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교에서 msg제조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msg제조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MSG 제조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확실하게 알아야 할 것 같은 부분들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조공정은 아지노모토의 회사에 올라와 있는 설명들을 참고하려고 합니다. 1. 사탕수수의 원당 및 당밀 이란 것은 시판 사탕수수 원당을 사용해도 될까요? 2. 사용되는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이 맞나요? 3. 미생물 발효시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면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4. 미생물은 어디서 어떤 형태로 구해야 할까요? 5. 발효액에서 글루탐산은 어떻...
자세히 보기- 미생물
- 발효
- msg
2022-08-30 임제성(dlawp0203)- 1
-
3차원 배양을 위한 스페로이드 최적제조
3차원 배양을 위한 스페로이드 최적제조
스템셀을 입체배양하기위한 스페로이드제조가 균등하고 정밀하게 제작될수 있는 툴 사용해보신분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마땅한게 없어 고민입니다. 5K정도에서 안정적으로 만들어지는 스페로이드 제조툴로 스템셀 3찬원 대량배양을 해보고 싶습니다. 자료가능하신 분 공유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3차원 세포배양
- 줄기세포
- 스페로이드
2022-08-23 김동수(111denniskim)- 2
-
USP 자료받는 법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USP 자료받는 법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 "USP-NF <87> Biological Reactivity Test, In Vitro" 이 부분과 관련해서 최신버전을 받고싶은데.... 혹시 받는법 아시는분이나 가지고 계신분이 있으실까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cytotoxicity
- USP
2022-08-22 김정화(lusia7942)- 1
-
API 23 요청드립니다
API 23 요청드립니다
API23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요청드립니다. 도움주시면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비전통오일
- 플랜트
- 석유화학
2022-08-22 김용성(fairycom)- 0
-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 지원과 개발 제도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 지원과 개발 제도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국내외 이공계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개발(제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 연구자의 경력개발 (지원)제도 및 프로그램과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중국에서 이공계열 박사후연구원/신진 연구자로 활동중이시거나 중국 과학기술협회, 중국 박사후기금위원회 등 관련된 기관에서 근무하시는 등 중국의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개발과 관련하여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은 chujin7@naver.com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박사후연구원
- 신진 연구자
- 경력
2022-08-05 조형훈(chujin7)- 1
-
일본 취재 지원이 필요합니다
일본 취재 지원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산업언론 대덕넷(Hellodd.com) 길애경 기자입니다. what is? 맞는 성격의 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취재 도움이 필요해 올립니다. 대덕넷은 언론진흥재단 공모를 통해 해외 기획취재를 매년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제안 주제는 '과학기술로 지역소멸 해법 찾는다'입니다. 국내 취재는 과학기술 접목으로 지역생태계 활성화의 기반을 만들어 가고 있는 거창, 안동, 금산, 곡성 등등 현장 취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외로는...
자세히 보기- 일본
- 후쿠이
- 오사카
2022-08-05 길애경(kilpaper)- 1
-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프리커 관련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iso
- Flicker
2022-08-04 최인호(pkhcih)- 1
-
ADME assay
ADME assay
안녕하세요. 이번에 ADME을 셋업 진행하려고 합니다. 분석만 하다가 세포 시험이 있어서 이쪽은 해본적이 없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관련 문헌도 찾아봤으나,,, 좀 쉽게 풀이 한 내용을 찾고 있습니다. 식약처 내용을 찾아봤을땐 CYP 내용이 있으나, 참고 자료용으로만 가능 할거 같습니다. 관련 내용이나 protocol이 있으시분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ADME
- CYP
2022-08-02 김경윤(k2k2y1)- 1
-
Origin 그래프 기하 표준 편차
Origin 그래프 기하 표준 편차
안녕하세요, Origin프로그램에서 LogNormal로 만든 입자 크기 분포도를 분석하고있습니다. Peak 2의 기하 표준 편차 (GSD)를 알고싶은데 어느 값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저는 Sigma의 Standard Error값인 4,0613E13 으로 추측해 보는데, 값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문가 분들의 도음을 요청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기하 표준 편차
- GSD
- Origin
2022-07-29 박인영(zucker)- 2
-
hepatocellular cancer 관련 질문 드립니다.
hepatocellular cancer 관련 질문 드립니다.
