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증착된 몰리브덴 전극과 적혈구의 미세유체관 내의 상호작용

안녕하세요

미세유체관에서 적혈구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몰리브덴을 증착하여 전극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완충 용액(PBS)에 희석된 혈액이 미세관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몰리브덴 전극을 지나는 순간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허나 적혈구가 몰리브덴 전극 위를 지나는 순간 전극에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신호의 변화가 왜곡되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극에는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부착되는 현상은 교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제타 포텐셜, 몰리브덴의 표면 에너지, 몰리브덴의 산화 등의 가능성들을 고려하고 있지만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이렇게 조언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관련하여 추측되는 원인이나 경험에 대하여 내용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몰리브덴
  • 증착
  • 미세유체
  • 적혈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민준님의 답변

    저는 혈액을 줄기세포로 부터 만드는 일을 주로 해서 전극 신호에는 무지 하지만 

    혹시 적혈구만을 혈액에서 추출해서 사용하시나요?

    적혈구에는 핵이 없어서 electric pulse에 반응이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래 논문과 비슷한 실험을 계획하시고 계신지요?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13574/

    저는 혈액을 줄기세포로 부터 만드는 일을 주로 해서 전극 신호에는 무지 하지만 

    혹시 적혈구만을 혈액에서 추출해서 사용하시나요?

    적혈구에는 핵이 없어서 electric pulse에 반응이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래 논문과 비슷한 실험을 계획하시고 계신지요?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1357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