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dielectric) 물질이 있을까요?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dielectric) 물질이 있을까요?
대학원에서 나노패터닝을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패터닝한 나노구조체를 기판위에 올려서 나노소자를 만드는데 구조체들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기판에서 쉽게 떨어지네요 (예를들면, 물로 washing하거나, 질소건으로 blowing할때...) 그래서 접착성의 고분자를 스핀코팅으로 기판에 얇게 깔아서(소자로 사용하기 위해선 유전체(dielectric)박막의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합니다) 구조체가 기판위에서 비교적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싶은데 논문도 많이 찾아보고 검색...
자세히 보기- 나노구조체
- 접착
- 박막
2012-03-06 이기석(7942kisuck)- 1
-
Cyclic voltammetry 또는 AC impedance로 capacitance측정법
Cyclic voltammetry 또는 AC impedance로 capacitance측정법
안녕하세요 현제 주로 cyclic voltammetry로 프로잭트를 진행하고 있는 학사생입니다. 프로잭트 진행중 RDE의 표면에 어떤 화학물질을 부착 시키고 그걸 조사하는데 제가 알아내야 하는 것중 하나가 capacitance입니다. 이 capacitance를 알아내는 방법이 궁금해서 그런데요, 저는 여기서 첨부하는 파일에 나온 방식대로 계산 하면 되는줄 알았지만, AC impedance 라는 방법도 있더군요. 둘중 어느게 맞나요? 그리고 둘다 가능하다면 어떤게 더 ...
자세히 보기- cyclic voltammetry
- AC impedance
- electrochemistry
2012-03-06 박인태(itpark125)- 0
-
NMR - Chemical shift 단위변환?
NMR - Chemical shift 단위변환?
NMR 차트에서 Chemical shift를 ppm으로(적분) 보고 있습니다. 이 ppm값을 (타우 T :tau)값으로 변환할수 있나요? 상호변환이 가능하다면 공식을 알고 싶습니다. 4 tesla : ? ppm 7 tesla : ? ppm 이런식으로 변환하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NMR
- Unit
- conversion
2012-03-05 이수환(nasarang08)- 1
-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 위험도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 위험도
임상시험 공부하다가 모르는 것이 있어 고수님들께 문의드립니다. 첨부된 파일의 672페이지 가장 상단을 보시면 "We recommended prophylaxis for Pneumocystis jiroveci forall patients." 라는 문구가 있는데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이 피험자에게 위험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리플 부탁드려요.. &...
자세히 보기- Pneumocystis jiroveci
- 혈관염
2012-03-05 이경미(habra98)- 1
-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원자의 질량이 클수록 핵으로부터 전자의 거리가 멀어지는데, 이게 전자 승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요. 제 생각에는 질량이 클수록 핵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승진이 용이하지 않을까 싶은데..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승진
2012-03-05 강주혜(cube)- 1
-
halogen 원소가 도입된 LC-Mass측정
halogen 원소가 도입된 LC-Mass측정
Fluoride가 있는 Compound의 경우 Positive charge [M+1] LC-Mass를 찍을 경우 보통의 경우 Exact mass값에 1을 더한 값이 나와야 하는데 halogen 원소가 있을 경우 다른 점이 있는지 ?? positive charge로 찍었는데 M-1되는 값이 나올 수도 있는건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제발.
자세히 보기- LC-MS
2012-03-05 신영민(goosle2)- 0
-
PEDOT:PSS 구매
PEDOT:PSS 구매
PEDOT:PSS (high conductive grade) 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Sigma aldrich 이외에 다른 site 에서 구매 가능한 곳을 알고계시면답변 좀 부탁 드립니다. 농도별로 구매할 수 있으면 더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PEDOT:PSS
- PH500
- PH1000
2012-03-05 유제원(yjw8302)- 0
-
의료용 고분자 생분해 평가방법(가속화 방법)
의료용 고분자 생분해 평가방법(가속화 방법)
안녕하세요. 고분자 생분해 실험에 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고분자는 비흡수성 분자 즉, 생분해가 안되는 고분자입니다. 생분해가 안되는 고분자를 생분해평가실험을 한다고 하니 이상하게 생각하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알고 싶은 거는 이것이 진짜 생분해가 안되는 것인지 장기간동안(6~12개월)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그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가속화 실험방법이 있는지 궁굼합니다. &nb...
