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중국 태양전지 모듈 (혹은 셀)의 시장 현황 및 전망

    중국 태양전지 모듈 (혹은 셀)의 시장 현황 및 전망

    태양전지 관련하여 중국 시장이 굉장이 빠르게 커져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검색엔진을 통해서 본 기사에 따르면 셀 생산량에서 일본을 넘어섰다고 하던데요.. 혹시 중국의 태양전지 모듈 생산량(설치량이 아님)에 대한 최근 시장현황 및 앞으로의 동향에 대한 자료가 있으신 분들 공유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2005년 자료는 있는데...2006년 이후에 대한 내용이 필요합니다. 특히 2010년이나 2020년까지 예측되어 있는 자료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히 보기
    • china
    • PV module
    • Solar module
    2007-11-05 김도완(kdw1288)

  • tubular type / cross-flow 한외여과막의 세정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tubular type / cross-flow 한외여과막의 세정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MBR 시스템을 운전중입니다.(tubular type, cross flow) flux down시 세정방법이 궁금합니다. 참고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mbr
    2007-11-05

  • PPG 데이터 분석에서,

    PPG 데이터 분석에서,

    PPG 논문을 읽던 중 궁금한 점이있는데요, 제가 읽는 논문은 당뇨병환자의 합병증중 신경병성 족부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PPG를 사용할 수 있다, 혈류량을 이용할 수도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알 수도 있다고 했는데요, “PPG로 측정한 정상인의 경우 손가락과 발가락의 온도차이가 -0.5도에서 8도로 널리 분포되어있는 반면, 신경병성 당뇨환자는 -0.1도부터 4.5도에 걸쳐 분포 되어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면 손가락과 발가락의 온도차이가 4.5도 이상이면 신...

    자세히 보기
    • PPG
    • 체온
    • 당뇨합병증
    2007-11-04 김지현(hbrg317)

  • 현제 시판되는 DSP 범용칩중 크기가 가장 작은게...

    현제 시판되는 DSP 범용칩중 크기가 가장 작은게...

    현제 시판중인 DSP칩중에 크기가 가장 작은게 얼마나 되나 알고 싶습니다 TI칩중 저전력 5000 시리즈중 7X7MM를 찾아봤는데 혹시 이것보다 더 작은게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DSP

  • 상태도그림에관해

    상태도그림에관해

    재료공학을 공부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수업시간에 배우다 궁금한것이 있어서 그러는데요.. 상태도 그림을 그릴때 곡선의 연장선이 2상이 존재하는곳에 들어가야 한다고 하시던데.. 왜 그래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상태도 곡선이 > 되는줄을 아는데.. 왜 < 방향으로는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자유에너지와 관계가 있다는데 ... 해도해도 잘 안되서

    자세히 보기
    • phase diagram
    2007-11-04 김종철(iozoi9)

  • Solar Cell용 Paste 관련 기술자료

    Solar Cell용 Paste 관련 기술자료

    저는 울산 박원형 이라고 합니다 키스티 울산 자문위원으로 일하고 있읍니다 www.n-barotech.co.kr 금번 신규 사업으로 솔라쎌용 실버 전극을 준비 하고 있읍니다 관련 자료 시장 또는 기술 자료 부탁 합니다 사업 잘 되면 한잔 사겠읍니다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silver paste
    2007-11-03 박원형(USNB733)

  •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의 promoter가 viral promoter라고 합니다.

    자세히 보기
    • GFP
    2007-11-03 박세아(ssehaa)

  • 포름알데히드 농도 맞추는 방법

    포름알데히드 농도 맞추는 방법

    포름알데히드 실험을 하는데 초기 농도 맞추는방법부터 속을 썩이네요. 5L 용기에 일정량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기화시켜서 농도를 맞추는데, 제조 할때 마다 농도가 조금씩 틀려집니다.(많게는 10ppm정도) 초기 농도오차를 줄일수 있는 방법이나 제조된 포름알데이드 기체를 판매하는 곳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HCHO
    2007-11-03 신종문(hiroe00)

