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 측정하는 곳?!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 측정하는 곳?!
리튬 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의 특성 평가 항목 중,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로 수치가 나타나지요.) 측정 의뢰 가능한 곳 아시는 분 계신가요? 가능한 대전 근처였으면 좋겠네요 ^^;;
자세히 보기- Gurley
- gas permeability
2010-12-06 유명현(mhryou)- 1
-
박막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박막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두께가 ~50nm, ~600nm인 PMMA film의 기계적 특성을 알고싶은데요 이전에 나노UTM으로 실험을 해보았는데 샘플을 고정시켰을때(필름 양쪽에 지지대로 고정) 생기는 wrinkle때문에 오차가 좀 크더라고요.. DMA로도 측정하려고 시도해보았는데 Tan d 피크(Tg)가 나오다가 film이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현상도 있고 노이즈도 심해 측정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spin coating으로 wafer에 film을 만들고 있는데 혹시 film을 떼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기기...
자세히 보기- 박막
- 기계적 특성
- mechanical
2010-12-06 진실로(jinsilo1st)- 1
-
투과율 측정 관련 질문드립니다.
투과율 측정 관련 질문드립니다.
고체 시료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분석 기계를 어떤 것을 써야 하며 sample을 만들때의 크기와 두께를 알고싶습니다. 액체의 경우 UV를 사용하면 수월하지만 고체이다보니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ED
- 봉지재
2010-12-06 맹일호(st9013)- 3
-
thermal base generator 공급 가능 업체 수배합니다.
thermal base generator 공급 가능 업체 수배합니다.
thermal base generator를 급하게 수배중입니다. 공급 가능한 업체를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thermal base generator
2010-12-06 오동현(dream91)- 0
-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만약 이와 관련된 자료가 있으시거나 자료의 위치를 알고 계시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alcohol
- intestinal flora
2010-12-05 유용규(abiho)- 1
-
T cell transplantation을 할려고하는데요~
T cell transplantation을 할려고하는데요~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제 면역관련하여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T cell을 맥스비드로 분리하고 CD-3/CD28 Ab로 activation하고난뒤 transplantation을 할생각입니다 이태까지 해본 경험도 없고 자료도 잘 못찾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시약이라던지 방법 protocol이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
자세히 보기- T cell
- transplantation
- method
2010-12-03 강민철(kmcknight)- 1
-
항체검사(lmmunoglobulin)
항체검사(lmmunoglobulin)
궁금한게 있어서 글 올립니다. 동물이나 사람에게서 혈액을 사용하여 항체 검사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혈액으로 부터 항체 검사를 하는 방법과 항체중 항체의 종류(중쇄(5종류), 경쇄(2종류))의 함량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아니면 기존에 조사된 문헌도 괜찮습니다. 면역학에는 문외한...질문이 많이 부족합니다. 혹 궁금하신거 있으면 글 달아주세요~
자세히 보기- 항체
- immunoglobulin
2010-12-02 이용화(zest14)- 1
-
LC/MS 시료 재용해 용매
LC/MS 시료 재용해 용매
LC/MS 시료 재용해 용매로 CHCL3, DMSO, MC 등을 사용해도 상관 없나요?? 아니면 미량이라도요, Mass Direct 로 분석할때도 사용가능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MS
2010-12-02 이미진(myjc7)- 1
-
SOFC 작동시 연료에 관한 질문 입니다.
SOFC 작동시 연료에 관한 질문 입니다.
SOFC에서 연료로 가습수소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EMFC의 경우 폴리머 전해질의 특성상 가습연료를 주입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SOFC의 경우 고체의 YSZ를 전해질로 사용하는데도 가습수소를 연료로 사용 하는것은 어떤이유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SOFC
- anode
- fuel
2010-12-02 윤종설(seori1004)- 2
-
protein 농축
protein 농축
제가 8KD protein을 농축하려고 하는데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 아 ! 그리고 volume은 25ml정도입니다. 우선 효율이 제일 중요하겠구요 , loss 정도는 낫고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는 농축 제품이 있을까요 ? 어떤 방법들을 이용하시나요 ?