"Oncostatin M is overexpressed in NASH-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promotes cancer cell invasiveness and angiogenesis" 1. 첨부된 논문의 figure 4에서 OSM이 암의 EMT를 촉진하는데 이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tight junction인 E-cadherin이 감소하는 이유와 extracellular matrix 성분인 fibronec...
자세히 보기- hepatocellular cancer
2022-07-26 조수호(kist22)- 1
-
아토피비임상시험
아토피비임상시험
아토피과제 비임상유효성실험 가능한 연구팀 또는 시험기관 정보공유 가능한 분 부탁드립니다. 과제경과가 촉박해서 시험모델이 구축되어 바로 시험의뢰 할 수 있는곳이면 좋겠습니다.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곳이면 더욱 좋겠는데요. 과제수행 주관기관에서 외주의뢰로 3개월내 진행완료했으면 합니다. 많이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아토피치료제
- 비임상연구
- 유효성실험
2022-07-13 김동수(111denniskim)- 2
-
약의 제형에 따른 차이
약의 제형에 따른 차이
정제형 약인 글로스타정 10mg짜리를 보면 원형인 형태와 타원형인 형태,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모양에서의 물리적 차이가 인체에 어떠한 화학적 차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 모양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화학적 차이가 없다면 왜 그럴까요.
자세히 보기- 약
- 제형
- 모양
2022-07-11 전민규(chon2005)- 2
-
정제형 약에서 같은 성분임에도 원형인 약과 타원형인 약이 있는데 그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정제형 약에서 같은 성분임에도 원형인 약과 타원형인 약이 있는데 그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글로스타정 같은 약을 보면 10mg인 약의 제형이 두 종류 인데 바로 하나는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타원형 입니다. 이렇게 같은 성분, 같은 종류의 약임에도 불구하고 제형의 차이가 있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정제형
- 원형
- 타원형
2022-07-11 전민규(chon2005)- 2
-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Do not need theory or any principle, but need only realization guide to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자세히 보기- BIM
- CAD
- WEB GIS
2022-07-06 박규범(god2se)- 1
-
PEG 분리
PEG 분리
Polyethyleneglycol(PEG, m.w 약 2000) monomer를 coupling 반응시켜 PEG-PEG dimer(m.w 약 4000)와 PEG-PEG-PEG trimer(m.w 약 6000)를 합성했습니다. Dimer 또는 trimer에서 monomer만을 분리해서 제거하고 싶은데 세 물질 모두 물성이 비슷하다 보니 분리가 어려운데요... 정제하지 않고 재결정이나 결정화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비슷한 실험 경험이 있으시거나 관련 조언, 또는 자료 부탁드립니...
