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 것의 차이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 것의 차이

    이번에 이스트 실험을 시작하게된 연구원입니다.   YPD broth를 만들려고 하는데   bacto yeast extract bacto pepton dextrose   위의 재료들로 배지를 만들었는데요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이스트 실험을 할 경우 bacto가 붙은 시료들을 써야 하는 것인가요?   이상초보의 질문이었습니다.   오늘하루도 수고하세요 ㅎ

    자세히 보기
    • yeast
    2012-01-13 박정은(roprin)

  • 특정 microRNA가 어떤 tissue에 주로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특정 microRNA가 어떤 tissue에 주로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어떤 microRNA는 어떤 장기(tissue)에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아니면 참고 논문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icroRNA
    • tissue
    2012-01-13 이인석(thssla)

  • salycilic acid hydrazide 합성방법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salycilic acid hydrazide 합성방법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4-Amino Salicylic Acid Hydrazide와   salicylic acid hydrazide의 합성 방법 나오는 논문 이나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합성
    • hydrazine
    2012-01-13 조영제(cho0je)

  • 폴리머 (PI;폴리이미드, PVDF)의 기계적 특성 평가 by nanoindentation tech.

    폴리머 (PI;폴리이미드, PVDF)의 기계적 특성 평가 by nanoindentation tech.

    폴리머를 연구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래서 폴리머의 세계가 놀랍고도 신기해서 몇가지 궁금한점을 여쭙겠습니다.   저는 폴리머 (PI, PVdF)의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nano-indentation이라는 장비를 통해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 측정 결과 PVdF는 S (stiffness, 강성): 0.0294 mN/nm, PI: S= 0.0203 mN/nm HV (hardness): PVdF (15.5 HV), PI (43.899 HV)로 측정 되었습니다. &n...

    자세히 보기
    • nanoindenter

  • compressive sensing theory

    compressive sensing theory

    통신 시스템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최근 KAIST의 모 교수님께서 compressive MUSIC 이라는 개념을 이용해서, 다중 채널을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어제 뉴스에도 많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조금 알아봤는데, compressive sensing theory에 대해서 일단 이해를 해야, 접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수식들은 다 구할 수 있지만, 저의 선형대수 실력이 부족해서 이해가 되지 않더군요. &nb...

    자세히 보기
    • compressive sensing
    • compressive MUSIC
    • linear algebra
    2012-01-13 박민호(minopage)

  • 현재 CNT Composite 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CNT Composite 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쓰이고 있는, 개발된 CNT composite 재료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polymer계열은 많은 연구가 되고있는건 알고있는데요. 현재 다른 재료와의 composite 연구가 어떤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CNT
    • composite
    • 복합재료
    2012-01-12 김진성(dnflal12)

  • CNT 분산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CNT 분산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있는, 사용되고있는 CNT Dispersion 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각방법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CNT
    • 분산
    • 나노
    2012-01-12 김진성(dnflal12)

  • Blast 용어 문의 드립니다.

    Blast 용어 문의 드립니다.

    Blast search 시, Max score Total score Query coverage E value Max ident 이 용어들의 의미가 뭔가요? 또 어떻게 구해지는지 좀 알려 주세요...

    자세히 보기
    • Blast
    2012-01-12 최충현(dkzudk)

  •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분석
    • 하이드라진
    2012-01-12 조영제(cho0je)

  • Si-OH (silanol group) 과 Hf - OH 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Si-OH (silanol group) 과 Hf - OH 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SiO2 oxide에 표면 처리를 하면 -OH group 이 잘 형성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HfO2 표면 위에도 Hf -OH group 이 잘 형성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Si-OH와 비교하여 둘중 어떤게 더 -OH group 을 잘 형성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여기에 대해 고민해보셨거나 관련지식이 있으신분들께서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SiO2
    • HfO2
    • surface chemistry

  • 황산하이드라진과 염산 하이드라진의 IR자료 부탁드립니다.

    황산하이드라진과 염산 하이드라진의 IR자료 부탁드립니다.

    N2H4.H2SO4인 황산하이드라진과, N2H4.HCl 염산 하이드라진을 제조하였습니다. IR 데이터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IR만 으로는 좀 러프한 데이터가 될 거 같은데   추가적인 데이터는 어떤 측정이 필요할까요??

