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망간 분자증류

    망간 분자증류

    망간괴 광산에서 채취후 분쇄한 후 환원제와 혼합하여 분자증류를 하고자 합니다~ 환원제 와 Retort 방식과 연속식 자료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Mn
    • 환원제
    • 연속분자증류

  • beta-mercaptethanol for RNA isolation

    beta-mercaptethanol for RNA isolation

    안녕하세요, cultured cell 혹은 animal tissue에서 RNA를 분리하려고 합니다.  QIAGEN kit로 RNA isolation을 할때 lysis buffer에 beta-mercaptethanol 을 넣어주라고 하는데, 그 농도가 RNA isolation에 얼마나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적게 넣거나 더 넣으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RNA isolation
    2016-06-16 최수미(chltnal)

  • 가소제자료 부탁드립니다.

    가소제자료 부탁드립니다.

    가소제 관련 자료... 특히 친환경 가소제관련 자료나 기존가소제의 유해성 관련자료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가소제
    2016-06-15 조동제(starks)

  • 유기트랜지스터에서의 face on, edge-on

    유기트랜지스터에서의 face on, edge-on

    유기 트랜지스터에서 유기 반도체 물질이 채널을 형성하는데 있어 edge-on으로 배열이 되어야 pi-pi interactions 이 잘되어 성능이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face-on 인지 edge-on인지 분석하는데 XRD를 이용하며 분석 방법에 out of plane 과 in plane 두가지로 분석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때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각각에 피크가 (100) (200) (300) / (010) 섞여서 나오며 책들을 봐도 좌표를 한가지로 고정된게 아니라 어떤건 s...

    자세히 보기
    • face on
    • edge-on
    2016-06-15 김종수(kjskumal)

  • Conjugation-absorption wavelength

    Conjugation-absorption wavelength

    polymer의 Conjugation 이 많이 되어 있을 수록 공명효과에 의해 더욱 안정해지는 것은 알겠는데 absorption을 찍으면 peak가 red shift 즉 장파장 이동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 말은 band gap이 작아진다는 뜻인데 이때 HOMO가 올라가는지 LUMO가 내려가는지 아니면 두개 다 영향을 받는지 왜 그렇게 이동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Conjugation
    • absorption
    2016-06-15 김종수(kjskumal)

  • 미개봉 유통기한 경과 시약

    미개봉 유통기한 경과 시약

    세포 배양을 진행 중인 1인 입니다 실험실에 미개봉한채로 1달 부터 1년 이상 까지 다양한 기간을 가진 시약들이 존재합니다 주로 파우더 형태이고요 습기에 약한 형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됩니다 시약회사에서는 유통기한을 준수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저는 이런 경험이 없어서요 개봉하지는 않았는데 유통기한이 경과한 시약 얼마 정도까지 경과한 것은 사용 가능할까요? 물론 어떤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주로 세포 증식 배양에만 사용할 계획입니다 (사용 가능이란 단어...

    자세히 보기
    • 시약 유통기한
    • 유통기한 경과

  • 데시케이터가 안열려요

    데시케이터가 안열려요

    뜨거운걸 바로 넣고 뚜껑을 닫아서 그런지 데시케이터가 쉽게 열리지 않아요 이럴땐 어떻게하는게 좋을까요

    자세히 보기
    • 압력
    2016-06-13 김은혜(yaho1234)

  • celite filter

    celite filter

    안녕하세요. 화학과 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제가 zirconium 기반의 complex 합성을 하고 있는데 우선 Cp 기반의 리간드에 n-BuLi을 사용하여 lithiation 후 ZrCl4를 적가하여 Cp2ZrCl2 유도체를 합성하고자 하였습니다. 부산물로 생성되는 LiCl을 잡아주고자 celite를 약 1~2cm정도 패킹 하여 crude를 DCM에 녹여 통과시켜 주었는데 celite에 product가 걸렸는지 통과된 물질을 날려보니 별로 얻어진게 없었습니다. ce...

    자세히 보기
    • celite
    • LiCl

  • 1000micron정도의 금속산화물을 50nm정도로 나노분쇄하는 기계

    1000micron정도의 금속산화물을 50nm정도로 나노분쇄하는 기계

    양산 기계 중 월 1톤정도 생산하는 장비공급 업체가 있나요? 분쇄장비 외에 어떤 장비가 필수적인지요. 신뢰성있는 업체로 추천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 나노
    • 습식
    • 건식

  • ionic liquid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ionic liquid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고분자에 ionic liquid로 도핑을 해주는데 여러가지 효과들이 있지만  논문을 보았을때 크게 차이가 남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왜 ionic liquid를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ionic liquid
    2016-06-08 이상준(juny6600)

  •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몇가지 질문사항이 있습니다. 폴리아믹산을 거쳐서 폴리이미드가 합성되는데 1. 이미드화 반응을 할때의 온도 조건이 논문마다 다 달라서 이미드화 온도를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기존에는 용매 m-cresol, 온도 195도였고, 현재는 용매 NMP, 온도 195도 입니다. 2. 100% 이미드화가 진행된 것을 판단해야 하는데, 확인할 방법이 IR 밖에는 없는건가요?    폴리이미드 ...

    자세히 보기
    • 유기화학
    • 고분자
    • 폴리이미드
    2016-06-07 김영범(gorrard)

  • cyclovoltammetry

    cyclovoltammetry

    안녕하세요. 화학계 연구실에 종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제가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여 oxidation potential과 reduction potential을 측정하고 그에따른 bandgap을 측정하기 위해 CV(cyclovoltammetry)를 측정 하였습니다. 그런데 측정 할 때마다 에너지 값이 너무 상이하게 나와서 결과에 대한 신뢰가 별로 없습니다. polishing 과정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것 말고도 reference전극의 종류나 counter 전극의 종류에 ...

