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be 의 전도성 관련 질문 있습니다.
tube 의 전도성 관련 질문 있습니다.
제가 AAO 에 ZnO 튜브를 만들었습니다. 템플레이트를 녹이지는 않았고요. 튜브의 전도성을 측정하고 싶은데요 러프하게요~ 위 아래로 전극을 올린다음에 측정한 후 튜브 개수로 나누어 줄까 하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나 좋은 생각있으시면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AAO
- ZnO
- Tube
2008-03-11 이원희(love212331)- 1
-
LCQ, LTQ, TSQ 에 대해서,,
LCQ, LTQ, TSQ 에 대해서,,
LCQ, LTQ, TSQ 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LC 나 Mass 분석 장비에 사용하는 용어 인데 정확한 용어 설명이 필요합니다. full name 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무리 찾아보려 해도 ,자료가 잘 없는것 같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Q
- LTQ
- TSQ
2008-03-10 이미진(myjc7)- 1
-
TFT(Thin Film Transistor) 의 이동도 및 정전용량 측정에 대해 문의드려요
TFT(Thin Film Transistor) 의 이동도 및 정전용량 측정에 대해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TFT 소자 측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전계효과 이동도 구하기 gm(전달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gm = (W/L)*Ci*u*Vd (Vd < Vdsat) 식을 보면 이동도와 정전용량이 변수인데, 이동도를 구하려면 정전용량을 알아야할거 같은데요. C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주로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매번 제작시마다 재연성이 떨어진다면 다시 측정...
자세히 보기- TFT
- MOSFET
- TRANSISTOR
2008-03-10 임유승(rim2000)- 3
-
mass balance
mass balance
mass balance를 잡으려고 합니다. 실험방법은 대략 고체시료를 물에섞은 다음 산처리를 하여 여과를 시킵니다. 이때 여과된 여액과 걸러진 잔여물을 ICP분석을 하는데... 이때 mass balance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난감합니다. 그리고 ICP분석을 하였는데 처음 시료상태의 원하는 물질의 ICP분석결과가 6%였는데 여과된 잔여물(폐기물)에 8%가 나왔습니다. 분석결과가 처음상태보다 줄어들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늘어날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mass balance
2008-03-10 유영삼(youthcp)- 0
-
- bulb type led lamp
2008-03-10 이종명(dark2006)- 1
-
- nep
2008-03-10 이종명(dark2006)- 3
-
MMP와 관련된 질병을 알고 싶습니다
MMP와 관련된 질병을 알고 싶습니다
collagenase(MMP-1,8,13)과 관련된 질병, gelatinase(MMP-2,9)과 관련된 질병, stromeltsin(MMP-10,11,12), mt-mmp와 관현된 질병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관련된 논문이나 자료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부족해서 그런지 정확한 자료를 찾기가 힘듭니다.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MMP-1의 주기능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MMP
2008-03-10 정윤환(ajcrash)- 1
-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의 차이점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의 차이점
화공에 대해서는 문외한 입니다.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급합니다. 혹 이와 관련된 논문이나 국내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 중 조언을 구할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연락처만이라도 가르쳐 주신다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제게는 너무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코센 가족 여러분들의 도움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꼭 좀 도와 주세요....
자세히 보기- Trickle flow
- Bubble flow
- Pulsed flow
2008-03-10 김이호(odyssee)- 0
-
금속을 Evaporation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해 증착할 경우 표면 형상이 다를까요?
금속을 Evaporation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해 증착할 경우 표면 형상이 다를까요?