자세히 보기- 의료용 고분자
- 생분해평가
- 가속화실험
2012-03-05 임수영(hardsky)- 1
-
미분화 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되었나를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미분화 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되었나를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미분화 세포가 췌장 세포로 분화되거나 신경 세포로 분화가 이루어 졌는지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은 뭐가 있나요 ..? 답변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미분화 세포
- 분화
2012-03-05 정신구(dropsboy)- 1
-
리튬이온전지 집전체 관련질문
리튬이온전지 집전체 관련질문
리튬이온전지에서 양극(Al집전체)과 음극(Cu집전체)에 왜 서로 다른 집전체를 사용하는 것인가요?ㅜㅜ 집전체에 관련하여서는 자료를 뒤져보아도 많이 있지를 않군요.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리튬이온전지
- 집전체
2012-03-02 안태영(smart3019)- 2
-
결정화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결정화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결정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질문이 있습니다. 결정화를 진행하다보니 기포같은것이 생기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자세히 보기- 결정화
2012-03-02 신두섭(abumsds)- 0
-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논문에서 총 항산화력을 측정할때 사용한 방법이라고 하는데 이 방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성립되야할 조건, 그리고 이 방법의 전체적인 내용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ABTS
- 총 항산화력
2012-03-02 김종훈(pio1021)- 0
-
LC/MS 분석시 +Na
LC/MS 분석시 +Na
LC/MS 분석시 target은 100%의 Intensity를 보이고 [M+22]의 peak 가 약30%의 Intensit를 띄는데 기존의 표준품을 분석해봐도 같은 패턴을 보이고, 하성한 물질에서도 같은 data 를 얻었습니다. 그래서 제생각에는 단순히 mass 에서 M+Na 가 dectction 된다고 판단이 됩니다. 이 것을 즈명할 만한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MS
2012-03-02 이미진(myjc7)- 1
-
CD spetra
CD spetra
합성한 분자의 R,S 폼을 구분하기 위하여 CD spectra를 이용하고자 할때 분석할 수 있는 조건을 알고싶습니다. (시료의 양이나 농도 등) 또한 국내에 분석을 맡길 수 있는 곳과 전처리조건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selectivity
2012-03-01 김효연(gydusl1004)- 0
-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바랍니다.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바랍니다.
공조냉동 관련으로 현직에서 일하시는 분이시거나 잘 아시는분 정보를 좀 제공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타전공 타대학으로 부산에 있는 국립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그중에서도 PLC 혹은 FUZZY 자동제어 쪽으로 할 생각이여서 이쪽 관련 연구실로 들어왔습니다만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는 오일쿨러나 핫가스바이패스의 가변속 시스템을 이용해서 효율극화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왕 공부할거면 평소 관심있는 신재생에너지(에너지 생산은 다른 발전과 관련하여 작으나 별일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생산이...
자세히 보기- 지열
- 자동제어
- FUZZY
2012-03-01 임승관(godlachesis)- 0
-
고분자의 고화속도 향상 방안
고분자의 고화속도 향상 방안
안녕하십니까. 오랫동안 고민하고 있는 내용이 있어 문제 해결방안을 전문가님들께 문의드리고자 글을 올립니다. 저는 섬유개발을 담당하는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저에게 신규 과제로 높은 데니어의 실을 방사해 내는 업무가 주어져 작년부터 열심히 고민하고 있습니다. 방사 설비의 교체 없이 현재 장비를 이용해서 방사를 실시할 경우 일반 PET는 mono 데니어를 기 준으로 최대 50데니어까지 제품 생산이 가능하였습니다. 목표...
자세히 보기- 고화속도
- PET
- polymer
2012-02-29 김동원(woniii3535)- 1
-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고자 하는데요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고자 하는데요
Graphite의 전기가 통하는 메커니즘을 알고자 합니다. Graphite는 semiconducting 물질로 분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일수도 있으니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수 있는 자료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Graphite
-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 carbon
2012-02-28 임영진(notice)- 1
-
공비(共沸) 농축에 대하여
공비(共沸) 농축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논문을 읽던중 아래와 같은 공비 농축한다는 말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천연물 추출 후 수포화부탄올로 층분리한 후 알콜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얻어진 엑기스에 50-100배의 물로 2-3회 공비 농축하고 동량의 물로 균질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한다 공비 농축하는 자세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공비 농축
2012-02-28 곽정원(yungji99)- 2
-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고분자중합방법..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고분자중합방법..
멜라민-포름알데히드 고분자 중합방법에 관한 오래된 논문이나... 가장쉽게 제조할수 있는방법이 나와있는 문헌있으면 자료공유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멜라민
- 포름알데히드
- 중합
2012-02-28 조동제(starks)- 0
-
- ㅜㅜ
2012-02-28 장세영(jang1390)- 2
전체 17552개
-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dielectric) 물질이 있을까요?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dielectric) 물질이 있을까요?
