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질문] Triton x-100 잔존량 구하는 법
[급질문] Triton x-100 잔존량 구하는 법
안녕하세요. 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조직을 갈아서 단백질을 얻으려고 하는데요. 단백질 lysis buffer 조성 중에 Triton x-100이 들어가는데요, 공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얻게되는 단백질에 남아있는 triton x-100의 양을 구하려고 합니다. “ 머크 인덱스“에 이러한 triton x-100 잔존량을 구하는 공식이 있다고 하는데 저희 실험실과 주변 실험실에도 머크 인덱스가 없네요. 혹시 trito...
자세히 보기- Protein lysis
- Triton x-100
- 잔존량 계산법
2008-09-26 이현정(endeavor821)- 2
-
solar cells 질문
solar cells 질문
논문을 보다가 Weighted AM1.5 reflectivities of bare, 이란 구가 나와서 AM1.5란 몬가요? 측정 조건같은데요 보통 reflectance 측정하는 툴인가요? 아님 소스? 어떤건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solar cells
2008-09-25 안정호(action0011)- 3
-
플라스틱 방열재 관련
플라스틱 방열재 관련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용도가 heat sink라고 하는데.. 아무래도 열전도도가 금속보다 열세라 적용범위가 적을 것 같은데..실제로 플라스틱을 써서 heat sink를 제조하는 업체가 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열전도성 플라스틱
- heat sink
2008-09-25 이병민(98polymer)- 3
-
HF 와 Al의 반응에대하여
HF 와 Al의 반응에대하여
HF와 Al이 반응하면 어떤 물질들이 생겨나나요. 반응식은 어떻게 표시하여야 할까요. 또한 이 반응에 따른 다양한 지식들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답변에대한 재 질문입니다. 답변에서 용융이란 열에 녹아있는상태에서의 반응이란 뜻입가요? 그렇다면 상온 고체상태에서의 반응도 같은지요? 다르다면 어떻게되는지요? 수고스럽지만 한번 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HF
- ALUMINIUM
2008-09-25 조종수(rheologyn)- 2
-
- led driving
2008-09-25 김희화(rlagmlghk)- 3
-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Acrobat Distiller
2008-09-25 정재완(twinsjjw)- 9
-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차이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차이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근본적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브라벤더의 체류시간이 더 길다, 혹은 양이 조금 들어간다, 스크류의 생김새가 달라서 믹싱되는것이 틀리다. 뭐 이것 빼곤 없나요??
자세히 보기- Twin screw extruder
2008-09-25 정은혜(cehjjang)- 3
-
high five 세포주의 유래??
high five 세포주의 유래??
안녕하세요. high five가 Trichoplusia ni 곤충세포에서 만들어진 세포주인건 아는데요, 혹시 더 자세하게 어떤 조직에서 유래된 것인지 아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cell
2008-09-25 박선영(pgene)- 2
-
솔라셀에서요 표면 damage
솔라셀에서요 표면 damage
solar cells 쪽 논문은 보고있는데요. 공부하다가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damage 란 단어가 계속나오는데 어떤 데미지를 말하는건지.. 표면 데미지를 말하는것 같은데 데미지와 효율과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또 as-cut 은 몬가요?^^
자세히 보기- solar cells
2008-09-25 안정호(action0011)- 4
-
상압플라즈마에 가스사용
상압플라즈마에 가스사용
플라즈만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한 학생입니다.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우선 감압플라즈마와 상압플라즈마의 차이점에 대해 확실히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상압플라즈마를 사용할때 주가스로 Ar을 사용하고 부가스로 산소나 질소를 사용하던데 감압에서는 산소 하나만으로도 사용하던데 상압플라즈마에서는 주가스(Ar)이 꼭필요한건가요? 여기서 Ar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감압이나 상압에서의 Ar가스의 역할은 같은건가요? (라디칼을 형성해 주는것이라고 알고있습니다만) 그리고 플라즈마의 각 가스의 역할...