금속을 Evaporation을 이용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하여 증착할 경우 표면의 상태가 다를까요?? 다르다면 어떤 쪽이 좋을지요.. 수고하세요
자세히 보기- evaporation
- sputter
2008-03-10 최새봄(ssaebomy)- 1
-
전자빔에 관하여
전자빔에 관하여
최근 고분자/반도체/세라믹 소재 개발 및 나노입자/나노구조 제조에 전자빔을 이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원리로 전자빔을 적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표면개질에도 이용한다고 들었는데 처리조건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마이크로웨이브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명쾌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electron beam
- microwave
2008-03-10 이선영(nararawood)- 2
-
수소연료전지 연료처리장치
수소연료전지 연료처리장치
수소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스팀리포머 원통형 천연가스 연료처리장치에 대해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스팀리포머와 연료처리장치에 관해 자세히 알기위해 볼만한 추천 논문이나 서적에 대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steam reforming
- reformer
- fuel cell
2008-03-10 우희천(crude82)- 3
-
입자의 탄력성
입자의 탄력성
안녕하십니까 키토산이라는 물질을 이용해서 입자를 제조하려고 합니다. 혹시 마이크로 단위의 입자를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할 때 입자의 탄력성을 평가하는 툴이 있을까 요?
자세히 보기- particles
- elasticity
2008-03-10 강명주(kmj0856)- 0
-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아직 생명과학대학 학부생인 학생입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아직 자세한 진로는 정하지 못했지만, 유전학이나 면역학 쪽으로 일단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대학원은 해외로 가는 것이 좋은지, 국내로 가는 것이 좋은지,아니면 미트나 디트 시험을 보고 기초과학을 하는 것이 더 좋은지 알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생태학을 하는 곳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는 갈 수 있는 길도 많지만 가기 쉬운 길도 없는 것 같아 참 애매합니다ㅠㅠ 그럼...
자세히 보기- study
2008-03-10 박시훈(solli)- 1
-
mRNA prep시
mRNA prep시
mRNA prep을 하고 cDNA를 합성하고 나니 purity가 1.5뿐이 안되서 proteinase를 처리하였습니다. 그런데 1.2로 purity가 떨어지더라구요. vector DNA를 뽑고 나서 proteinase K 처리할때는 purity가 좋아졌는데 cDNA가 잘못 합성되서 그런걸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자세히 보기- mRNA
- cDNA
- Proteinase K
2008-03-09 김현숙(healing80)- 0
-
yellow room
yellow room
반도체 공정 clean room안에 보면 yellow room이 있는데요 왜 yellow room 인가요? 또 yellow room에서 리소를 하는 이유는 뭔가요?
자세히 보기- yellow room
- clean room
- photolithography
2008-03-09 김정환(npngkjh)- 1
-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이 그렇게 낮은 이유는 뭘까요..?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이 그렇게 낮은 이유는 뭘까요..?
OLED같은 경우는 효율에 대한 것이 참 자세하게 분석되어있더군요.. (전력에 대한 효율이 아니라 quantum efficiency이긴 하지만요) 전자와 홀이 주입될 때의 효율이 현재 어떻고, singlet, triplet을 이용할 때의 효율이 어떻고, 빛이 바깥으로 나올 때 전반사때문에 잃는 효율이 얼마이고.. 이런식으로 각 단계별로 효율이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가 잘 분석되어있었는데.. 유기 태양전지 같은 경우는 왜 효율이 그렇게 낮은지 모르겠습니다. 공부를 약간 중구난방식으로 해서...
자세히 보기- organic
- solar cell
- photovoltaic
2008-03-09 김태훈(eosaeolus)- 2
-
백혈구 롤링???
백혈구 롤링???
논문에 있는것을 보면 thus increasing leukocyte rolling in venules. 백혈구 롤링이 증가되었다고 나와있는데요. 그게 무슨말인가요?????
자세히 보기- leukocyte rolling
2008-03-08 윤지혜(dream4242)- 1
-
mr16 led 램프
mr16 led 램프
MR16형 LED램프를 개발하는데 기존 할로겐 램프를 대체하려고합니다. 그런데,광시야각을 36~38도로 포커싱해야하는데,적절한 렌즈 설계가 어렵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업체를 소개해 주세요.
자세히 보기- mr16 type led lamp
2008-03-08 이종명(dark2006)- 1
-
- MR16 TYPE LED LAMP
2008-03-08 이종명(dark2006)- 1
-
- unisotropic
2008-03-08 신순철(sunfe)- 1
전체 17560개
-
tube 의 전도성 관련 질문 있습니다.
tube 의 전도성 관련 질문 있습니다.
