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6
org.kosen.entty.User@3782eb1c
김종수(kjskumal)
- 1
초등학생 때부터 탄소 즉 흑연은 층상구조라고 과학시간에 배웠습니다.
근데 graphene 분야를 공부하다보니 흑연이 전면적으로 고른 층상구조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membrane 특성만 봐도 2D 혁신물질인 graphene이 graphite보다 더 좋은데
Graphite는 graphene이 여러겹 덮인 층상 구조로 membrane역할을 더 잘했으면 잘했지 못할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추측하는 모델링으로 첨부파일 이미지처럼 Graphite가 grphene처럼 전면 x-y plane이 아닌 grain마다 옆으로도 누워있어 탄소 육각 그물망이 아닌 층상간 사이사이로 빠져나가기 떄문에 membrane특성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만 근거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관련해서 잘 나와있는 논문이 있을까요?
근데 graphene 분야를 공부하다보니 흑연이 전면적으로 고른 층상구조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membrane 특성만 봐도 2D 혁신물질인 graphene이 graphite보다 더 좋은데
Graphite는 graphene이 여러겹 덮인 층상 구조로 membrane역할을 더 잘했으면 잘했지 못할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추측하는 모델링으로 첨부파일 이미지처럼 Graphite가 grphene처럼 전면 x-y plane이 아닌 grain마다 옆으로도 누워있어 탄소 육각 그물망이 아닌 층상간 사이사이로 빠져나가기 떄문에 membrane특성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만 근거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관련해서 잘 나와있는 논문이 있을까요?
- Graphite
- 층상구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주남님의 답변
2021-11-01- 0
질문의 요지를 잘 모르겠네요. 일단 멤브레인 특성이라는 것은 필터링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그라핀으로 물 정화등의 필터링은 그래핀의 결함(탄소가 빠진곳)의 크기를 이용해서, 원자크기로 필터를 하는 형태입니다.
그라파이트의 경우, 층간거리를 이용하는 형태가 되는거라 그라핀과 이용하는 형태가 틀리기 때문에 단순히 그라핀이 그라파이트가 됐다고 멤브레인 성능이 좋아진다고 생각하기 힙듭니다 그리고 그라파이트의 층간은 반데르발스의 약간 힘으로 살짝 붙어 있는 느낌이라 층간 거리에 실제 사용하고자 하면 상당히 변화가 큽니다. 그리고, 그라파이트의 배열에 관해서는 어떻게 성장 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벌크 그라파이트로부터 용액 중에서 이온박리를 한다면 어떻게하든 랜덤하게 되겠지요. 또는 벌크 그라파이트를 그냥 갈아 엎는다면 그것또한 랜덤하게 되겠지요. 반대로 그걸 쭉 넓은 면적을 전부 배열을 일치시킨다면 그건 그걸로 네이처니 등재될 귀중한 발견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로 MoS2와 같이 다른 형탱의 경우 배열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