    자세히 보기
    • 분석
    • 기기
    2012-01-12 조영제(cho0je)

  • Agilent TCD 에 관해서...ㅠㅠ

    Agilent TCD 에 관해서...ㅠㅠ

    이때 까지 FID를 를 사용하다가 어제 물분석을 하기 위해 TCD로 옮겨서 분석을 실시 해보았습니다. Agilent 7890A 라는 GC로 측정을 했는데 front injector는 FID back injector는 TCD 이런 식으로 되어있습니다.   TCD 분석을 처음으로 해서 인렛 부분이랑 디텍터부분의 조건들을 잘 모르겠네요...ㅠㅠ   물론 시료나 컬럼에 따라 전부 다르겠지만 혹시 일반적으로 쓰는 조건들을 알 수 있을까요??   컬럼은 Innowax고...

    자세히 보기
    • GC
    • Agilent
    • TCD

  • FT-IR를 이용한 peptide 2차구조 확인법이 궁금합니다.

    FT-IR를 이용한 peptide 2차구조 확인법이 궁금합니다.

    제가 단백질 구조를 IR로 측정해서 확인하라는 과제를 받았습니다.선행 논문들을 보고 실험방법을 익혀서 실험을 진행했는데,그 다음에 결과를 분석하려니 도통 몰라서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이쪽에서 실험하시거나 아니면 실험하는 곳을 알고 계신다면, 댓글 좀 달아주세요ㅠ

    자세히 보기
    • IR
    • peptide
    2012-01-12 유창수(rcs1987)

  • hydrazine sulfate, hydrazine hydrochloride 확인법

    hydrazine sulfate, hydrazine hydrochloride 확인법

    N2H4.H2SO4인 황산하이드라진과, N2H4.HCl 염산 하이드라진을 제조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X-ray가 가장 정확할 것 같지만   그 외 다른 측정 기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일단은 GC나 LC를 사용할 생각입니다.  GC나 LC 사용시 디텍터가 중요할 거 같은데 어떤 디텍터를 사용해야 하며  컬럼 선정도 부탁드립니다.  너무 거저 먹을려고 하는 거 같지만.....

    자세히 보기
    • 분석
    • hydrazine
    2012-01-11 조영제(cho0je)

  • 황색포도상구균 에 대해 질문드려요.

    황색포도상구균 에 대해 질문드려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성장곡선을 만드려고 하는데요. TSB+NaCl(10ml) 에서 seed culture를 하고 여기에서 2ml를 빼서 100ml TSB+NaCl에 다시 접종을 하고 이것을 배양하면서 시간별로 od 하고 cfu를 측정하려고 하는데요. 3시간째, 6시간째 cfu를 보면 0시간 대비해서 균이 거의 안자랐거든요.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걸까요? od값도 6시간째까지 거의 비슷합니다. 또, 100ml TSB있는 플라스크에서 건더기 같은게 많이 생겼는데.. 이것도 원래 이런...

    자세히 보기
    • 미생물
    • 황색포도상구균
    2012-01-11 장현수(leosis)

  • 편광 IR 측정시 사용하는 광학결정 선택에 관하여

    편광 IR 측정시 사용하는 광학결정 선택에 관하여

    혹시답변해주실분 잇을까해서 질문내용 을 다시 올립니다.배향처리돤 두개의 광학 결정을사용한 글라스셀에 액정시료를 주입하여편광 IR을 통해서 분자의 배향방향과 배향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합니다.이때 사용하는 광학결정 조건을 잘 몰라서 정보를 얻고자합니다.사용조건은 다음과같습니다.측정온도벙위: 0~300℃셀조건 : 수직, 수평(러빙처리) 배향막 코팅 셀 gap : 3~6μm셀크기 : 10X10(mm)얻고자하는 광학결정 정보는1. 측정가능 결정 종류( KBr과 BaF를 사용하고자하는데 측정시 지장이없는지...

    자세히 보기
    • polarized infrared
    • orientation
    • liquid crystal
    2012-01-11 이은우(masrlee)

  • GaSb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 문의

    GaSb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 문의

    안녕하세요.   GaSb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이 궁금하여 질문올립니다. 집광형의 경우, 에너지가 높은 만큼 전지에 닿는 온도도 상당히 높을 텐데요. 이렇게 높은 온도에서 어느정도 효율 또는 안정성(수명 등)으로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섭씨 300~400도로 예상되는 온도에서 성능이 좋은 태양전지 재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원하는 답변으로는 해당 온도대역에서 사용가능한 몇가지 재료와 그 재료의 해당 온도대역의 발전효율입니다.   미리...

    자세히 보기
    • GaSb
    • 태양전지
    • 열적 특성
    2012-01-10 윤영설(yys0924)

  • cell lysis하여 protein extraction할 때 끈적거림 현상이 있습니다.

    cell lysis하여 protein extraction할 때 끈적거림 현상이 있습니다.