자세히 보기- PEG
2022-06-16 장세호(caduceus)- 1
-
나피온 115 혹은 117
나피온 115 혹은 117
연료전지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국내에 나피온 재고를 가진 곳이 없어보이네요. 혹시 나피온 재고 가지고 있는 업체 아시는 분 있을까요? 해외 배송으로 주문은 할건데 오래걸려서, 혹시 빠르게 구할 곳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나피온
- nafion
- 연료전지
2022-06-07 이경수(kleestyle)- 2
-
- 상피내 림프구 세포
2022-06-05 고민지(minji586)- 2
-
용매에 따른 금속 산화물과 금속 나노입자의 흡광도 비교
용매에 따른 금속 산화물과 금속 나노입자의 흡광도 비교
금속 산화물 (metal oxide)과 금속 나노입자 (metal nanoparticles)를 UV/VIS-분광광도계를 통해 흡광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한번은 그 흡광도를 물질들을 증류수를 용매로하여 쟀고 다른 한번은 용매를 N2 질소 가스로 하여 쟀습니다. 그런데 금속 산화물에서는 액체 (그래프에서 빨간선) 와 기체 상태 (그래프에서 검은선)에서 모두 비슷한 형태와 Peak이 나타났는데, 금속 나노입자 (Ag)에서는 많이 다른 흡광도 그래프가 나타났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
자세히 보기- 흡광도
- UV/Vis-분광광도계
- 분광학
2022-06-03 박인영(zucker)- 2
-
열 질량 분석 (TGA)에서 질량 증가
열 질량 분석 (TGA)에서 질량 증가
각각 600도에서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Ag와 NiO를 N2 기체 기류 하에서 TGA 분석을 했습니다. 그런데 두 물질에서 모두 질량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찾아본 바로는 O2에서는 산화나 흡착으로 질량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는데, N2에서도 흡착이 일어날 수 있나요? 질량 증가가 일어난 원인이 무엇일까요..
자세히 보기- tga분석법
- 질량증가
- N2흡착
2022-05-22 박인영(zucker)- 4
-
흡수 스펙트럼 에서의 최댓값
흡수 스펙트럼 에서의 최댓값
Ag의 경우에 400nm 정도에서의 흡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때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물질 (NiO, Fe2O3, Co3O4)의 경우에서의 흡수는 다른 이유 때문인거같은데.. 왜 NiO에서는 Peaks가 나타나는 반면, Fe2O3에서는Peak가 안나타나는걸까요?Co3O4는 흡수를 3번하는 건가요? 다른 논문들을 찾아봐도 자세한 이유를 알 수가 없어서 질문 남겨 봅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분광학
- 분광광도계
- 흡수스펙트럼
2022-05-22 박인영(zucker)- 1
전체 17559개
-
고등학교에서 msg제조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msg제조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MSG 제조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확실하게 알아야 할 것 같은 부분들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조공정은 아지노모토의 회사에 올라와 있는 설명들을 참고하려고 합니다. 1. 사탕수수의 원당 및 당밀 이란 것은 시판 사탕수수 원당을 사용해도 될까요? 2. 사용되는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이 맞나요? 3. 미생물 발효시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면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4. 미생물은 어디서 어떤 형태로 구해야 할까요? 5. 발효액에서 글루탐산은 어떻...
자세히 보기- 미생물
- 발효
- msg
2022-08-30 임제성(dlawp0203)- 1
-
3차원 배양을 위한 스페로이드 최적제조
3차원 배양을 위한 스페로이드 최적제조
스템셀을 입체배양하기위한 스페로이드제조가 균등하고 정밀하게 제작될수 있는 툴 사용해보신분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마땅한게 없어 고민입니다. 5K정도에서 안정적으로 만들어지는 스페로이드 제조툴로 스템셀 3찬원 대량배양을 해보고 싶습니다. 자료가능하신 분 공유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3차원 세포배양
- 줄기세포
- 스페로이드
2022-08-23 김동수(111denniskim)- 2
-
USP 자료받는 법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USP 자료받는 법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 "USP-NF <87> Biological Reactivity Test, In Vitro" 이 부분과 관련해서 최신버전을 받고싶은데.... 혹시 받는법 아시는분이나 가지고 계신분이 있으실까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cytotoxicity
- USP
2022-08-22 김정화(lusia7942)- 1
-
API 23 요청드립니다
API 23 요청드립니다
API23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요청드립니다. 도움주시면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비전통오일
- 플랜트
- 석유화학
2022-08-22 김용성(fairycom)- 0
-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 지원과 개발 제도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 지원과 개발 제도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국내외 이공계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개발(제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중국 박사후연구원/신진 연구자의 경력개발 (지원)제도 및 프로그램과 관련 도움을 주실 분을 모십니다. 중국에서 이공계열 박사후연구원/신진 연구자로 활동중이시거나 중국 과학기술협회, 중국 박사후기금위원회 등 관련된 기관에서 근무하시는 등 중국의 박사후연구원/신진연구자의 경력개발과 관련하여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은 chujin7@naver.com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박사후연구원
- 신진 연구자
- 경력
2022-08-05 조형훈(chujin7)- 1
-
일본 취재 지원이 필요합니다
일본 취재 지원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산업언론 대덕넷(Hellodd.com) 길애경 기자입니다. what is? 맞는 성격의 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취재 도움이 필요해 올립니다. 대덕넷은 언론진흥재단 공모를 통해 해외 기획취재를 매년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제안 주제는 '과학기술로 지역소멸 해법 찾는다'입니다. 국내 취재는 과학기술 접목으로 지역생태계 활성화의 기반을 만들어 가고 있는 거창, 안동, 금산, 곡성 등등 현장 취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외로는...