대학원에서 나노패터닝을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패터닝한 나노구조체를 기판위에 올려서 나노소자를 만드는데 구조체들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기판에서 쉽게 떨어지네요 (예를들면, 물로 washing하거나, 질소건으로 blowing할때...) 그래서 접착성의 고분자를 스핀코팅으로 기판에 얇게 깔아서(소자로 사용하기 위해선 유전체(dielectric)박막의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합니다) 구조체가 기판위에서 비교적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싶은데 논문도 많이 찾아보고 검색...
자세히 보기- 나노구조체
- 접착
- 박막
2012-03-06 이기석(7942kisuck)- 1
-
Cyclic voltammetry 또는 AC impedance로 capacitance측정법
Cyclic voltammetry 또는 AC impedance로 capacitance측정법
안녕하세요 현제 주로 cyclic voltammetry로 프로잭트를 진행하고 있는 학사생입니다. 프로잭트 진행중 RDE의 표면에 어떤 화학물질을 부착 시키고 그걸 조사하는데 제가 알아내야 하는 것중 하나가 capacitance입니다. 이 capacitance를 알아내는 방법이 궁금해서 그런데요, 저는 여기서 첨부하는 파일에 나온 방식대로 계산 하면 되는줄 알았지만, AC impedance 라는 방법도 있더군요. 둘중 어느게 맞나요? 그리고 둘다 가능하다면 어떤게 더 ...
자세히 보기- cyclic voltammetry
- AC impedance
- electrochemistry
2012-03-06 박인태(itpark125)- 0
-
NMR - Chemical shift 단위변환?
NMR - Chemical shift 단위변환?
NMR 차트에서 Chemical shift를 ppm으로(적분) 보고 있습니다. 이 ppm값을 (타우 T :tau)값으로 변환할수 있나요? 상호변환이 가능하다면 공식을 알고 싶습니다. 4 tesla : ? ppm 7 tesla : ? ppm 이런식으로 변환하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NMR
- Unit
- conversion
2012-03-05 이수환(nasarang08)- 1
-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 위험도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 위험도
임상시험 공부하다가 모르는 것이 있어 고수님들께 문의드립니다. 첨부된 파일의 672페이지 가장 상단을 보시면 "We recommended prophylaxis for Pneumocystis jiroveci forall patients." 라는 문구가 있는데 CY, Prednisolone, azithroprine 투여한 혈관염 치료에서 Pneumocystis jiroveci의 감염이 피험자에게 위험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리플 부탁드려요.. &...
자세히 보기- Pneumocystis jiroveci
- 혈관염
2012-03-05 이경미(habra98)- 1
-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
원소의 질량과 전자 승진의 용이성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원자의 질량이 클수록 핵으로부터 전자의 거리가 멀어지는데, 이게 전자 승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요. 제 생각에는 질량이 클수록 핵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승진이 용이하지 않을까 싶은데..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승진
2012-03-05 강주혜(cube)- 1
-
halogen 원소가 도입된 LC-Mass측정
halogen 원소가 도입된 LC-Mass측정
Fluoride가 있는 Compound의 경우 Positive charge [M+1] LC-Mass를 찍을 경우 보통의 경우 Exact mass값에 1을 더한 값이 나와야 하는데 halogen 원소가 있을 경우 다른 점이 있는지 ?? positive charge로 찍었는데 M-1되는 값이 나올 수도 있는건가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제발.
자세히 보기- LC-MS
2012-03-05 신영민(goosle2)- 0
-
PEDOT:PSS 구매
PEDOT:PSS 구매
PEDOT:PSS (high conductive grade) 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Sigma aldrich 이외에 다른 site 에서 구매 가능한 곳을 알고계시면답변 좀 부탁 드립니다. 농도별로 구매할 수 있으면 더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PEDOT:PSS
- PH500
- PH1000
2012-03-05 유제원(yjw8302)- 0
-
의료용 고분자 생분해 평가방법(가속화 방법)
의료용 고분자 생분해 평가방법(가속화 방법)
안녕하세요. 고분자 생분해 실험에 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고분자는 비흡수성 분자 즉, 생분해가 안되는 고분자입니다. 생분해가 안되는 고분자를 생분해평가실험을 한다고 하니 이상하게 생각하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알고 싶은 거는 이것이 진짜 생분해가 안되는 것인지 장기간동안(6~12개월)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그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가속화 실험방법이 있는지 궁굼합니다. &nb...