자세히 보기- plasma
2008-09-25 이재훈(gogohoya82)- 5
-
세라믹 재료의 경우 sputtering 원리
세라믹 재료의 경우 sputtering 원리
금속 target의 경우 플라즈마 형성 후 substrate에 금속 이온이 붙으면서 증착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ceramic target의 경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로 SnO2 target을 사용했을 경우 초기에는 Sn 이온이 상대 적으로 많이 substrate에 impinge되어 Sn 상태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남 에 따라서 oxygen과 결합하여 sno2로 결정화되는 process가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궁금한 이유는 SnO...
자세히 보기- ceramic target
- sputtering
- mechanism
2008-09-25 양명(ymman)- 1
-
virus에 관한 논문을 보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virus에 관한 논문을 보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처음으로 virus에 관한 논문을 읽으면서 모르는게 많아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 1. virus factory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정확히 이해가 안갑니다. 2. virus를 western blot을 찍기 위해 mouse antiserum을 만들었다는데 antibody랑 뭐가 다른지 어떻게 만드는지 알고 싶습니다. 3. 실험 중에 virus의 ct value PCR을 통해서 값이 나오는데, 이게 무엇인지 모르겠고, 그 값의 의미도 모르겠습니다. 4. ORFa...
자세히 보기- virus factory
- ct value
- antiserum
2008-09-24 김정근(baramnamoo)- 1
-
Phage display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Phage display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Phage display 관련 일을 수행하면서 몇 가지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1. 제가 가지고 있는 protocol에서, M13KO7 helper phage를 infection 시킬 때 MOI에 관한 언급이 없어서 질문드리는데요..MOI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면 상당히 다양하더라구요.. 저는 MOI를 20 (Phage:E.coli=20:1)으로 해서 사용하는 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인지 궁금하구요. 2. 두 번째, 프로토콜 상의 오자가 있어서 확인하고 싶어서 ...
자세히 보기- phage display
2008-09-24 김성우(bbabak)- 1
-
TLC 에 의한 황산 발색에 관해서.
TLC 에 의한 황산 발색에 관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물질을 분리해서 각각의 Fraction을 bioassay를 통해서.. 활성을 물질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근데 TLC상에선 어느것일 활성물질인지는 발색을 통해서.. 그에 따른 Band의 색깔로 어느정도는.. 어느계통의 물질인지 알수 있다고 하는데요.. 제가 여러곳을 찾아 봤는지만 정확히 알수있는 것이 없어서 이렇게 올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빨강. 노랑 .검정등 다양한 색의 band 를 보았는데요 대략 어느쪽인지 알수 있는지 알...
자세히 보기- TLC
2008-09-24 장아름(sose15)- 5
-
사람 혈액내에 GST 단백질이 어느정도 있나요?
사람 혈액내에 GST 단백질이 어느정도 있나요?
사람 혈액내 존재하는 단백질 중 GST (glutathione s-transferase) 가 포함되어 있나요? 있다면 어느 정도 농도로 존재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GST
- human serum
2008-09-24 정재완(twinsjjw)- 1
-
compression molding시 기포 빼는 방법.
compression molding시 기포 빼는 방법.
compression molding을 하는데 기포가 너무 많이 생겨서 기계적 강도가 잘 나오지 않습니다. 기포를 빼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자세히 보기- compression molding
2008-09-24 정은혜(cehjjang)- 3
-
ACE 저해 활성 측정 방법에 관한 질문입니다~
ACE 저해 활성 측정 방법에 관한 질문입니다~
ACE 저해 활성 측정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실분~~?? 자주사용하는 Cushman&Cheung의 방법에서,, 기질(Hip-His-Ieu)와 ACE가 작용하여hippuric acid를 생성하여 2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데요~ 기질과 효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hippuric acid는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228nm 에서는 정확히 무엇이 검출되는 것인지?? 대답해 주세요~~ 또~ ACE 저해 활성 측정하는 Kit 추천해주시면 감솨~...