    RIPA buffer를 사용하여 cell lysis하는데요.   예전에는 안그랬는데 요즘 cell lysis하기 위하여 RIPA buffer를 처리하면 cell pellet이 콧물처럼 끈적이고, 나중에 supernatant를 딸 때 콧물같은 cell pellet이 자꾸 딸려 올라옵니다.   cell 양이 많은 것도 아니고, 오히려 적습니다. 예전에는 RIPA로 잘 뽑히던 protocol이었는데 콧물 끈적거림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서 아까운 sample만 버리고 있답...

    자세히 보기
    • western blot
    • protein extraction
    • 끈적거림 현상
    2012-01-10 이효지(koko7912)

  • Phosphate 계열 산화물에서 N을 정량하는 방법

    Phosphate 계열 산화물에서 N을 정량하는 방법

    LiPON과 같이 phosphate화합물에 N을 치환한 화합물을 합성하였는데 N을 정량하기가 힘드네요. TG로 시도해보았는데 온도를 1000도까지 올렸는데도 계속해서 무게가 증가합니다.   N이 빠져나가면서 O가 붙는다면 그만큼만 무게가 증가하고 포화되어야하는데 말이죠. 여러가지로 어렵네요.   N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phosphate
    • oxynitride
    • 시료 중의 N 정량
    2012-01-10 이미선(typie)

  • paromomycin 효율성

    paromomycin 효율성

    보통 nptII resistant gene 사용하면 kanamycin을 선별 마커로 사용하잖아요 근데 당근 캘러스를 세포 배양한 protalix라는 회사는 paromomycin이라는 항생제를 썼더라구요 왜 이 항생제를 썼는지 혹시 아시나요? 사람에게 직접 적용해도 되는 아주 mild한 항생제이기 때문에 고농도이더라도 이 항생제를 선택하게 된 것인가요? (논문에 보면 매우 높은 농도에서 형질전환된 캘러스를 선발(60mg/ml))   아니면 특허 상 아직 특허화가 되어 있지...

    자세히 보기
    • carrot
    • duchefa
    • santa cruz

전체 17559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 것의 차이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 것의 차이

    이번에 이스트 실험을 시작하게된 연구원입니다.   YPD broth를 만들려고 하는데   bacto yeast extract bacto pepton dextrose   위의 재료들로 배지를 만들었는데요   bacto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이스트 실험을 할 경우 bacto가 붙은 시료들을 써야 하는 것인가요?   이상초보의 질문이었습니다.   오늘하루도 수고하세요 ㅎ

    자세히 보기
    • yeast
    2012-01-13 박정은(roprin)

  • 특정 microRNA가 어떤 tissue에 주로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특정 microRNA가 어떤 tissue에 주로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어떤 microRNA는 어떤 장기(tissue)에 분포하는지 아는 사이트는 없나요?   아니면 참고 논문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icroRNA
    • tissue
    2012-01-13 이인석(thssla)

  • salycilic acid hydrazide 합성방법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salycilic acid hydrazide 합성방법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4-Amino Salicylic Acid Hydrazide와   salicylic acid hydrazide의 합성 방법 나오는 논문 이나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합성
    • hydrazine
    2012-01-13 조영제(cho0je)

  • 폴리머 (PI;폴리이미드, PVDF)의 기계적 특성 평가 by nanoindentation tech.

    폴리머 (PI;폴리이미드, PVDF)의 기계적 특성 평가 by nanoindentation tech.

    폴리머를 연구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래서 폴리머의 세계가 놀랍고도 신기해서 몇가지 궁금한점을 여쭙겠습니다.   저는 폴리머 (PI, PVdF)의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nano-indentation이라는 장비를 통해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 측정 결과 PVdF는 S (stiffness, 강성): 0.0294 mN/nm, PI: S= 0.0203 mN/nm HV (hardness): PVdF (15.5 HV), PI (43.899 HV)로 측정 되었습니다. &n...

    자세히 보기
    • nanoindenter

  • compressive sensing theory

    compressive sensing theory

    통신 시스템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최근 KAIST의 모 교수님께서 compressive MUSIC 이라는 개념을 이용해서, 다중 채널을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어제 뉴스에도 많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조금 알아봤는데, compressive sensing theory에 대해서 일단 이해를 해야, 접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수식들은 다 구할 수 있지만, 저의 선형대수 실력이 부족해서 이해가 되지 않더군요. &nb...