자세히 보기- protein
- 농축
2010-12-02 성다래(ekfo87)- 3
-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번에는 ethyl vinyl ether랑 Mg(OAc)2를 이용해서 반응을 보내는데.. 반응에 계속 안가서 질문합니다. 논문에 보면 질소상태에서 반응 물질을 넣고 3일만 돌려주면 되는데... 모든 물질은 다 vacuum을 잡고 넣어 돌렸는데.. 반응이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혹시나 mercuric acetate가 수분, 공기에 민감한 시약인가요? 병에는 그런거 없어서 그냥 밖에서 사용중인데, 그런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자세히 보기- vinyl ether
2010-11-30 김윤태(ilovemisato)- 2
-
자외선 감응 염료
자외선 감응 염료
요즘 자외선 감응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염료나 안료등 물질에 대한 자료는 찾기 쉽지 않더군요... 저의 한계를 절감하며 이렇게 요청 글을 올립니다. 대충 들은 내용으로는 자외선을 받을시에 벤젠 고리가 끊겨 발색을 한다고 하더군요. 고수분들의 조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자외선
- 염료
2010-11-30 이남일(vortexen)- 1
-
6xHis이 metal chelation하는 원리 및 기타
6xHis이 metal chelation하는 원리 및 기타
급한 질문입니다. 논문 보다가 궁금해서..ㅠ 논문을 보다 보니 식물학 관련 논문에서 Proline이 metal chelator로써 작용을 한다. 라는 말은 보았습니다. 그런데 protein purification을 할때 쓰이는 6xHis은 Ni에 chelation하여서 쓰이는데 6xHis은 기타 다른 metal chelator로써는 안 쓰이나요? (기타 metal , Pb , Hg, Cd, etc)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금속이온센서 관련 전공하시는...
자세히 보기- 6xHis
- metal ion
- chelator
2010-11-29 한대영(gladiator2)- 0
-
knock out mouse를 구할려고 합니다
knock out mouse를 구할려고 합니다
toll-like receptor knock out BALB/c mouse를 구할려고 하는데요... 혹시 한국이나 외국계열 회사중에 파는 회사 아시는분 좀 가르쳐 주십시요. 일본 obs의 경우 273만원 정도 하더라구요. 좀 저렴한 가격에 살려고 하는데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TLR9
- knock out
- mouse
2010-11-29 최민영(mminn1982)- 0
-
Tc-1 tumor challenge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Tc-1 tumor challenge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Tc-1 cell에 HPV 16형의 L1 gene을 transfection하여 L1이 발현되는 Tc-1 stable cell line을 제작하였습니다. 이 cell을 가지고 C57BL/6 mice에 injection하여 tumor가 자라는 것을 보고 있는데요. L1이 발현되지 않는 normal Tc-1 cell보다 L1이 발현되는 stable cell을 injection한 그룹의 tumor 크기가 너무 작게 자라고 있습니다. 혹시 L1이 발현됨으로써 Tc-1에 발현되는 E6/E7의 양이 적어서...
자세히 보기- tc-1
- tumor
2010-11-29 허윤기(hyk0345)- 0
-
HIPIMS의 적용
HIPIMS의 적용
High Power Impulse Magnetron Sputtering(HIPIMS)에 대해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스퍼터링 장비에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Arc ion plating 방식의 PVD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sputtering
- AIP
2010-11-26 김형섭(gtool77)- 0
-
SCI SCI-E 차이에 대해서요..
SCI SCI-E 차이에 대해서요..
SCI와 SCI-E 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부탁합니다.. 사전적 의미 말고요 더 자세히요.. 논문을 읽고 쓰는 사람으로써 알아야 될꺼 같아서요.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
-
SCI 와 SCI-E 차이요..
SCI 와 SCI-E 차이요..
SCI와 SCI-E 의 차이에 대새서 자세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사전적 의미 말고 좀더 자세히요.. 논문을 읽고 기고 하는 사람으로써 알아야 될꺼 같은데..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
-
MTT assay에 관한 질문입니다.
MTT assay에 관한 질문입니다.
MTT에 대한 reference를 보면 cytotoxicity %에 대한 equation에서 570nm corrected for absorption at 650nm라고 언급되어 있는데요... viability test 할 때 단일 파장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파장과의 보정(?)된 파장을 이용하는 이유가 무언지요? 기본적인 발색반응은 쉽게 이해가 됩니다만 측정시 파장 사용에 대한 알기쉬운 원리를 설명해주셨으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WST를 사용할 때도 회사마다 440 or 450nm...
자세히 보기- MTT
- WST
2010-11-26 신동준(shinphd)- 3
-
SCI 와 SCI-E 차이 설명좀요..
SCI 와 SCI-E 차이 설명좀요..
SCI 와 SCI-E 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단순한 정의 이상으로요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
전체 17552개
-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 측정하는 곳?!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 측정하는 곳?!
