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광학에서의 흡수계수 및 비어-램버트 법칙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광학에서 흡수계수(alpha)를 구하려고 하는데


우선적으로 비어 램버트 법칙은 일반적으로 T=((1-R)^2 e^(-αl))이잖아요?


근데 이게 유도 과정을 생각해보면 이런 식으로 T=((1-R)^2 e^(-αl))/(1-R^2 e^(-2αl) ) 분모가 존재하지 않습니까?


저게 제가 알기로는 매질에 흡수가 많이 일어나는 경우 (αl>>1) 면 분모의 exp. 항을 무시할 수 있어서 첫번째 식으로 쓰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만약에 매질에 흡수가 매우 작은 (ex, α  ≒ 0) 경우라면 분모를 살려서 사용해야 하지 않나요?


고투과율 재질의 측정값으로 흡수계수를 구하다가 음수가 나오는 경우가 생겨서 여쭤봅니다.


오차 겠거니.. 하고 쓰레스홀드 두고 쓰긴 하는데 좀 더 정확한 값으로 구하고 싶어서..

  • 광학
  • 굴절률
  • 흡수계수
  • 투과율
  • 반사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