    자세히 보기
    • compressive sensing
    • compressive MUSIC
    • linear algebra
    2012-01-13 박민호(minopage)

  • 현재 CNT Composite 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CNT Composite 기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쓰이고 있는, 개발된 CNT composite 재료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polymer계열은 많은 연구가 되고있는건 알고있는데요. 현재 다른 재료와의 composite 연구가 어떤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CNT
    • composite
    • 복합재료
    2012-01-12 김진성(dnflal12)

  • CNT 분산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CNT 분산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있는, 사용되고있는 CNT Dispersion 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각방법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CNT
    • 분산
    • 나노
    2012-01-12 김진성(dnflal12)

  • Blast 용어 문의 드립니다.

    Blast 용어 문의 드립니다.

    Blast search 시, Max score Total score Query coverage E value Max ident 이 용어들의 의미가 뭔가요? 또 어떻게 구해지는지 좀 알려 주세요...

    자세히 보기
    • Blast
    2012-01-12 최충현(dkzudk)

  •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질산 하이드라진 IR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분석
    • 하이드라진
    2012-01-12 조영제(cho0je)

  • Si-OH (silanol group) 과 Hf - OH 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Si-OH (silanol group) 과 Hf - OH 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SiO2 oxide에 표면 처리를 하면 -OH group 이 잘 형성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HfO2 표면 위에도 Hf -OH group 이 잘 형성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Si-OH와 비교하여 둘중 어떤게 더 -OH group 을 잘 형성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여기에 대해 고민해보셨거나 관련지식이 있으신분들께서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SiO2
    • HfO2
    • surface chemistry

  • 황산하이드라진과 염산 하이드라진의 IR자료 부탁드립니다.

    황산하이드라진과 염산 하이드라진의 IR자료 부탁드립니다.

    N2H4.H2SO4인 황산하이드라진과, N2H4.HCl 염산 하이드라진을 제조하였습니다. IR 데이터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IR만 으로는 좀 러프한 데이터가 될 거 같은데   추가적인 데이터는 어떤 측정이 필요할까요??

    자세히 보기
    • 분석
    • 기기
    2012-01-12 조영제(cho0je)

  • Agilent TCD 에 관해서...ㅠㅠ

    Agilent TCD 에 관해서...ㅠㅠ

    이때 까지 FID를 를 사용하다가 어제 물분석을 하기 위해 TCD로 옮겨서 분석을 실시 해보았습니다. Agilent 7890A 라는 GC로 측정을 했는데 front injector는 FID back injector는 TCD 이런 식으로 되어있습니다.   TCD 분석을 처음으로 해서 인렛 부분이랑 디텍터부분의 조건들을 잘 모르겠네요...ㅠㅠ   물론 시료나 컬럼에 따라 전부 다르겠지만 혹시 일반적으로 쓰는 조건들을 알 수 있을까요??   컬럼은 Innowax고...

    자세히 보기
    • GC
    • Agilent
    • TCD

  • FT-IR를 이용한 peptide 2차구조 확인법이 궁금합니다.

    FT-IR를 이용한 peptide 2차구조 확인법이 궁금합니다.

    제가 단백질 구조를 IR로 측정해서 확인하라는 과제를 받았습니다.선행 논문들을 보고 실험방법을 익혀서 실험을 진행했는데,그 다음에 결과를 분석하려니 도통 몰라서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이쪽에서 실험하시거나 아니면 실험하는 곳을 알고 계신다면, 댓글 좀 달아주세요ㅠ

    자세히 보기
    • IR
    • peptide
    2012-01-12 유창수(rcs1987)

  • hydrazine sulfate, hydrazine hydrochloride 확인법

    hydrazine sulfate, hydrazine hydrochloride 확인법

    N2H4.H2SO4인 황산하이드라진과, N2H4.HCl 염산 하이드라진을 제조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X-ray가 가장 정확할 것 같지만   그 외 다른 측정 기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일단은 GC나 LC를 사용할 생각입니다.  GC나 LC 사용시 디텍터가 중요할 거 같은데 어떤 디텍터를 사용해야 하며  컬럼 선정도 부탁드립니다.  너무 거저 먹을려고 하는 거 같지만.....

    자세히 보기
    • 분석
    • hydrazine
    2012-01-11 조영제(cho0je)

  • 황색포도상구균 에 대해 질문드려요.

