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PEMFC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PEMFC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연료전지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 PEMFC에서 불소계, 부분불소계, 비불소계로 나눠서 장단점, 특성 및 차이점을 비교해서 보고싶은데 논문을 찾아도 원하는 자료가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자세히 보기
    • PEMFC
    2007-10-07 정병준(lanted)

  • 알루미늄 제거방법

    알루미늄 제거방법

    폐수중에 알루미늄(Al) 성분을 제거하거나 침전시킬려면 어떤방법 및 약품을 써야 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Al
    2007-10-06 김병렬(env21)

  • 인공혈관에 대해서

    인공혈관에 대해서

    인공혈관에 대해 발표를 해야되는데요 그중에서 특히 소구경 혈관에 대해서 발표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가진 자료들은 대부분 오래된 자료라서요 최근 개발 현황이 궁금합니다. 중점적으로 연구 중인 재료나 기술 등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또한 재료를 통해서 혈관을 만들 때 근육은 어떻게 처리를 해주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소구경 혈관은 노폐물이 싸여서 쉽게 막혀서 개발이 어렵다고 하는데요 혈관 내부에 친수성을 강하게 하면 비교적 지방 같은 것으로 구성된 노페물이 쉽게 싸이지 않게 되지 않...

    자세히 보기
    • artificial vessel
    • biomaterial
    2007-10-06

  • 빛의 성질에 대해서

    빛의 성질에 대해서

    빛의 성질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게 되었는데 전공분야도 아니고 학부때 빛의 응용에 대해서만 간단히 배워서 어떤 식으로 정리해야 할지 갑갑하네요. 빛의 질량은 얼마정도로 계산되는지 아인슈타인의 E=mc^2을 빛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와 연관된 개념을 10~15분 정도 발표할 분량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광학책과 물리화학 교제들을 조사한 결과 빛의 이중성에 대한 개념부터 제시하여야 순조롭게 설명을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매끄러운 연결을 위해 ...

    자세히 보기
    • chracteristics of light
    • E=mc2
    • mass of light
    2007-10-06 이재민(yomimaru)

  • 당뇨 쥐..

    당뇨 쥐..

    당뇨 쥐로 실험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한 시료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당뇨쥐의 간에서 'microsomal cytochrome p-450' 을 측정하는데요. 이 p-450 이 어떤 역활을 하기에 측정하는 건가요??

    자세히 보기
    • Diabetic rat
    • p-450
    2007-10-05 김윤아(dbsdk82)

  • Highly variable drug에 생동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Highly variable drug에 생동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highly variable drug의 정의가 within-subject variability(WSV)가 30%이상되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럼 within-subject variability(WSV)값은 어떻게 구하는지요? 이것을 다른 말로 intrasubject CV(%)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인 CV(%)값이 아닌듯 싶습니다. 급하게 찾다보니 잘 찾아지지가 않네요. 아시는분 답변해 주세요 생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다 알고 있으므로 이부분에 대해서만 답변해 주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기
    • bioequivalence
    • highly variable drug
    • CV(%)
    2007-10-05 허혜정(hjjungyi)

  •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resonator)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resonator)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의 정의와 원리, 그리고 부착 위치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resonator
    2007-10-05 이상호(haleera)

  • 불소도료에 대해서

    불소도료에 대해서

    4불화에틸렌계에 특수한(?) 다른 물질을 가교시켜 만든 도료를 알고싶습니다. 상온경화용으로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장 후 친수성을 보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해 자세히 적지 못했습니다. 수고스럽더라도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4불화에틸렌
    • 친수성도료
    • 상온경화용
    2007-10-05 김종범(maskkjb)

  • 아드레날린과 단백질분해효소

    아드레날린과 단백질분해효소

    학교 시험문제인데 답이 잘못나온건지 애들의 의견이 분분하네요. 선생님을 만날수가 없어서...(월요일에나..) 궁금한것도 있지만 자세하게도 알고싶어서 여기에 한번 올려봅니다. 그림은...(손으로쓸게요 스캐너가 없어서) (가)신경----------------------------------< *--------< a(심장) (나)신경------...