자세히 보기- 일본
- 후쿠이
- 오사카
2022-08-05 길애경(kilpaper)- 1
-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프리커 관련 iso 13406-2 annex b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iso
- Flicker
2022-08-04 최인호(pkhcih)- 1
-
ADME assay
ADME assay
안녕하세요. 이번에 ADME을 셋업 진행하려고 합니다. 분석만 하다가 세포 시험이 있어서 이쪽은 해본적이 없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관련 문헌도 찾아봤으나,,, 좀 쉽게 풀이 한 내용을 찾고 있습니다. 식약처 내용을 찾아봤을땐 CYP 내용이 있으나, 참고 자료용으로만 가능 할거 같습니다. 관련 내용이나 protocol이 있으시분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ADME
- CYP
2022-08-02 김경윤(k2k2y1)- 1
-
Origin 그래프 기하 표준 편차
Origin 그래프 기하 표준 편차
안녕하세요, Origin프로그램에서 LogNormal로 만든 입자 크기 분포도를 분석하고있습니다. Peak 2의 기하 표준 편차 (GSD)를 알고싶은데 어느 값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저는 Sigma의 Standard Error값인 4,0613E13 으로 추측해 보는데, 값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문가 분들의 도음을 요청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기하 표준 편차
- GSD
- Origin
2022-07-29 박인영(zucker)- 2
-
hepatocellular cancer 관련 질문 드립니다.
hepatocellular cancer 관련 질문 드립니다.
"Oncostatin M is overexpressed in NASH-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promotes cancer cell invasiveness and angiogenesis" 1. 첨부된 논문의 figure 4에서 OSM이 암의 EMT를 촉진하는데 이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tight junction인 E-cadherin이 감소하는 이유와 extracellular matrix 성분인 fibronec...
자세히 보기- hepatocellular cancer
2022-07-26 조수호(kist22)- 1
-
아토피비임상시험
아토피비임상시험
아토피과제 비임상유효성실험 가능한 연구팀 또는 시험기관 정보공유 가능한 분 부탁드립니다. 과제경과가 촉박해서 시험모델이 구축되어 바로 시험의뢰 할 수 있는곳이면 좋겠습니다.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곳이면 더욱 좋겠는데요. 과제수행 주관기관에서 외주의뢰로 3개월내 진행완료했으면 합니다. 많이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아토피치료제
- 비임상연구
- 유효성실험
2022-07-13 김동수(111denniskim)- 2
-
약의 제형에 따른 차이
약의 제형에 따른 차이
정제형 약인 글로스타정 10mg짜리를 보면 원형인 형태와 타원형인 형태,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모양에서의 물리적 차이가 인체에 어떠한 화학적 차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 모양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화학적 차이가 없다면 왜 그럴까요.