  • PDMS-PDMS Bonding

    PDMS-PDMS Bonding

    안녕하십니까? 마이크로구조를 가지는 두 PDMS 블럭을 영구적으로 본딩하는 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논문들이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PDMS
    • Bonding
    2007-11-03 홍종인(kairduck)

  •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판매하는 업체을 알고 계시면 정보 부탁합니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판매하는 업체을 알고 계시면 정보 부탁합니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100 nm 이하)를 취급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아시는 분이 계시면 정보 부탁드립니다. 회사명과 연락처 담당자 등등 가능한 정보

    자세히 보기
    • vanadium dioxide
    • nano particles

  •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고싶은데요 색도가 높으면 탁도도 높아지나요? 비례관계인지요?

    자세히 보기
    • color
    2007-11-02 김병렬(env21)

  • 증착 장비 업체에 대해

    증착 장비 업체에 대해

    PET필름에 Al2O3 혹은 SiOx를 투명하게 증착하려고 합니다. 여기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내용이나, 유명한 장비업체에 대해 알려주세요. 증착장비에 대한 원리나 성능등에 대한 자료도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PVD장비중에 e-beam이니 boat형이니 뭐 이런 용어들이 나오는데... 초보자라 잘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VD
    • CVD
    • e-beam
    2007-11-02 김도완(kdw1288)

  • 결정 Si 혹은 a-Si 내 defect 관련 질문입니다.

    결정 Si 혹은 a-Si 내 defect 관련 질문입니다.

    교과서와 같은 교재를 보면 Si band structure의 forbidden energy gap을 보면 acceptor like site 혹은 donor like site라고 불리우는energy level이 존재하더라구요.. 이런 것들은 모두 defect들로서 Si 내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된거 라고 생각되는데 어떤 결함들이 앞서 말씀드렸던 site를 만드는 것인가요??? 또한 구조적 결함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단지 교과서에는 fermi level을 기준으로 구분만 해놨더라...

    자세히 보기
    • trap site
    • acceptor like trap site
    • donor like trap site
    2007-11-02 권혁순(max7865)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구조 첨부합니다

    자세히 보기
    • peroxyphenylacetic acid
    • PPAA
    2007-11-02 박병권(pbk14)

  • 롤 표면 PR 도포 업체 소개

    롤 표면 PR 도포 업체 소개

    전자빔을 이용하여 롤표면에 리소공정을 수행할려고 하고 있습니다. 웨이퍼의 경우 Spin Coater를 이용하는데, 만약 롤형상의 원주면에 PR을 50-100nm 두께로 도포할려고 하면,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습니다. 혹시 방법이나 업체 또는 전문가 등에 대해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항상 좋은 일 가득하세요.

    자세히 보기
    • Roll
    • PR
    • Coating
    2007-11-02 강은구(river09)

  • oled blue 재료입니다. 설명좀 부탁드리고, 논문좀 찾아주세요.

    oled blue 재료입니다. 설명좀 부탁드리고, 논문좀 찾아주세요.

    우선 제가 화학에는 잼뱅이라서 논문을 보는데 물질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겠네요 ...그림으로 보기에는 TPF의 경우 가운데 벤젠을 중심으로 퍼져있는 형상이고, DPF의 경우는 같은것이 옆으로 하나더 붙어있는데요, 이런것에 대한 장단점 과 어떤식으로 보면 쉬운지 설명좀 해주세요. TPF 가 HOST 이고 DPE가 DOPANT입니다. 에너지 트랜스포 적인 측면(Forest ,Dexter) 적인 설명도 부탁드려요....(첨부파일) 물질의 HOMO LUMO lev 는 TPF ...

    자세히 보기
    • oled
    • tpf
    • dpf

  • CrP???