자세히 보기- ACE
2008-09-24 이우경(wooa85)- 1
-
mimic sf9 와 sf9의 차이가 뭔지요?
mimic sf9 와 sf9의 차이가 뭔지요?
안녕하세요. mimic sf9 와 sf9의 차이는 뭔지요? 어느 곤충에서 유래된 것인지 이름의 차이가 왜 있는지..등등 아시는대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자세히 보기- cell
2008-09-24 박선영(pgene)- 2
-
결정학에서요..
결정학에서요..
결정학에서 핵생성 속도와 결정성장 속도를 나누어서 생각하는데 거기에서 왜 핵생성속도와 결정성장속도가 다른 온도범위에서 나타나는지 알고 싶고 그리고 임계점의 크기가 결정성장속도가 큰 이유를 수식을 사용해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학부생이라서 이해가 잘 안되네요. 참고 사이트는 http://non-xtal.gsnu.ac.kr/product.htm 이고 그림도 올려놨어요 U = 결정성장속도 I = 핵생성속도
자세히 보기- crystal growth
2008-09-24 임영진(notice)- 0
-
MAPK signaling pathway관련 실험..
MAPK signaling pathway관련 실험..
안녕하세요. 저는 제가 가지고 있는 protease의 MAPK signaling pathway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raw264.7 cell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일단 제 protease는 endotoxin의 일종으로 inflammatory signaling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있습니다. 지금 열심히 paper work를 하고있습니다만. 그런데 제가 모르는게 많아서 그런지 어떤식으로 실험을 진행해 나가야하는지.. 어디서부터.. 뭐부터 시작을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ㅠ ...
자세히 보기- MAPK
2008-09-24 이경희(48364836)- 1
전체 17558개
-
[급질문] Triton x-100 잔존량 구하는 법
[급질문] Triton x-100 잔존량 구하는 법
안녕하세요. 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조직을 갈아서 단백질을 얻으려고 하는데요. 단백질 lysis buffer 조성 중에 Triton x-100이 들어가는데요, 공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얻게되는 단백질에 남아있는 triton x-100의 양을 구하려고 합니다. “ 머크 인덱스“에 이러한 triton x-100 잔존량을 구하는 공식이 있다고 하는데 저희 실험실과 주변 실험실에도 머크 인덱스가 없네요. 혹시 trito...
자세히 보기- Protein lysis
- Triton x-100
- 잔존량 계산법
2008-09-26 이현정(endeavor821)- 2
-
solar cells 질문
solar cells 질문
논문을 보다가 Weighted AM1.5 reflectivities of bare, 이란 구가 나와서 AM1.5란 몬가요? 측정 조건같은데요 보통 reflectance 측정하는 툴인가요? 아님 소스? 어떤건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solar cells
2008-09-25 안정호(action0011)- 3
-
플라스틱 방열재 관련
플라스틱 방열재 관련
열전도성 플라스틱의 용도가 heat sink라고 하는데.. 아무래도 열전도도가 금속보다 열세라 적용범위가 적을 것 같은데..실제로 플라스틱을 써서 heat sink를 제조하는 업체가 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열전도성 플라스틱
- heat sink
2008-09-25 이병민(98polymer)- 3
-
HF 와 Al의 반응에대하여
HF 와 Al의 반응에대하여
HF와 Al이 반응하면 어떤 물질들이 생겨나나요. 반응식은 어떻게 표시하여야 할까요. 또한 이 반응에 따른 다양한 지식들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답변에대한 재 질문입니다. 답변에서 용융이란 열에 녹아있는상태에서의 반응이란 뜻입가요? 그렇다면 상온 고체상태에서의 반응도 같은지요? 다르다면 어떻게되는지요? 수고스럽지만 한번 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HF
- ALUMINIUM
2008-09-25 조종수(rheologyn)- 2
-
- led driving
2008-09-25 김희화(rlagmlghk)- 3
-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Acrobat Distiller 7.0 영문버전 구합니다.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Acrobat Distiller
2008-09-25 정재완(twinsjjw)- 9
-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차이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차이
Twin screw extruder와 Brabender의 근본적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브라벤더의 체류시간이 더 길다, 혹은 양이 조금 들어간다, 스크류의 생김새가 달라서 믹싱되는것이 틀리다. 뭐 이것 빼곤 없나요??