리튬 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의 특성 평가 항목 중, gas permeability, (Gurley number로 수치가 나타나지요.) 측정 의뢰 가능한 곳 아시는 분 계신가요? 가능한 대전 근처였으면 좋겠네요 ^^;;
자세히 보기- Gurley
- gas permeability
2010-12-06 유명현(mhryou)- 1
-
박막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박막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두께가 ~50nm, ~600nm인 PMMA film의 기계적 특성을 알고싶은데요 이전에 나노UTM으로 실험을 해보았는데 샘플을 고정시켰을때(필름 양쪽에 지지대로 고정) 생기는 wrinkle때문에 오차가 좀 크더라고요.. DMA로도 측정하려고 시도해보았는데 Tan d 피크(Tg)가 나오다가 film이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현상도 있고 노이즈도 심해 측정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spin coating으로 wafer에 film을 만들고 있는데 혹시 film을 떼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기기...
자세히 보기- 박막
- 기계적 특성
- mechanical
2010-12-06 진실로(jinsilo1st)- 1
-
투과율 측정 관련 질문드립니다.
투과율 측정 관련 질문드립니다.
고체 시료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분석 기계를 어떤 것을 써야 하며 sample을 만들때의 크기와 두께를 알고싶습니다. 액체의 경우 UV를 사용하면 수월하지만 고체이다보니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ED
- 봉지재
2010-12-06 맹일호(st9013)- 3
-
thermal base generator 공급 가능 업체 수배합니다.
thermal base generator 공급 가능 업체 수배합니다.
thermal base generator를 급하게 수배중입니다. 공급 가능한 업체를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thermal base generator
2010-12-06 오동현(dream91)- 0
-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알코올(음주)과 intestinal flora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만약 이와 관련된 자료가 있으시거나 자료의 위치를 알고 계시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alcohol
- intestinal flora
2010-12-05 유용규(abiho)- 1
-
T cell transplantation을 할려고하는데요~
T cell transplantation을 할려고하는데요~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제 면역관련하여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T cell을 맥스비드로 분리하고 CD-3/CD28 Ab로 activation하고난뒤 transplantation을 할생각입니다 이태까지 해본 경험도 없고 자료도 잘 못찾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시약이라던지 방법 protocol이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
자세히 보기- T cell
- transplantation
- method
2010-12-03 강민철(kmcknight)- 1
-
항체검사(lmmunoglobulin)
항체검사(lmmunoglobulin)
궁금한게 있어서 글 올립니다. 동물이나 사람에게서 혈액을 사용하여 항체 검사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혈액으로 부터 항체 검사를 하는 방법과 항체중 항체의 종류(중쇄(5종류), 경쇄(2종류))의 함량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아니면 기존에 조사된 문헌도 괜찮습니다. 면역학에는 문외한...질문이 많이 부족합니다. 혹 궁금하신거 있으면 글 달아주세요~
자세히 보기- 항체
- immunoglobulin
2010-12-02 이용화(zest14)- 1
-
LC/MS 시료 재용해 용매
LC/MS 시료 재용해 용매
LC/MS 시료 재용해 용매로 CHCL3, DMSO, MC 등을 사용해도 상관 없나요?? 아니면 미량이라도요, Mass Direct 로 분석할때도 사용가능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MS
2010-12-02 이미진(myjc7)- 1
-
SOFC 작동시 연료에 관한 질문 입니다.
SOFC 작동시 연료에 관한 질문 입니다.
SOFC에서 연료로 가습수소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EMFC의 경우 폴리머 전해질의 특성상 가습연료를 주입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SOFC의 경우 고체의 YSZ를 전해질로 사용하는데도 가습수소를 연료로 사용 하는것은 어떤이유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SOFC
- anode
- fuel
2010-12-02 윤종설(seori1004)- 2
-
protein 농축
protein 농축
제가 8KD protein을 농축하려고 하는데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 아 ! 그리고 volume은 25ml정도입니다. 우선 효율이 제일 중요하겠구요 , loss 정도는 낫고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는 농축 제품이 있을까요 ? 어떤 방법들을 이용하시나요 ?