    자세히 보기
    • adrenalin
    2007-10-05 전용미(lain5356)

  • 비틀림 저울[mayer법]에 의한 박막두께 측정이 궁금해서 전문가 분께 여쭤봅니다.

    비틀림 저울[mayer법]에 의한 박막두께 측정이 궁금해서 전문가 분께 여쭤봅니다.

    질문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검색을 해보고, 위키도 봤는데, 쿨롱비틀림저울은 있는데, mayer법에 의한 뒤틀림저울 사용법과 원리내용이 부연 설명이 적어서 고수분들께 여쭤봅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중에 일본쪽 논문이 몇편있던데 교내 망으로는 저널확인이 안되더군요. 혹시 간단하게 아시는 분이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A fused silica microbalance for the study of vacuum deposition pro...

    자세히 보기
    • torsion balance
    • thin film analysis
    • mayer
    2007-10-04 이수웅(ecb2c)

  • 이온의 이동성에 대해서

    이온의 이동성에 대해서

    수용액 상태에서의 이온의 이동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찾는 실험을 했습니다. 실험 방법은 아크릴판에 물을 채운후 용액을 3방울씩 넣어서 어느쪽에 가깝게 앙금이 생성되는가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처음에 생각하는게 질량, 엔트로피, 반발력 + 인력 이렇게 3가지를 생각했습니다. - 이실험은 수용액에 전기를 통하지 않은 실험입니다. 그래서 실험을 한결과 pb(no3)2 + KI // ag(no3)2 + KI // Pb(no3)2 + NaBr // Ag(no3)2...

    자세히 보기
    • 이온
    • 이동
    2007-10-04 조병창(kressu)

  • NADP thioredoxin reductase assay법

    NADP thioredoxin reductase assay법

    안녕하세요.. 제가 enzyme 하나를 assay 하고자 합니다.. method를 찾지 못해 이렇게 도움 구합니다... 제가 assay 하고자 하는 enzyme은 NADP thioredoxin reductase 입니다. 전 bacteria에서 이 enzyme를 측정하고자 하나, 다른 조직이나, 식물, 동물에서 해 보신분의 protocol도 환영합니다.. 혹시, 실험을 해보신 분이 계시면, 도움좀 주세요.. 다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

    자세히 보기
    • NADP thioredoxin reductase
    • enzyme assay
    2007-10-04 김수연(biosy)

  • B16F10 에관하여.

    B16F10 에관하여.

    세포의 색이 점점 하얗게 변하고 멜라닌 생성능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조치를 취할려고 하는데 검색을 해보니 마우스에 injection 하라고 하시는 분들과 a-MSH 을 처리하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어느쪽이 좋은가요??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을 하려고 합니다.

    자세히 보기
    • B16F10
    • Cell
    2007-10-04 선종흠(humi09)

  • micromanufacturing 에 관한 집대성된 자료가 있나요?

    micromanufacturing 에 관한 집대성된 자료가 있나요?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가능한 상세한 자료로...

    자세히 보기
    • micromanufacturing
    2007-10-03 이종항(ljh111)

  • transcription factor와 target gene binding을 알고 싶어요

    transcription factor와 target gene binding을 알고 싶어요

    제가 보고자 하는 것은 AP-1(c-Jun과 c-fos complex)가 GATA6 gene과 binding하는지 알아 보고 싶습니다. 또 다른 target gene과 결합해서 expression시키는지 알아 보고 싶습니다. 우선 실험적인 것을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론적으로 binding의 가능성을 보고 싶은데요 NCBI에 들어가면 혹시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알고 계신다면 꼭 대답해 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 transcription factor
    • gene binding site
    2007-10-02 구경화(whakyung)

  •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은 어떤것이 있는지요? 산화물을 이용한 다층막을 증착할 때 어떤방법이 더 효율적인지요?(증착속도 및 재현성) 근본적인 차이가 있나요?