자세히 보기- Twin screw extruder
2008-09-25 정은혜(cehjjang)- 3
-
high five 세포주의 유래??
high five 세포주의 유래??
안녕하세요. high five가 Trichoplusia ni 곤충세포에서 만들어진 세포주인건 아는데요, 혹시 더 자세하게 어떤 조직에서 유래된 것인지 아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cell
2008-09-25 박선영(pgene)- 2
-
솔라셀에서요 표면 damage
솔라셀에서요 표면 damage
solar cells 쪽 논문은 보고있는데요. 공부하다가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damage 란 단어가 계속나오는데 어떤 데미지를 말하는건지.. 표면 데미지를 말하는것 같은데 데미지와 효율과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또 as-cut 은 몬가요?^^
자세히 보기- solar cells
2008-09-25 안정호(action0011)- 4
-
상압플라즈마에 가스사용
상압플라즈마에 가스사용
플라즈만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한 학생입니다.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우선 감압플라즈마와 상압플라즈마의 차이점에 대해 확실히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상압플라즈마를 사용할때 주가스로 Ar을 사용하고 부가스로 산소나 질소를 사용하던데 감압에서는 산소 하나만으로도 사용하던데 상압플라즈마에서는 주가스(Ar)이 꼭필요한건가요? 여기서 Ar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감압이나 상압에서의 Ar가스의 역할은 같은건가요? (라디칼을 형성해 주는것이라고 알고있습니다만) 그리고 플라즈마의 각 가스의 역할...
자세히 보기- plasma
2008-09-25 이재훈(gogohoya82)- 5
-
세라믹 재료의 경우 sputtering 원리
세라믹 재료의 경우 sputtering 원리
금속 target의 경우 플라즈마 형성 후 substrate에 금속 이온이 붙으면서 증착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ceramic target의 경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로 SnO2 target을 사용했을 경우 초기에는 Sn 이온이 상대 적으로 많이 substrate에 impinge되어 Sn 상태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남 에 따라서 oxygen과 결합하여 sno2로 결정화되는 process가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궁금한 이유는 SnO...
자세히 보기- ceramic target
- sputtering
- mechanism
2008-09-25 양명(ymman)- 1
-
virus에 관한 논문을 보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virus에 관한 논문을 보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처음으로 virus에 관한 논문을 읽으면서 모르는게 많아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 1. virus factory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정확히 이해가 안갑니다. 2. virus를 western blot을 찍기 위해 mouse antiserum을 만들었다는데 antibody랑 뭐가 다른지 어떻게 만드는지 알고 싶습니다. 3. 실험 중에 virus의 ct value PCR을 통해서 값이 나오는데, 이게 무엇인지 모르겠고, 그 값의 의미도 모르겠습니다. 4. ORFa...
자세히 보기- virus factory
- ct value
- antiserum
2008-09-24 김정근(baramnamoo)- 1
-
Phage display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Phage display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Phage display 관련 일을 수행하면서 몇 가지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1. 제가 가지고 있는 protocol에서, M13KO7 helper phage를 infection 시킬 때 MOI에 관한 언급이 없어서 질문드리는데요..MOI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면 상당히 다양하더라구요.. 저는 MOI를 20 (Phage:E.coli=20:1)으로 해서 사용하는 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인지 궁금하구요. 2. 두 번째, 프로토콜 상의 오자가 있어서 확인하고 싶어서 ...