자세히 보기- protein
- 농축
2010-12-02 성다래(ekfo87)- 3
-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른 vinylation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번에는 ethyl vinyl ether랑 Mg(OAc)2를 이용해서 반응을 보내는데.. 반응에 계속 안가서 질문합니다. 논문에 보면 질소상태에서 반응 물질을 넣고 3일만 돌려주면 되는데... 모든 물질은 다 vacuum을 잡고 넣어 돌렸는데.. 반응이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혹시나 mercuric acetate가 수분, 공기에 민감한 시약인가요? 병에는 그런거 없어서 그냥 밖에서 사용중인데, 그런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자세히 보기- vinyl ether
2010-11-30 김윤태(ilovemisato)- 2
-
자외선 감응 염료
자외선 감응 염료
요즘 자외선 감응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염료나 안료등 물질에 대한 자료는 찾기 쉽지 않더군요... 저의 한계를 절감하며 이렇게 요청 글을 올립니다. 대충 들은 내용으로는 자외선을 받을시에 벤젠 고리가 끊겨 발색을 한다고 하더군요. 고수분들의 조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자외선
- 염료
2010-11-30 이남일(vortexen)- 1
-
6xHis이 metal chelation하는 원리 및 기타
6xHis이 metal chelation하는 원리 및 기타
급한 질문입니다. 논문 보다가 궁금해서..ㅠ 논문을 보다 보니 식물학 관련 논문에서 Proline이 metal chelator로써 작용을 한다. 라는 말은 보았습니다. 그런데 protein purification을 할때 쓰이는 6xHis은 Ni에 chelation하여서 쓰이는데 6xHis은 기타 다른 metal chelator로써는 안 쓰이나요? (기타 metal , Pb , Hg, Cd, etc)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금속이온센서 관련 전공하시는...
자세히 보기- 6xHis
- metal ion
- chelator
2010-11-29 한대영(gladiator2)- 0
-
knock out mouse를 구할려고 합니다
knock out mouse를 구할려고 합니다
toll-like receptor knock out BALB/c mouse를 구할려고 하는데요... 혹시 한국이나 외국계열 회사중에 파는 회사 아시는분 좀 가르쳐 주십시요. 일본 obs의 경우 273만원 정도 하더라구요. 좀 저렴한 가격에 살려고 하는데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TLR9
- knock out
- mouse
2010-11-29 최민영(mminn1982)- 0
-
Tc-1 tumor challenge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Tc-1 tumor challenge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Tc-1 cell에 HPV 16형의 L1 gene을 transfection하여 L1이 발현되는 Tc-1 stable cell line을 제작하였습니다. 이 cell을 가지고 C57BL/6 mice에 injection하여 tumor가 자라는 것을 보고 있는데요. L1이 발현되지 않는 normal Tc-1 cell보다 L1이 발현되는 stable cell을 injection한 그룹의 tumor 크기가 너무 작게 자라고 있습니다. 혹시 L1이 발현됨으로써 Tc-1에 발현되는 E6/E7의 양이 적어서...
자세히 보기- tc-1
- tumor
2010-11-29 허윤기(hyk0345)- 0
-
HIPIMS의 적용
HIPIMS의 적용
High Power Impulse Magnetron Sputtering(HIPIMS)에 대해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스퍼터링 장비에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Arc ion plating 방식의 PVD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sputtering
- AIP
2010-11-26 김형섭(gtool77)- 0
-
SCI SCI-E 차이에 대해서요..
SCI SCI-E 차이에 대해서요..
SCI와 SCI-E 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부탁합니다.. 사전적 의미 말고요 더 자세히요.. 논문을 읽고 쓰는 사람으로써 알아야 될꺼 같아서요.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
-
SCI 와 SCI-E 차이요..
SCI 와 SCI-E 차이요..
SCI와 SCI-E 의 차이에 대새서 자세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사전적 의미 말고 좀더 자세히요.. 논문을 읽고 기고 하는 사람으로써 알아야 될꺼 같은데..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
-
MTT assay에 관한 질문입니다.
MTT assay에 관한 질문입니다.
MTT에 대한 reference를 보면 cytotoxicity %에 대한 equation에서 570nm corrected for absorption at 650nm라고 언급되어 있는데요... viability test 할 때 단일 파장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파장과의 보정(?)된 파장을 이용하는 이유가 무언지요? 기본적인 발색반응은 쉽게 이해가 됩니다만 측정시 파장 사용에 대한 알기쉬운 원리를 설명해주셨으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WST를 사용할 때도 회사마다 440 or 450nm...
자세히 보기- MTT
- WST
2010-11-26 신동준(shinphd)- 3
-
SCI 와 SCI-E 차이 설명좀요..
SCI 와 SCI-E 차이 설명좀요..
SCI 와 SCI-E 의 차이에 대해서 자세히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단순한 정의 이상으로요
자세히 보기- SCI
2010-11-26 서기원(majimotai)-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