    CrP???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sus재질의 가스이송관이 부식성 가스로 인해서 문제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sus재질의 가스관에 CrP(chromium-rich oxide passivation) tubing을 해준다고 하는데요. CrP tubing이 뭔가요? 그리고 CrP 층을 만드려면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semiconductor
    • CrP
    2007-11-02 김형섭(gtool77)

  • CO2를 흡수한 MDEA(Methyldiethanolamine)의 thermodynamic properties에 대해서

    CO2를 흡수한 MDEA(Methyldiethanolamine)의 thermodynamic properties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언제나 감사한 마음으로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제가 문의 드리는 것은 CO2 흡수 정도에 따른 MDEA(Methyldiethanolamine)의 열역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나 혹은 프로그램이 있는 지 입니다. CO2의 농도, 온도, 압력 정도에 따라 MDEA의 열역학적 성질(enthalpy, entropy)등이 달라질 텐데, 이에 대한 실험data 혹은 예측모델이나 자료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DEA
    • carbon dioxide
    • thermodynamic property
    2007-11-01 이만수(lms7832)

  • biologic agent(etanercept, infliximab등등)의 투여 방법이 IM, SC, IV로 각각 다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biologic agent(etanercept, infliximab등등)의 투여 방법이 IM, SC, IV로 각각 다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etanercept은 IM으로 투여해야 하고 adalimumab같은 경우는 subcu로 각각 방법이 틀린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biologic agent
    • etanercept
    • infliximab
    2007-11-01 백승주(bsj1222)

  • Hypoxia-reoxygenation으로 신경세포를 죽일 때,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Hypoxia-reoxygenation으로 신경세포를 죽일 때,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원래 신경을 공부하지 않다가 최근에 Neuron의 Hypoxia/reoxygenation에 대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 찾아보는 논문마다 Hypoxia동안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했더군요. 이게 반드시 그래야 하는건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제 타겟 단백질중에 Glucose의 양에 의해 기능이 변하는 놈이 있어서 Glucose deprivation이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야 합니다. 잘 아시는 분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Hypoxia
    • cell death
    • Glucose deprivation
    2007-11-01 김인기(perspex)

전체 17558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중국 태양전지 모듈 (혹은 셀)의 시장 현황 및 전망

    중국 태양전지 모듈 (혹은 셀)의 시장 현황 및 전망

    태양전지 관련하여 중국 시장이 굉장이 빠르게 커져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검색엔진을 통해서 본 기사에 따르면 셀 생산량에서 일본을 넘어섰다고 하던데요.. 혹시 중국의 태양전지 모듈 생산량(설치량이 아님)에 대한 최근 시장현황 및 앞으로의 동향에 대한 자료가 있으신 분들 공유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2005년 자료는 있는데...2006년 이후에 대한 내용이 필요합니다. 특히 2010년이나 2020년까지 예측되어 있는 자료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히 보기
    • china
    • PV module
    • Solar module
    2007-11-05 김도완(kdw1288)

  • tubular type / cross-flow 한외여과막의 세정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tubular type / cross-flow 한외여과막의 세정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MBR 시스템을 운전중입니다.(tubular type, cross flow) flux down시 세정방법이 궁금합니다. 참고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mbr
    2007-11-05

  • PPG 데이터 분석에서,

    PPG 데이터 분석에서,

    PPG 논문을 읽던 중 궁금한 점이있는데요, 제가 읽는 논문은 당뇨병환자의 합병증중 신경병성 족부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PPG를 사용할 수 있다, 혈류량을 이용할 수도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알 수도 있다고 했는데요, “PPG로 측정한 정상인의 경우 손가락과 발가락의 온도차이가 -0.5도에서 8도로 널리 분포되어있는 반면, 신경병성 당뇨환자는 -0.1도부터 4.5도에 걸쳐 분포 되어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면 손가락과 발가락의 온도차이가 4.5도 이상이면 신...

    자세히 보기
    • PPG
    • 체온
    • 당뇨합병증
    2007-11-04 김지현(hbrg317)

  • 현제 시판되는 DSP 범용칩중 크기가 가장 작은게...

    현제 시판되는 DSP 범용칩중 크기가 가장 작은게...