제가 AAO 에 ZnO 튜브를 만들었습니다. 템플레이트를 녹이지는 않았고요. 튜브의 전도성을 측정하고 싶은데요 러프하게요~ 위 아래로 전극을 올린다음에 측정한 후 튜브 개수로 나누어 줄까 하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나 좋은 생각있으시면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AAO
- ZnO
- Tube
2008-03-11 이원희(love212331)- 1
-
LCQ, LTQ, TSQ 에 대해서,,
LCQ, LTQ, TSQ 에 대해서,,
LCQ, LTQ, TSQ 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LC 나 Mass 분석 장비에 사용하는 용어 인데 정확한 용어 설명이 필요합니다. full name 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무리 찾아보려 해도 ,자료가 잘 없는것 같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Q
- LTQ
- TSQ
2008-03-10 이미진(myjc7)- 1
-
TFT(Thin Film Transistor) 의 이동도 및 정전용량 측정에 대해 문의드려요
TFT(Thin Film Transistor) 의 이동도 및 정전용량 측정에 대해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TFT 소자 측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전계효과 이동도 구하기 gm(전달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gm = (W/L)*Ci*u*Vd (Vd < Vdsat) 식을 보면 이동도와 정전용량이 변수인데, 이동도를 구하려면 정전용량을 알아야할거 같은데요. C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주로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매번 제작시마다 재연성이 떨어진다면 다시 측정...
자세히 보기- TFT
- MOSFET
- TRANSISTOR
2008-03-10 임유승(rim2000)- 3
-
mass balance
mass balance
mass balance를 잡으려고 합니다. 실험방법은 대략 고체시료를 물에섞은 다음 산처리를 하여 여과를 시킵니다. 이때 여과된 여액과 걸러진 잔여물을 ICP분석을 하는데... 이때 mass balance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난감합니다. 그리고 ICP분석을 하였는데 처음 시료상태의 원하는 물질의 ICP분석결과가 6%였는데 여과된 잔여물(폐기물)에 8%가 나왔습니다. 분석결과가 처음상태보다 줄어들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늘어날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mass balance
2008-03-10 유영삼(youthcp)- 0
-
- bulb type led lamp
2008-03-10 이종명(dark2006)- 1
-
- nep
2008-03-10 이종명(dark2006)- 3
-
MMP와 관련된 질병을 알고 싶습니다
MMP와 관련된 질병을 알고 싶습니다
collagenase(MMP-1,8,13)과 관련된 질병, gelatinase(MMP-2,9)과 관련된 질병, stromeltsin(MMP-10,11,12), mt-mmp와 관현된 질병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관련된 논문이나 자료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부족해서 그런지 정확한 자료를 찾기가 힘듭니다.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MMP-1의 주기능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MMP
2008-03-10 정윤환(ajcrash)- 1
-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의 차이점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의 차이점
화공에 대해서는 문외한 입니다. Trickle flow 와 Bubble flow (또는 Pulsed flow) 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급합니다. 혹 이와 관련된 논문이나 국내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 중 조언을 구할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연락처만이라도 가르쳐 주신다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제게는 너무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코센 가족 여러분들의 도움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꼭 좀 도와 주세요....
자세히 보기- Trickle flow
- Bubble flow
- Pulsed flow
2008-03-10 김이호(odyssee)- 0
-
금속을 Evaporation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해 증착할 경우 표면 형상이 다를까요?
금속을 Evaporation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해 증착할 경우 표면 형상이 다를까요?