    자세히 보기
    • Radical Assisted Sputtering
    • Reactive Sputtering
    • pvd
    2007-10-02 이재활(jeahwal)

  • fixing 원리좀가르쳐주세요

    fixing 원리좀가르쳐주세요

    4% PFA로 조직이나 cell을 고정하는 원리좀 가르쳐주세요

    자세히 보기
    • 4% PFA
    • fix
    2007-10-02 최훈성(hschoi77)

  • Glass와 quartz의 차이점이 몬가요>?

    Glass와 quartz의 차이점이 몬가요>?

    물론 불순물의 정도의 차이 그런것들이 있겠지만 기판으로 쓸때 (제가 전기적 특성을 볼라 하는데요) 두가지를 구분해서 쓸 필요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glass
    • quartz

  •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제거할려면 ......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제거할려면 ......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발효를 시켜 메탄까스를 이용하고 나머지 쓰레기는 대부분 소각처리한다고 합니다. 소각해야 할 때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남은 찌꺼기(약 10% 정도)를 발효퇴비로 사용하고 싶어도 염분(Nacl)이 남아 있기 때문에 곤란하다고 합니다. Nacl(염화나트륨)을 분리하여 Na(나트륨)성분만 제거한다면 발효퇴비로 사용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알찬 답변을 ...

    자세히 보기
    • Nacl
    • Humic
    2007-10-01 조권호(jokwonho)

  • pin Solar cell 구조에 대해 질문좀 드리겟습니다

    pin Solar cell 구조에 대해 질문좀 드리겟습니다

    1. pin 구조에서 i-layer 두께가 최소 1마이크로미터는 되야한다고 하는데 .. 두께에 따른 흡수율 변화나 그런게 차이가 많이 나나요? 2.전극으로 Ag나 Al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지도 궁금하구요.. 3. ZnO 사용시 al doping 하는데.. ald 도핑말고는 방법이 없는지.. 스퍼터링 아주 얇게 하면 안되는 거겠죠.. 제가 워낙 몰라서.. * 저희는 LPCVD 로 a-si dep 을 하는데 1마이크로 올리려면 상당히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PE로 하...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pin
    • ZnO
    2007-10-01 권재환(dukekjh)

전체 17552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PEMFC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PEMFC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연료전지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 PEMFC에서 불소계, 부분불소계, 비불소계로 나눠서 장단점, 특성 및 차이점을 비교해서 보고싶은데 논문을 찾아도 원하는 자료가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자세히 보기
    • PEMFC
    2007-10-07 정병준(lanted)

  • 알루미늄 제거방법

    알루미늄 제거방법

    폐수중에 알루미늄(Al) 성분을 제거하거나 침전시킬려면 어떤방법 및 약품을 써야 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Al
    2007-10-06 김병렬(env21)

  • 인공혈관에 대해서

    인공혈관에 대해서

    인공혈관에 대해 발표를 해야되는데요 그중에서 특히 소구경 혈관에 대해서 발표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가진 자료들은 대부분 오래된 자료라서요 최근 개발 현황이 궁금합니다. 중점적으로 연구 중인 재료나 기술 등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또한 재료를 통해서 혈관을 만들 때 근육은 어떻게 처리를 해주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소구경 혈관은 노폐물이 싸여서 쉽게 막혀서 개발이 어렵다고 하는데요 혈관 내부에 친수성을 강하게 하면 비교적 지방 같은 것으로 구성된 노페물이 쉽게 싸이지 않게 되지 않...

    자세히 보기
    • artificial vessel
    • biomaterial
    2007-10-06

  • 빛의 성질에 대해서

    빛의 성질에 대해서

    빛의 성질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게 되었는데 전공분야도 아니고 학부때 빛의 응용에 대해서만 간단히 배워서 어떤 식으로 정리해야 할지 갑갑하네요. 빛의 질량은 얼마정도로 계산되는지 아인슈타인의 E=mc^2을 빛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와 연관된 개념을 10~15분 정도 발표할 분량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광학책과 물리화학 교제들을 조사한 결과 빛의 이중성에 대한 개념부터 제시하여야 순조롭게 설명을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매끄러운 연결을 위해 ...

    자세히 보기
    • chracteristics of light
    • E=mc2
    • mass of light
    2007-10-06 이재민(yomimaru)

  • 당뇨 쥐..

