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light와 Fill factor의 관계

    light와 Fill factor의 관계

    pn-junction의 포토실험을 하였는데 빛의 파워를 증가시킬수록 데이터의 fill factor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solar cell의 성능 평가에서 높은 파워에서도 높은 fill factor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2016-09-01 김종수(kjskumal)

  • 분자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분자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NMR같은 경우는 수소나 탄소NMR로 적분비를 통해 파악하고  IR로 특정 작용기를 확인하기는 하는데  그 외에 분자구조를 파악해볼수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IR같은 경우에는 특정 peak외에도 겹쳐서 나타나는 peak가 보이기도 하는거같은데 IR만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건가요? 

    자세히 보기
    • NMR
    • IR
    2016-08-31 김성수(zero1521)

  • NMR data에서 아래로 나온 peak는 무엇인가요?

    NMR data에서 아래로 나온 peak는 무엇인가요?

    여러번 찍음에 따라 점점 없어지긴 하지만 가끔 안없어지는 경우도 있던데 단순한 noise인가요??

    자세히 보기
    • NMR
    2016-08-31 김성수(zero1521)

  • 항염증 결과에 대해서

    항염증 결과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현재 항염증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NO, iNOS, PGE2, 염증 cytokine 같은 염증인자들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런데  COX-2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 하였을때  COX-2 단백질 level이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Kit를 이용해 COX-2 enzyme inhibitor을 확인 하였을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왜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항염증
    • COX-2
    • 천연물

  • 고분자 washing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고분자 washing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고분자 washing하는 과정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을텐데 저희는 일반적으로 MeOH EtOH Acetone Hexane 순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른 실험실에서는 어떤 순서로 어떤 솔벤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태양전지효율에서 EQE는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세요

    태양전지효율에서 EQE는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세요

    quantum efficiency 양자효율이라고 해석은 되는데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EQE
    2016-08-31 김성수(zero1521)

  • 최근 polymer solar cell의 최고 효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최근 polymer solar cell의 최고 효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논문과 같은 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SC
    2016-08-31 김성수(zero1521)

  • stille coupling을 이용하지 않은 고분자 합성법을 알려주세요

    stille coupling을 이용하지 않은 고분자 합성법을 알려주세요

    hermann catalyst정도는 알고있는데 좀 더 자세히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living polymerization , coupling reaction

    living polymerization , coupling reaction

    자세히 알고싶은데 자세히는 잘 검색이 안되네요 ㅠ  두 합성방법의 장단점을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Polymerization
    • Coupling
    • Reaction
    2016-08-31 이동욱(pobk1234)

  •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Polyethylene wax
    2016-08-31 이상준(juny6600)

  •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 촉매로 중합하면 입체특이성이 생긴다하는데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E wax
    • 지글러나타
    • 촉매
    2016-08-31 이상준(juny6600)

  • Platelet 입자와 Spherical 입자의 빛 산란 차이점

    Platelet 입자와 Spherical 입자의 빛 산란 차이점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에 입자 사용에 대한 투명도를 연구하고 있는데, 근거 자료가 없어서 조금 힘드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용액에 구형 나노입자 (200 nm) 를 넣었을 때와, platelet (육각형, 장반경 약 5 um, 높이는 약 100 nm 이하) 입자를 넣었을 때 용액의 투명도 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구형 나노입자와 platelet 입자의 빛의 산란에 차이가 나서 그런것은 알겠는데, 구체적인 자료를 찾기 힘들어서 이렇게 질문을 올려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입자
    • 광학

  • 고분자 합성이 된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

    고분자 합성이 된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

    고분자가 합성되었다는 척도를 알아보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 정도로는 TLC상에서 SM spot이 안 나타나는 것과 SM의 UV와 합성 중인 물질의 UV를 확인해보는것 아니면 GPC를 찍어보는 정도인데  다른 수단이 있을까요? 이미 해봤던 고분자를 확인할때는 SM의 색에서 [ex)노란색] 진한 남색으로 변화하는것을 보고 UV의 정도만 check하여 반응을 끊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진행중인 것은 진빨강에서 다른 색변화를 나타내지않고 있네요 UV는  확인해볼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촉매도 TLC 상에서 spot이 움직이나요??

    촉매도 TLC 상에서 spot이 움직이나요??

    고분자를 합성중인데 고분자 특유의 색이 나타나지않아 TLC를 찍어본 결과 baseline과 TLC상에 다른 spot이 움직이는 걸 확인하였습니다. spot은 SM이겠지만 한곳에 뭉쳐져있는것이 아닌 상당히 퍼져있었고 그 spot까지 baseline으로부터 쭉 끌려있습니다. 진하게 찍어도 연하게 찍어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기에 농도차는 아닌거같고 일부만 합성이 일어난듯 한데 baseline에 있는것이 일부가 고분자로 합성된것인지 아니면 그냥 촉매가 남아있는 것인지 잘몰라 질문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촉매
    • TLC
    2016-08-31 김성수(zero1521)

  • TLC찍는 간단한 팁좀 알려주세요.