자세히 보기- 의료용 고분자
- 생분해평가
- 가속화실험
2012-03-05 임수영(hardsky)- 1
-
미분화 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되었나를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미분화 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되었나를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미분화 세포가 췌장 세포로 분화되거나 신경 세포로 분화가 이루어 졌는지 확인 하기 위한 실험 방법은 뭐가 있나요 ..? 답변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미분화 세포
- 분화
2012-03-05 정신구(dropsboy)- 1
-
리튬이온전지 집전체 관련질문
리튬이온전지 집전체 관련질문
리튬이온전지에서 양극(Al집전체)과 음극(Cu집전체)에 왜 서로 다른 집전체를 사용하는 것인가요?ㅜㅜ 집전체에 관련하여서는 자료를 뒤져보아도 많이 있지를 않군요.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리튬이온전지
- 집전체
2012-03-02 안태영(smart3019)- 2
-
결정화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결정화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결정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질문이 있습니다. 결정화를 진행하다보니 기포같은것이 생기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자세히 보기- 결정화
2012-03-02 신두섭(abumsds)- 0
-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논문에서 총 항산화력을 측정할때 사용한 방법이라고 하는데 이 방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성립되야할 조건, 그리고 이 방법의 전체적인 내용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ABTS
- 총 항산화력
2012-03-02 김종훈(pio1021)- 0
-
LC/MS 분석시 +Na
LC/MS 분석시 +Na
LC/MS 분석시 target은 100%의 Intensity를 보이고 [M+22]의 peak 가 약30%의 Intensit를 띄는데 기존의 표준품을 분석해봐도 같은 패턴을 보이고, 하성한 물질에서도 같은 data 를 얻었습니다. 그래서 제생각에는 단순히 mass 에서 M+Na 가 dectction 된다고 판단이 됩니다. 이 것을 즈명할 만한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LC/MS
2012-03-02 이미진(myjc7)- 1
-
CD spetra
CD spetra
합성한 분자의 R,S 폼을 구분하기 위하여 CD spectra를 이용하고자 할때 분석할 수 있는 조건을 알고싶습니다. (시료의 양이나 농도 등) 또한 국내에 분석을 맡길 수 있는 곳과 전처리조건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selectivity
2012-03-01 김효연(gydusl1004)- 0
-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바랍니다.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바랍니다.
공조냉동 관련으로 현직에서 일하시는 분이시거나 잘 아시는분 정보를 좀 제공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타전공 타대학으로 부산에 있는 국립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그중에서도 PLC 혹은 FUZZY 자동제어 쪽으로 할 생각이여서 이쪽 관련 연구실로 들어왔습니다만 지금 있는 연구실에서는 오일쿨러나 핫가스바이패스의 가변속 시스템을 이용해서 효율극화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왕 공부할거면 평소 관심있는 신재생에너지(에너지 생산은 다른 발전과 관련하여 작으나 별일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생산이...
자세히 보기- 지열
- 자동제어
- FUZZY
2012-03-01 임승관(godlachesis)- 0
-
고분자의 고화속도 향상 방안
고분자의 고화속도 향상 방안
안녕하십니까. 오랫동안 고민하고 있는 내용이 있어 문제 해결방안을 전문가님들께 문의드리고자 글을 올립니다. 저는 섬유개발을 담당하는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저에게 신규 과제로 높은 데니어의 실을 방사해 내는 업무가 주어져 작년부터 열심히 고민하고 있습니다. 방사 설비의 교체 없이 현재 장비를 이용해서 방사를 실시할 경우 일반 PET는 mono 데니어를 기 준으로 최대 50데니어까지 제품 생산이 가능하였습니다. 목표...
자세히 보기- 고화속도
- PET
- polymer
2012-02-29 김동원(woniii3535)- 1
-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고자 하는데요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고자 하는데요
Graphite의 전기가 통하는 메커니즘을 알고자 합니다. Graphite는 semiconducting 물질로 분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일수도 있으니 Graphite의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을 알수 있는 자료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Graphite
-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 carbon
2012-02-28 임영진(notice)- 1
-
공비(共沸) 농축에 대하여
공비(共沸) 농축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논문을 읽던중 아래와 같은 공비 농축한다는 말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천연물 추출 후 수포화부탄올로 층분리한 후 알콜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얻어진 엑기스에 50-100배의 물로 2-3회 공비 농축하고 동량의 물로 균질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한다 공비 농축하는 자세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공비 농축
2012-02-28 곽정원(yungji99)- 2
-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고분자중합방법..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고분자중합방법..
멜라민-포름알데히드 고분자 중합방법에 관한 오래된 논문이나... 가장쉽게 제조할수 있는방법이 나와있는 문헌있으면 자료공유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멜라민
- 포름알데히드
- 중합
2012-02-28 조동제(starks)- 0
-
- ㅜㅜ
2012-02-28 장세영(jang139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