금속을 Evaporation을 이용할 경우와 Sputter를 이용하여 증착할 경우 표면의 상태가 다를까요?? 다르다면 어떤 쪽이 좋을지요.. 수고하세요
자세히 보기- evaporation
- sputter
2008-03-10 최새봄(ssaebomy)- 1
-
전자빔에 관하여
전자빔에 관하여
최근 고분자/반도체/세라믹 소재 개발 및 나노입자/나노구조 제조에 전자빔을 이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원리로 전자빔을 적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표면개질에도 이용한다고 들었는데 처리조건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마이크로웨이브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명쾌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electron beam
- microwave
2008-03-10 이선영(nararawood)- 2
-
수소연료전지 연료처리장치
수소연료전지 연료처리장치
수소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스팀리포머 원통형 천연가스 연료처리장치에 대해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스팀리포머와 연료처리장치에 관해 자세히 알기위해 볼만한 추천 논문이나 서적에 대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steam reforming
- reformer
- fuel cell
2008-03-10 우희천(crude82)- 3
-
입자의 탄력성
입자의 탄력성
안녕하십니까 키토산이라는 물질을 이용해서 입자를 제조하려고 합니다. 혹시 마이크로 단위의 입자를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할 때 입자의 탄력성을 평가하는 툴이 있을까 요?
자세히 보기- particles
- elasticity
2008-03-10 강명주(kmj0856)- 0
-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아직 생명과학대학 학부생인 학생입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려고 합니다. 아직 자세한 진로는 정하지 못했지만, 유전학이나 면역학 쪽으로 일단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대학원은 해외로 가는 것이 좋은지, 국내로 가는 것이 좋은지,아니면 미트나 디트 시험을 보고 기초과학을 하는 것이 더 좋은지 알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생태학을 하는 곳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명과학분야에서는 갈 수 있는 길도 많지만 가기 쉬운 길도 없는 것 같아 참 애매합니다ㅠㅠ 그럼...
자세히 보기- study
2008-03-10 박시훈(solli)- 1
-
mRNA prep시
mRNA prep시
mRNA prep을 하고 cDNA를 합성하고 나니 purity가 1.5뿐이 안되서 proteinase를 처리하였습니다. 그런데 1.2로 purity가 떨어지더라구요. vector DNA를 뽑고 나서 proteinase K 처리할때는 purity가 좋아졌는데 cDNA가 잘못 합성되서 그런걸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자세히 보기- mRNA
- cDNA
- Proteinase K
2008-03-09 김현숙(healing80)- 0
-
yellow room
yellow room
반도체 공정 clean room안에 보면 yellow room이 있는데요 왜 yellow room 인가요? 또 yellow room에서 리소를 하는 이유는 뭔가요?
자세히 보기- yellow room
- clean room
- photolithography
2008-03-09 김정환(npngkjh)- 1
-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이 그렇게 낮은 이유는 뭘까요..?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이 그렇게 낮은 이유는 뭘까요..?
OLED같은 경우는 효율에 대한 것이 참 자세하게 분석되어있더군요.. (전력에 대한 효율이 아니라 quantum efficiency이긴 하지만요) 전자와 홀이 주입될 때의 효율이 현재 어떻고, singlet, triplet을 이용할 때의 효율이 어떻고, 빛이 바깥으로 나올 때 전반사때문에 잃는 효율이 얼마이고.. 이런식으로 각 단계별로 효율이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가 잘 분석되어있었는데.. 유기 태양전지 같은 경우는 왜 효율이 그렇게 낮은지 모르겠습니다. 공부를 약간 중구난방식으로 해서...
자세히 보기- organic
- solar cell
- photovoltaic
2008-03-09 김태훈(eosaeolus)- 2
-
백혈구 롤링???
백혈구 롤링???
논문에 있는것을 보면 thus increasing leukocyte rolling in venules. 백혈구 롤링이 증가되었다고 나와있는데요. 그게 무슨말인가요?????
자세히 보기- leukocyte rolling
2008-03-08 윤지혜(dream4242)- 1
-
mr16 led 램프
mr16 led 램프
MR16형 LED램프를 개발하는데 기존 할로겐 램프를 대체하려고합니다. 그런데,광시야각을 36~38도로 포커싱해야하는데,적절한 렌즈 설계가 어렵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업체를 소개해 주세요.
자세히 보기- mr16 type led lamp
2008-03-08 이종명(dark2006)- 1
-
- MR16 TYPE LED LAMP
2008-03-08 이종명(dark2006)- 1
-
- unisotropic
2008-03-08 신순철(sunf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