    TLC찍는 간단한 팁좀 알려주세요.

    각각렙에서 나오는 여러분들의 팁들을 공유해보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TLC
    2016-08-30 이상준(juny6600)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합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합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합성에 대해서 질문 드리는데요   탄수화물은 C,H,O 로 구성되어 예를들면 포도당 (C6H12O6)과 같은 형태로 합성이 되며   지방은 C,H,O,N,P들이 각각의 구조를 형성 하고   단백질의 경우 DNA에 의해 합성된 아미노산의 서열로 구조가 결정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주 원초적인 질문이 생기는데요   난자와 정자의 결합으로 수정란이 형성되면 그 안의 D...

    자세히 보기
    •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
    2016-08-30 김성수(zero1521)

  • 실험을 하는데 HCl gas 효과적인 제거방법

    실험을 하는데 HCl gas 효과적인 제거방법

    실험을 하는데 라운드 비커에 반응을 걸면 HCl gas가 생성됩니다. 그런데 이것을 후드안에서 진행한다해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습니다. 위험하기도 해서 이걸 베큠에 걸어서 빨아들이려고 하니 라운드비커 안에있는 물질이 튀어오르기 시작하는데 HCl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이 있나요?

    자세히 보기
    • HCl
    • 제거방법
    2016-08-30 이동욱(pobk1234)

  •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온도와 분자량인데요 각각의 요인을 어떻게 하면 확산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잇나요?

    자세히 보기
    • 기체
    2016-08-30 이상준(juny6600)

  •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전도도 측정을 위해 고분자를 코팅하고 p/n type으로 도핑을 하는데 iodine은 p type으로 알고있는데 맞나요? 또한 FeCl3나 AuCl3는 어떤 타입의 도펀트인가요? 다른 도펀트 종류가 또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도핑

  • ionomer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ionomer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한글로 나온 내용은 글래스아이오노머라 나와서 이게 맞는건지 잘모르겠고 영어로는 해석해도 잘 이해가 안가네요 

    자세히 보기
    • ionomer
    2016-08-30 김성수(zero1521)

전체 17555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light와 Fill factor의 관계

    light와 Fill factor의 관계

    pn-junction의 포토실험을 하였는데 빛의 파워를 증가시킬수록 데이터의 fill factor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solar cell의 성능 평가에서 높은 파워에서도 높은 fill factor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2016-09-01 김종수(kjskumal)

  • 분자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분자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NMR같은 경우는 수소나 탄소NMR로 적분비를 통해 파악하고  IR로 특정 작용기를 확인하기는 하는데  그 외에 분자구조를 파악해볼수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IR같은 경우에는 특정 peak외에도 겹쳐서 나타나는 peak가 보이기도 하는거같은데 IR만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건가요? 

    자세히 보기
    • NMR
    • IR
    2016-08-31 김성수(zero1521)

  • NMR data에서 아래로 나온 peak는 무엇인가요?

    NMR data에서 아래로 나온 peak는 무엇인가요?

    여러번 찍음에 따라 점점 없어지긴 하지만 가끔 안없어지는 경우도 있던데 단순한 noise인가요??

    자세히 보기
    • NMR
    2016-08-31 김성수(zero1521)

  • 항염증 결과에 대해서

    항염증 결과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현재 항염증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NO, iNOS, PGE2, 염증 cytokine 같은 염증인자들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런데  COX-2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 하였을때  COX-2 단백질 level이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Kit를 이용해 COX-2 enzyme inhibitor을 확인 하였을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왜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항염증
    • COX-2
    • 천연물

  • 고분자 washing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고분자 washing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고분자 washing하는 과정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을텐데 저희는 일반적으로 MeOH EtOH Acetone Hexane 순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른 실험실에서는 어떤 순서로 어떤 솔벤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태양전지효율에서 EQE는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세요

    태양전지효율에서 EQE는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세요

    quantum efficiency 양자효율이라고 해석은 되는데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EQE
    2016-08-31 김성수(zero1521)

  • 최근 polymer solar cell의 최고 효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최근 polymer solar cell의 최고 효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논문과 같은 자료도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SC
    2016-08-31 김성수(zero1521)

  • stille coupling을 이용하지 않은 고분자 합성법을 알려주세요

    stille coupling을 이용하지 않은 고분자 합성법을 알려주세요

    hermann catalyst정도는 알고있는데 좀 더 자세히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living polymerization , coupling reaction

    living polymerization , coupling reaction

    자세히 알고싶은데 자세히는 잘 검색이 안되네요 ㅠ  두 합성방법의 장단점을 알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Polymerization
    • Coupling
    • Reaction
    2016-08-31 이동욱(pobk1234)

