그래프 범위(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가 넓은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파괴역학
- 피로균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경진님의 답변
2019-01-15- 1
제가 아는 부분의 설계 실무적인 부분만을 아려 드릴려고 합니다.
1. 먼저 열처리에 대한 부분은 별도 입니다.
- 강의 피로균열은 기본적으로는 극한 설계의 개념으로 보면 합니다. 그리고 부여하는 안전율도 고려하면 합니다.
- 보통 주어지는 하중과 3.4* 10의 7승 정도가 내구성 기준으로 보는 시험을 하면 어느정도 알수 가 있고,
- 힘의 방향이 수직, 수평으로 받는지 . 추가로 충격하중이 있는지
- 참고로 두힘이 동시에 작용하면 견딜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용접은 아무리 잘해도 이음효율이 0.84 정도 수준이기에 당연한 것이 아닌가 봅니다. 물론 1이라고 하려면 나름대로 보강을 하면!
3. 힘의 균열은 히스테리 값에 따라 많은 변신도 있다고 봅니다.
4. 따라서 설계표준이 먼저 선행되면 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음면 합니다. -
답변
진현우님의 답변
2019-03-14- 0
Fatigue behavior of weldment is affected by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weld geometry, residual stress, and weld microstructure. Please refer to a Journal Article, “Fatigue Considerations in Welded Structure”, by Drew V. Nelson, SAE Transactions, Vol. 91, Section 3: 820689–821157 (1982), pp. 2384-2398. https://www.jstor.org/stable/44644258
용접은 특히 용접이전의 준비, 형상, 용접자의 수준, 가스순도, 작업장 환경 등의 관리철저와 용접시 발생하는 용융상태의 관리 등 이 제반 조건이 많으나, 사람이 하기에 역시 사람의 수준에 따라 너무 차이가 많이 납니다. 참고하시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