자세히 보기- phage display
2008-09-24 김성우(bbabak)- 1
-
TLC 에 의한 황산 발색에 관해서.
TLC 에 의한 황산 발색에 관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물질을 분리해서 각각의 Fraction을 bioassay를 통해서.. 활성을 물질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근데 TLC상에선 어느것일 활성물질인지는 발색을 통해서.. 그에 따른 Band의 색깔로 어느정도는.. 어느계통의 물질인지 알수 있다고 하는데요.. 제가 여러곳을 찾아 봤는지만 정확히 알수있는 것이 없어서 이렇게 올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빨강. 노랑 .검정등 다양한 색의 band 를 보았는데요 대략 어느쪽인지 알수 있는지 알...
자세히 보기- TLC
2008-09-24 장아름(sose15)- 5
-
사람 혈액내에 GST 단백질이 어느정도 있나요?
사람 혈액내에 GST 단백질이 어느정도 있나요?
사람 혈액내 존재하는 단백질 중 GST (glutathione s-transferase) 가 포함되어 있나요? 있다면 어느 정도 농도로 존재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GST
- human serum
2008-09-24 정재완(twinsjjw)- 1
-
compression molding시 기포 빼는 방법.
compression molding시 기포 빼는 방법.
compression molding을 하는데 기포가 너무 많이 생겨서 기계적 강도가 잘 나오지 않습니다. 기포를 빼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자세히 보기- compression molding
2008-09-24 정은혜(cehjjang)- 3
-
ACE 저해 활성 측정 방법에 관한 질문입니다~
ACE 저해 활성 측정 방법에 관한 질문입니다~
ACE 저해 활성 측정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실분~~?? 자주사용하는 Cushman&Cheung의 방법에서,, 기질(Hip-His-Ieu)와 ACE가 작용하여hippuric acid를 생성하여 2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데요~ 기질과 효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hippuric acid는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228nm 에서는 정확히 무엇이 검출되는 것인지?? 대답해 주세요~~ 또~ ACE 저해 활성 측정하는 Kit 추천해주시면 감솨~...
자세히 보기- ACE
2008-09-24 이우경(wooa85)- 1
-
mimic sf9 와 sf9의 차이가 뭔지요?
mimic sf9 와 sf9의 차이가 뭔지요?
안녕하세요. mimic sf9 와 sf9의 차이는 뭔지요? 어느 곤충에서 유래된 것인지 이름의 차이가 왜 있는지..등등 아시는대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자세히 보기- cell
2008-09-24 박선영(pgene)- 2
-
결정학에서요..
결정학에서요..
결정학에서 핵생성 속도와 결정성장 속도를 나누어서 생각하는데 거기에서 왜 핵생성속도와 결정성장속도가 다른 온도범위에서 나타나는지 알고 싶고 그리고 임계점의 크기가 결정성장속도가 큰 이유를 수식을 사용해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제가 학부생이라서 이해가 잘 안되네요. 참고 사이트는 http://non-xtal.gsnu.ac.kr/product.htm 이고 그림도 올려놨어요 U = 결정성장속도 I = 핵생성속도
자세히 보기- crystal growth
2008-09-24 임영진(notice)- 0
-
MAPK signaling pathway관련 실험..
MAPK signaling pathway관련 실험..
안녕하세요. 저는 제가 가지고 있는 protease의 MAPK signaling pathway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raw264.7 cell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일단 제 protease는 endotoxin의 일종으로 inflammatory signaling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있습니다. 지금 열심히 paper work를 하고있습니다만. 그런데 제가 모르는게 많아서 그런지 어떤식으로 실험을 진행해 나가야하는지.. 어디서부터.. 뭐부터 시작을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ㅠ ...
자세히 보기- MAPK
2008-09-24 이경희(4836483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