    당뇨 쥐..

    당뇨 쥐로 실험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한 시료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당뇨쥐의 간에서 'microsomal cytochrome p-450' 을 측정하는데요. 이 p-450 이 어떤 역활을 하기에 측정하는 건가요??

    자세히 보기
    • Diabetic rat
    • p-450
    2007-10-05 김윤아(dbsdk82)

  • Highly variable drug에 생동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Highly variable drug에 생동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highly variable drug의 정의가 within-subject variability(WSV)가 30%이상되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럼 within-subject variability(WSV)값은 어떻게 구하는지요? 이것을 다른 말로 intrasubject CV(%)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인 CV(%)값이 아닌듯 싶습니다. 급하게 찾다보니 잘 찾아지지가 않네요. 아시는분 답변해 주세요 생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다 알고 있으므로 이부분에 대해서만 답변해 주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기
    • bioequivalence
    • highly variable drug
    • CV(%)
    2007-10-05 허혜정(hjjungyi)

  •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resonator)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resonator)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공명기의 정의와 원리, 그리고 부착 위치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resonator
    2007-10-05 이상호(haleera)

  • 불소도료에 대해서

    불소도료에 대해서

    4불화에틸렌계에 특수한(?) 다른 물질을 가교시켜 만든 도료를 알고싶습니다. 상온경화용으로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장 후 친수성을 보입니다.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해 자세히 적지 못했습니다. 수고스럽더라도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4불화에틸렌
    • 친수성도료
    • 상온경화용
    2007-10-05 김종범(maskkjb)

  • 아드레날린과 단백질분해효소

    아드레날린과 단백질분해효소

    학교 시험문제인데 답이 잘못나온건지 애들의 의견이 분분하네요. 선생님을 만날수가 없어서...(월요일에나..) 궁금한것도 있지만 자세하게도 알고싶어서 여기에 한번 올려봅니다. 그림은...(손으로쓸게요 스캐너가 없어서) (가)신경----------------------------------< *--------< a(심장) (나)신경------...

    자세히 보기
    • adrenalin
    2007-10-05 전용미(lain5356)

  • 비틀림 저울[mayer법]에 의한 박막두께 측정이 궁금해서 전문가 분께 여쭤봅니다.

    비틀림 저울[mayer법]에 의한 박막두께 측정이 궁금해서 전문가 분께 여쭤봅니다.

    질문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검색을 해보고, 위키도 봤는데, 쿨롱비틀림저울은 있는데, mayer법에 의한 뒤틀림저울 사용법과 원리내용이 부연 설명이 적어서 고수분들께 여쭤봅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중에 일본쪽 논문이 몇편있던데 교내 망으로는 저널확인이 안되더군요. 혹시 간단하게 아시는 분이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A fused silica microbalance for the study of vacuum deposition pro...

    자세히 보기
    • torsion balance
    • thin film analysis
    • mayer
    2007-10-04 이수웅(ecb2c)

  • 이온의 이동성에 대해서

    이온의 이동성에 대해서

    수용액 상태에서의 이온의 이동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찾는 실험을 했습니다. 실험 방법은 아크릴판에 물을 채운후 용액을 3방울씩 넣어서 어느쪽에 가깝게 앙금이 생성되는가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처음에 생각하는게 질량, 엔트로피, 반발력 + 인력 이렇게 3가지를 생각했습니다. - 이실험은 수용액에 전기를 통하지 않은 실험입니다. 그래서 실험을 한결과 pb(no3)2 + KI // ag(no3)2 + KI // Pb(no3)2 + NaBr // Ag(no3)2...

    자세히 보기
    • 이온
    • 이동
    2007-10-04 조병창(kressu)

  • NADP thioredoxin reductase assay법

    NADP thioredoxin reductase assay법

    안녕하세요.. 제가 enzyme 하나를 assay 하고자 합니다.. method를 찾지 못해 이렇게 도움 구합니다... 제가 assay 하고자 하는 enzyme은 NADP thioredoxin reductase 입니다. 전 bacteria에서 이 enzyme를 측정하고자 하나, 다른 조직이나, 식물, 동물에서 해 보신분의 protocol도 환영합니다.. 혹시, 실험을 해보신 분이 계시면, 도움좀 주세요.. 다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

    자세히 보기
    • NADP thioredoxin reductase
    • enzyme assay
    2007-10-04 김수연(biosy)

  • B16F10 에관하여.