    현제 시판중인 DSP칩중에 크기가 가장 작은게 얼마나 되나 알고 싶습니다 TI칩중 저전력 5000 시리즈중 7X7MM를 찾아봤는데 혹시 이것보다 더 작은게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DSP

  • 상태도그림에관해

    상태도그림에관해

    재료공학을 공부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수업시간에 배우다 궁금한것이 있어서 그러는데요.. 상태도 그림을 그릴때 곡선의 연장선이 2상이 존재하는곳에 들어가야 한다고 하시던데.. 왜 그래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상태도 곡선이 > 되는줄을 아는데.. 왜 < 방향으로는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자유에너지와 관계가 있다는데 ... 해도해도 잘 안되서

    자세히 보기
    • phase diagram
    2007-11-04 김종철(iozoi9)

  • Solar Cell용 Paste 관련 기술자료

    Solar Cell용 Paste 관련 기술자료

    저는 울산 박원형 이라고 합니다 키스티 울산 자문위원으로 일하고 있읍니다 www.n-barotech.co.kr 금번 신규 사업으로 솔라쎌용 실버 전극을 준비 하고 있읍니다 관련 자료 시장 또는 기술 자료 부탁 합니다 사업 잘 되면 한잔 사겠읍니다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silver paste
    2007-11-03 박원형(USNB733)

  •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와 먹이지 않은 세포를 같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까요? GFP 먹인 세포의 promoter가 viral promoter라고 합니다.

    자세히 보기
    • GFP
    2007-11-03 박세아(ssehaa)

  • 포름알데히드 농도 맞추는 방법

    포름알데히드 농도 맞추는 방법

    포름알데히드 실험을 하는데 초기 농도 맞추는방법부터 속을 썩이네요. 5L 용기에 일정량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기화시켜서 농도를 맞추는데, 제조 할때 마다 농도가 조금씩 틀려집니다.(많게는 10ppm정도) 초기 농도오차를 줄일수 있는 방법이나 제조된 포름알데이드 기체를 판매하는 곳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HCHO
    2007-11-03 신종문(hiroe00)

  • PDMS-PDMS Bonding

    PDMS-PDMS Bonding

    안녕하십니까? 마이크로구조를 가지는 두 PDMS 블럭을 영구적으로 본딩하는 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논문들이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PDMS
    • Bonding
    2007-11-03 홍종인(kairduck)

  •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판매하는 업체을 알고 계시면 정보 부탁합니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를 판매하는 업체을 알고 계시면 정보 부탁합니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100 nm 이하)를 취급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아시는 분이 계시면 정보 부탁드립니다. 회사명과 연락처 담당자 등등 가능한 정보

    자세히 보기
    • vanadium dioxide
    • nano particles

  •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

    탁도와 색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고싶은데요 색도가 높으면 탁도도 높아지나요? 비례관계인지요?

    자세히 보기
    • color
    2007-11-02 김병렬(env21)

  • 증착 장비 업체에 대해

    증착 장비 업체에 대해

    PET필름에 Al2O3 혹은 SiOx를 투명하게 증착하려고 합니다. 여기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내용이나, 유명한 장비업체에 대해 알려주세요. 증착장비에 대한 원리나 성능등에 대한 자료도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PVD장비중에 e-beam이니 boat형이니 뭐 이런 용어들이 나오는데... 초보자라 잘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VD
    • CVD
    • e-beam
    2007-11-02 김도완(kdw1288)

  • 결정 Si 혹은 a-Si 내 defect 관련 질문입니다.

    결정 Si 혹은 a-Si 내 defect 관련 질문입니다.

    교과서와 같은 교재를 보면 Si band structure의 forbidden energy gap을 보면 acceptor like site 혹은 donor like site라고 불리우는energy level이 존재하더라구요.. 이런 것들은 모두 defect들로서 Si 내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된거 라고 생각되는데 어떤 결함들이 앞서 말씀드렸던 site를 만드는 것인가요??? 또한 구조적 결함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단지 교과서에는 fermi level을 기준으로 구분만 해놨더라...