자세히 보기- 약
- 제형
- 모양
2022-07-11 전민규(chon2005)- 2
-
정제형 약에서 같은 성분임에도 원형인 약과 타원형인 약이 있는데 그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정제형 약에서 같은 성분임에도 원형인 약과 타원형인 약이 있는데 그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글로스타정 같은 약을 보면 10mg인 약의 제형이 두 종류 인데 바로 하나는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타원형 입니다. 이렇게 같은 성분, 같은 종류의 약임에도 불구하고 제형의 차이가 있을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정제형
- 원형
- 타원형
2022-07-11 전민규(chon2005)- 2
-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How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Do not need theory or any principle, but need only realization guide to transform from CAD BIM to WEB GIS BIM.
자세히 보기- BIM
- CAD
- WEB GIS
2022-07-06 박규범(god2se)- 1
-
PEG 분리
PEG 분리
Polyethyleneglycol(PEG, m.w 약 2000) monomer를 coupling 반응시켜 PEG-PEG dimer(m.w 약 4000)와 PEG-PEG-PEG trimer(m.w 약 6000)를 합성했습니다. Dimer 또는 trimer에서 monomer만을 분리해서 제거하고 싶은데 세 물질 모두 물성이 비슷하다 보니 분리가 어려운데요... 정제하지 않고 재결정이나 결정화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비슷한 실험 경험이 있으시거나 관련 조언, 또는 자료 부탁드립니...
자세히 보기- PEG
2022-06-16 장세호(caduceus)- 1
-
나피온 115 혹은 117
나피온 115 혹은 117
연료전지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국내에 나피온 재고를 가진 곳이 없어보이네요. 혹시 나피온 재고 가지고 있는 업체 아시는 분 있을까요? 해외 배송으로 주문은 할건데 오래걸려서, 혹시 빠르게 구할 곳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자세히 보기- 나피온
- nafion
- 연료전지
2022-06-07 이경수(kleestyle)- 2
-
- 상피내 림프구 세포
2022-06-05 고민지(minji586)- 2
-
용매에 따른 금속 산화물과 금속 나노입자의 흡광도 비교
용매에 따른 금속 산화물과 금속 나노입자의 흡광도 비교
금속 산화물 (metal oxide)과 금속 나노입자 (metal nanoparticles)를 UV/VIS-분광광도계를 통해 흡광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한번은 그 흡광도를 물질들을 증류수를 용매로하여 쟀고 다른 한번은 용매를 N2 질소 가스로 하여 쟀습니다. 그런데 금속 산화물에서는 액체 (그래프에서 빨간선) 와 기체 상태 (그래프에서 검은선)에서 모두 비슷한 형태와 Peak이 나타났는데, 금속 나노입자 (Ag)에서는 많이 다른 흡광도 그래프가 나타났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
자세히 보기- 흡광도
- UV/Vis-분광광도계
- 분광학
2022-06-03 박인영(zucker)- 2
-
열 질량 분석 (TGA)에서 질량 증가
열 질량 분석 (TGA)에서 질량 증가
각각 600도에서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Ag와 NiO를 N2 기체 기류 하에서 TGA 분석을 했습니다. 그런데 두 물질에서 모두 질량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찾아본 바로는 O2에서는 산화나 흡착으로 질량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하는데, N2에서도 흡착이 일어날 수 있나요? 질량 증가가 일어난 원인이 무엇일까요..
자세히 보기- tga분석법
- 질량증가
- N2흡착
2022-05-22 박인영(zucker)- 4
-
흡수 스펙트럼 에서의 최댓값
흡수 스펙트럼 에서의 최댓값
Ag의 경우에 400nm 정도에서의 흡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때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물질 (NiO, Fe2O3, Co3O4)의 경우에서의 흡수는 다른 이유 때문인거같은데.. 왜 NiO에서는 Peaks가 나타나는 반면, Fe2O3에서는Peak가 안나타나는걸까요?Co3O4는 흡수를 3번하는 건가요? 다른 논문들을 찾아봐도 자세한 이유를 알 수가 없어서 질문 남겨 봅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분광학
- 분광광도계
- 흡수스펙트럼
2022-05-22 박인영(zucker)-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