    B16F10 에관하여.

    세포의 색이 점점 하얗게 변하고 멜라닌 생성능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조치를 취할려고 하는데 검색을 해보니 마우스에 injection 하라고 하시는 분들과 a-MSH 을 처리하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어느쪽이 좋은가요??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을 하려고 합니다.

    자세히 보기
    • B16F10
    • Cell
    2007-10-04 선종흠(humi09)

  • micromanufacturing 에 관한 집대성된 자료가 있나요?

    micromanufacturing 에 관한 집대성된 자료가 있나요?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가능한 상세한 자료로...

    자세히 보기
    • micromanufacturing
    2007-10-03 이종항(ljh111)

  • transcription factor와 target gene binding을 알고 싶어요

    transcription factor와 target gene binding을 알고 싶어요

    제가 보고자 하는 것은 AP-1(c-Jun과 c-fos complex)가 GATA6 gene과 binding하는지 알아 보고 싶습니다. 또 다른 target gene과 결합해서 expression시키는지 알아 보고 싶습니다. 우선 실험적인 것을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론적으로 binding의 가능성을 보고 싶은데요 NCBI에 들어가면 혹시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알고 계신다면 꼭 대답해 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 transcription factor
    • gene binding site
    2007-10-02 구경화(whakyung)

  •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

    Radical Assisted Sputtering와 Reactive Sputtering 의 차이점은 어떤것이 있는지요? 산화물을 이용한 다층막을 증착할 때 어떤방법이 더 효율적인지요?(증착속도 및 재현성) 근본적인 차이가 있나요?

    자세히 보기
    • Radical Assisted Sputtering
    • Reactive Sputtering
    • pvd
    2007-10-02 이재활(jeahwal)

  • fixing 원리좀가르쳐주세요

    fixing 원리좀가르쳐주세요

    4% PFA로 조직이나 cell을 고정하는 원리좀 가르쳐주세요

    자세히 보기
    • 4% PFA
    • fix
    2007-10-02 최훈성(hschoi77)

  • Glass와 quartz의 차이점이 몬가요>?

    Glass와 quartz의 차이점이 몬가요>?

    물론 불순물의 정도의 차이 그런것들이 있겠지만 기판으로 쓸때 (제가 전기적 특성을 볼라 하는데요) 두가지를 구분해서 쓸 필요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glass
    • quartz

  •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제거할려면 ......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제거할려면 ......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발효를 시켜 메탄까스를 이용하고 나머지 쓰레기는 대부분 소각처리한다고 합니다. 소각해야 할 때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남은 찌꺼기(약 10% 정도)를 발효퇴비로 사용하고 싶어도 염분(Nacl)이 남아 있기 때문에 곤란하다고 합니다. Nacl(염화나트륨)을 분리하여 Na(나트륨)성분만 제거한다면 발효퇴비로 사용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알찬 답변을 ...

    자세히 보기
    • Nacl
    • Humic
    2007-10-01 조권호(jokwonho)

  • pin Solar cell 구조에 대해 질문좀 드리겟습니다

    pin Solar cell 구조에 대해 질문좀 드리겟습니다

    1. pin 구조에서 i-layer 두께가 최소 1마이크로미터는 되야한다고 하는데 .. 두께에 따른 흡수율 변화나 그런게 차이가 많이 나나요? 2.전극으로 Ag나 Al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지도 궁금하구요.. 3. ZnO 사용시 al doping 하는데.. ald 도핑말고는 방법이 없는지.. 스퍼터링 아주 얇게 하면 안되는 거겠죠.. 제가 워낙 몰라서.. * 저희는 LPCVD 로 a-si dep 을 하는데 1마이크로 올리려면 상당히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PE로 하...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pin
    • ZnO
    2007-10-01 권재환(dukekjh)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