    황색포도상구균 에 대해 질문드려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성장곡선을 만드려고 하는데요. TSB+NaCl(10ml) 에서 seed culture를 하고 여기에서 2ml를 빼서 100ml TSB+NaCl에 다시 접종을 하고 이것을 배양하면서 시간별로 od 하고 cfu를 측정하려고 하는데요. 3시간째, 6시간째 cfu를 보면 0시간 대비해서 균이 거의 안자랐거든요.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걸까요? od값도 6시간째까지 거의 비슷합니다. 또, 100ml TSB있는 플라스크에서 건더기 같은게 많이 생겼는데.. 이것도 원래 이런...

    자세히 보기
    • 미생물
    • 황색포도상구균
    2012-01-11 장현수(leosis)

  • 편광 IR 측정시 사용하는 광학결정 선택에 관하여

    편광 IR 측정시 사용하는 광학결정 선택에 관하여

    혹시답변해주실분 잇을까해서 질문내용 을 다시 올립니다.배향처리돤 두개의 광학 결정을사용한 글라스셀에 액정시료를 주입하여편광 IR을 통해서 분자의 배향방향과 배향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합니다.이때 사용하는 광학결정 조건을 잘 몰라서 정보를 얻고자합니다.사용조건은 다음과같습니다.측정온도벙위: 0~300℃셀조건 : 수직, 수평(러빙처리) 배향막 코팅 셀 gap : 3~6μm셀크기 : 10X10(mm)얻고자하는 광학결정 정보는1. 측정가능 결정 종류( KBr과 BaF를 사용하고자하는데 측정시 지장이없는지...

    자세히 보기
    • polarized infrared
    • orientation
    • liquid crystal
    2012-01-11 이은우(masrlee)

  • GaSb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 문의

    GaSb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 문의

    안녕하세요.   GaSb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전지의 열적 특성이 궁금하여 질문올립니다. 집광형의 경우, 에너지가 높은 만큼 전지에 닿는 온도도 상당히 높을 텐데요. 이렇게 높은 온도에서 어느정도 효율 또는 안정성(수명 등)으로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섭씨 300~400도로 예상되는 온도에서 성능이 좋은 태양전지 재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원하는 답변으로는 해당 온도대역에서 사용가능한 몇가지 재료와 그 재료의 해당 온도대역의 발전효율입니다.   미리...

    자세히 보기
    • GaSb
    • 태양전지
    • 열적 특성
    2012-01-10 윤영설(yys0924)

  • cell lysis하여 protein extraction할 때 끈적거림 현상이 있습니다.

    cell lysis하여 protein extraction할 때 끈적거림 현상이 있습니다.

    RIPA buffer를 사용하여 cell lysis하는데요.   예전에는 안그랬는데 요즘 cell lysis하기 위하여 RIPA buffer를 처리하면 cell pellet이 콧물처럼 끈적이고, 나중에 supernatant를 딸 때 콧물같은 cell pellet이 자꾸 딸려 올라옵니다.   cell 양이 많은 것도 아니고, 오히려 적습니다. 예전에는 RIPA로 잘 뽑히던 protocol이었는데 콧물 끈적거림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서 아까운 sample만 버리고 있답...

    자세히 보기
    • western blot
    • protein extraction
    • 끈적거림 현상
    2012-01-10 이효지(koko7912)

  • Phosphate 계열 산화물에서 N을 정량하는 방법

    Phosphate 계열 산화물에서 N을 정량하는 방법

    LiPON과 같이 phosphate화합물에 N을 치환한 화합물을 합성하였는데 N을 정량하기가 힘드네요. TG로 시도해보았는데 온도를 1000도까지 올렸는데도 계속해서 무게가 증가합니다.   N이 빠져나가면서 O가 붙는다면 그만큼만 무게가 증가하고 포화되어야하는데 말이죠. 여러가지로 어렵네요.   N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phosphate
    • oxynitride
    • 시료 중의 N 정량
    2012-01-10 이미선(typie)

  • paromomycin 효율성

    paromomycin 효율성

    보통 nptII resistant gene 사용하면 kanamycin을 선별 마커로 사용하잖아요 근데 당근 캘러스를 세포 배양한 protalix라는 회사는 paromomycin이라는 항생제를 썼더라구요 왜 이 항생제를 썼는지 혹시 아시나요? 사람에게 직접 적용해도 되는 아주 mild한 항생제이기 때문에 고농도이더라도 이 항생제를 선택하게 된 것인가요? (논문에 보면 매우 높은 농도에서 형질전환된 캘러스를 선발(60mg/ml))   아니면 특허 상 아직 특허화가 되어 있지...

    자세히 보기
    • carrot
    • duchefa
    • santa cruz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