    자세히 보기
    • trap site
    • acceptor like trap site
    • donor like trap site
    2007-11-02 권혁순(max7865)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

    peroxyphenylacetic acid 합성방법좀 알려주세요 구조 첨부합니다

    자세히 보기
    • peroxyphenylacetic acid
    • PPAA
    2007-11-02 박병권(pbk14)

  • 롤 표면 PR 도포 업체 소개

    롤 표면 PR 도포 업체 소개

    전자빔을 이용하여 롤표면에 리소공정을 수행할려고 하고 있습니다. 웨이퍼의 경우 Spin Coater를 이용하는데, 만약 롤형상의 원주면에 PR을 50-100nm 두께로 도포할려고 하면,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습니다. 혹시 방법이나 업체 또는 전문가 등에 대해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항상 좋은 일 가득하세요.

    자세히 보기
    • Roll
    • PR
    • Coating
    2007-11-02 강은구(river09)

  • oled blue 재료입니다. 설명좀 부탁드리고, 논문좀 찾아주세요.

    oled blue 재료입니다. 설명좀 부탁드리고, 논문좀 찾아주세요.

    우선 제가 화학에는 잼뱅이라서 논문을 보는데 물질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겠네요 ...그림으로 보기에는 TPF의 경우 가운데 벤젠을 중심으로 퍼져있는 형상이고, DPF의 경우는 같은것이 옆으로 하나더 붙어있는데요, 이런것에 대한 장단점 과 어떤식으로 보면 쉬운지 설명좀 해주세요. TPF 가 HOST 이고 DPE가 DOPANT입니다. 에너지 트랜스포 적인 측면(Forest ,Dexter) 적인 설명도 부탁드려요....(첨부파일) 물질의 HOMO LUMO lev 는 TPF ...

    자세히 보기
    • oled
    • tpf
    • dpf

  • CrP???

    CrP???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sus재질의 가스이송관이 부식성 가스로 인해서 문제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sus재질의 가스관에 CrP(chromium-rich oxide passivation) tubing을 해준다고 하는데요. CrP tubing이 뭔가요? 그리고 CrP 층을 만드려면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semiconductor
    • CrP
    2007-11-02 김형섭(gtool77)

  • CO2를 흡수한 MDEA(Methyldiethanolamine)의 thermodynamic properties에 대해서

    CO2를 흡수한 MDEA(Methyldiethanolamine)의 thermodynamic properties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언제나 감사한 마음으로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제가 문의 드리는 것은 CO2 흡수 정도에 따른 MDEA(Methyldiethanolamine)의 열역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나 혹은 프로그램이 있는 지 입니다. CO2의 농도, 온도, 압력 정도에 따라 MDEA의 열역학적 성질(enthalpy, entropy)등이 달라질 텐데, 이에 대한 실험data 혹은 예측모델이나 자료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DEA
    • carbon dioxide
    • thermodynamic property
    2007-11-01 이만수(lms7832)

  • biologic agent(etanercept, infliximab등등)의 투여 방법이 IM, SC, IV로 각각 다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biologic agent(etanercept, infliximab등등)의 투여 방법이 IM, SC, IV로 각각 다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etanercept은 IM으로 투여해야 하고 adalimumab같은 경우는 subcu로 각각 방법이 틀린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biologic agent
    • etanercept
    • infliximab
    2007-11-01 백승주(bsj1222)

  • Hypoxia-reoxygenation으로 신경세포를 죽일 때,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Hypoxia-reoxygenation으로 신경세포를 죽일 때,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원래 신경을 공부하지 않다가 최근에 Neuron의 Hypoxia/reoxygenation에 대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 찾아보는 논문마다 Hypoxia동안 Glucose free media를 사용했더군요. 이게 반드시 그래야 하는건지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제 타겟 단백질중에 Glucose의 양에 의해 기능이 변하는 놈이 있어서 Glucose deprivation이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야 합니다. 잘 아시는 분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Hypoxia
    • cell death
    • Glucose deprivation
    2007-11-01 김인기(perspex)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