  •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Polyethylene wax를 중합하는 다른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Polyethylene wax
    2016-08-31 이상준(juny6600)

  •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PE wax를 중합하는데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지글러나타 촉매로 중합하면 입체특이성이 생긴다하는데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PE wax
    • 지글러나타
    • 촉매
    2016-08-31 이상준(juny6600)

  • Platelet 입자와 Spherical 입자의 빛 산란 차이점

    Platelet 입자와 Spherical 입자의 빛 산란 차이점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에 입자 사용에 대한 투명도를 연구하고 있는데, 근거 자료가 없어서 조금 힘드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용액에 구형 나노입자 (200 nm) 를 넣었을 때와, platelet (육각형, 장반경 약 5 um, 높이는 약 100 nm 이하) 입자를 넣었을 때 용액의 투명도 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구형 나노입자와 platelet 입자의 빛의 산란에 차이가 나서 그런것은 알겠는데, 구체적인 자료를 찾기 힘들어서 이렇게 질문을 올려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입자
    • 광학

  • 고분자 합성이 된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

    고분자 합성이 된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

    고분자가 합성되었다는 척도를 알아보고 싶습니다. 제가 아는 정도로는 TLC상에서 SM spot이 안 나타나는 것과 SM의 UV와 합성 중인 물질의 UV를 확인해보는것 아니면 GPC를 찍어보는 정도인데  다른 수단이 있을까요? 이미 해봤던 고분자를 확인할때는 SM의 색에서 [ex)노란색] 진한 남색으로 변화하는것을 보고 UV의 정도만 check하여 반응을 끊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진행중인 것은 진빨강에서 다른 색변화를 나타내지않고 있네요 UV는  확인해볼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 고분자
    2016-08-31 김성수(zero1521)

  • 촉매도 TLC 상에서 spot이 움직이나요??

    촉매도 TLC 상에서 spot이 움직이나요??

    고분자를 합성중인데 고분자 특유의 색이 나타나지않아 TLC를 찍어본 결과 baseline과 TLC상에 다른 spot이 움직이는 걸 확인하였습니다. spot은 SM이겠지만 한곳에 뭉쳐져있는것이 아닌 상당히 퍼져있었고 그 spot까지 baseline으로부터 쭉 끌려있습니다. 진하게 찍어도 연하게 찍어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기에 농도차는 아닌거같고 일부만 합성이 일어난듯 한데 baseline에 있는것이 일부가 고분자로 합성된것인지 아니면 그냥 촉매가 남아있는 것인지 잘몰라 질문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촉매
    • TLC
    2016-08-31 김성수(zero1521)

  • TLC찍는 간단한 팁좀 알려주세요.

    TLC찍는 간단한 팁좀 알려주세요.

    각각렙에서 나오는 여러분들의 팁들을 공유해보고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TLC
    2016-08-30 이상준(juny6600)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합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합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합성에 대해서 질문 드리는데요   탄수화물은 C,H,O 로 구성되어 예를들면 포도당 (C6H12O6)과 같은 형태로 합성이 되며   지방은 C,H,O,N,P들이 각각의 구조를 형성 하고   단백질의 경우 DNA에 의해 합성된 아미노산의 서열로 구조가 결정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주 원초적인 질문이 생기는데요   난자와 정자의 결합으로 수정란이 형성되면 그 안의 D...

    자세히 보기
    •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
    2016-08-30 김성수(zero1521)

  • 실험을 하는데 HCl gas 효과적인 제거방법

    실험을 하는데 HCl gas 효과적인 제거방법

    실험을 하는데 라운드 비커에 반응을 걸면 HCl gas가 생성됩니다. 그런데 이것을 후드안에서 진행한다해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습니다. 위험하기도 해서 이걸 베큠에 걸어서 빨아들이려고 하니 라운드비커 안에있는 물질이 튀어오르기 시작하는데 HCl을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이 있나요?

    자세히 보기
    • HCl
    • 제거방법
    2016-08-30 이동욱(pobk1234)

  •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기체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온도와 분자량인데요 각각의 요인을 어떻게 하면 확산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잇나요?

    자세히 보기
    • 기체
    2016-08-30 이상준(juny6600)

  •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

    전도도 측정을 위해 고분자를 코팅하고 p/n type으로 도핑을 하는데 iodine은 p type으로 알고있는데 맞나요? 또한 FeCl3나 AuCl3는 어떤 타입의 도펀트인가요? 다른 도펀트 종류가 또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도핑

  • ionomer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ionomer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한글로 나온 내용은 글래스아이오노머라 나와서 이게 맞는건지 잘모르겠고 영어로는 해석해도 잘 이해가 안가네요 

    자세히 보기
    • ionomer
    2016-08-30 김성수(zero1521)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