    자세히 보기
    • cv

  • mass 질문입니다.

    mass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유기합성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benzene ring에 Br작용기가 두 개 달려있는데, compound mass가 계산 값으로 342.0732가 나옵니다.   유기 분광학 책을 찾아보았는데 molecular mass 비율이 M =100, M+2 = 195.0, M+4 = 95.4 와 같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실제 측정 결과 342와 344가 1:1 비율로 관측 되었습니다. 왜 이러죠?  

    자세히 보기
    • mass

  • high resolution mass

    high resolution mass

    안녕하세요. 유기 합성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high resolution mass를 측정하였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mass 계산된 값과 high resolution mass에 observed된 값의 오차범위가 얼마 이내여야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또, Int% 값과 Err[ppm/mmu] 값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high resolution mass
    • mass spectrum

  • IC50와 Ki 의 차이

    IC50와 Ki 의 차이

    어떤 약물이 특정 효소에 저해활성을 보일 때 주로 IC50 혹은 Ki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두가지가 정확히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의 친절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IC50
    • Ki
    2016-06-05

  • 반사율 측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반사율 측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다층박막으로 열선 반사 재료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spectrometer 장비가 반사도 측정이 안되서 혹시 경남이나 부산쪽에 측정가능한 연구원이나 실험실이 있을까요?? 파장대는 200~2000nm 정도 측정하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반사율
    • 투과도

  • baldwins's rule 질문입니다.

    baldwins's rule 질문입니다.

    baldwins's rule이 잘이해가 안되는데 아시는 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 baldwins's rule
    2016-06-04 이상준(juny6600)

  •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phobic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phobic

    논문을 읽다가 그냥 넘길 수도 있는 문제이긴한데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올려봅니다. 표면이 hydrophilic 한것이 surface energy 가 크고 hydrophobic 한 것이 surface energy 가 작다는 식으로 나와있는데 surface energy라는 에너지의 척도가 원래 따로 기준이 있는 것인가요? 즉 위에서 처럼 hydro기를 기준으로 philic하면 에너지가 높은게 정해져있는건지 타당한 이유나 신뢰할 만한 자료의 출처를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hydrophobic
    2016-06-02 김종수(kjskumal)

  • Mn 환원제

    Mn 환원제

     Mn 환원제로는 주로 많이 사용하는 재료가 무었이 있나요~! 연속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제법이 있는지요~~

    자세히 보기
    • Mn
    • 환원제
    • 연속추출법

  • 세포 배양하면서 효소 활성을 위해 Mg2+ 첨가의 고려

    세포 배양하면서 효소 활성을 위해 Mg2+ 첨가의 고려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2차 대사산물 생산수율을 높이고자 합니다 효소 활성을 높임으로써 타겟 물질 생산 수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요.. 확인해보니 이 효소는 Mg2+ 를 cofactor로 사용하고 이 이온을 첨가했을 때 효소 활성이 높아진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식물 세포 배양 배지에는 기본적으로 Mg2+이 macromolecule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포함된 농도는 세포가 생존하기 위한 농도이지요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이요.. 효소 활성을 위해 cofactor의...

    자세히 보기
    • 효소 활성화
    • cofactor
    • magnesium ion

전체 17555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망간 분자증류

    망간 분자증류

    망간괴 광산에서 채취후 분쇄한 후 환원제와 혼합하여 분자증류를 하고자 합니다~ 환원제 와 Retort 방식과 연속식 자료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Mn
    • 환원제
    • 연속분자증류

  • beta-mercaptethanol for RNA isolation

    beta-mercaptethanol for RNA isolation

    안녕하세요, cultured cell 혹은 animal tissue에서 RNA를 분리하려고 합니다.  QIAGEN kit로 RNA isolation을 할때 lysis buffer에 beta-mercaptethanol 을 넣어주라고 하는데, 그 농도가 RNA isolation에 얼마나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적게 넣거나 더 넣으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RNA isolation
    2016-06-16 최수미(chltnal)

  • 가소제자료 부탁드립니다.

    가소제자료 부탁드립니다.

    가소제 관련 자료... 특히 친환경 가소제관련 자료나 기존가소제의 유해성 관련자료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가소제
    2016-06-15 조동제(starks)

  • 유기트랜지스터에서의 face on, edge-on

    유기트랜지스터에서의 face on, edge-on

    유기 트랜지스터에서 유기 반도체 물질이 채널을 형성하는데 있어 edge-on으로 배열이 되어야 pi-pi interactions 이 잘되어 성능이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face-on 인지 edge-on인지 분석하는데 XRD를 이용하며 분석 방법에 out of plane 과 in plane 두가지로 분석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때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각각에 피크가 (100) (200) (300) / (010) 섞여서 나오며 책들을 봐도 좌표를 한가지로 고정된게 아니라 어떤건 s...

    자세히 보기
    • face on
    • edge-on
    2016-06-15 김종수(kjskumal)

  • Conjugation-absorption wavelength

    Conjugation-absorption wavelength

    polymer의 Conjugation 이 많이 되어 있을 수록 공명효과에 의해 더욱 안정해지는 것은 알겠는데 absorption을 찍으면 peak가 red shift 즉 장파장 이동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 말은 band gap이 작아진다는 뜻인데 이때 HOMO가 올라가는지 LUMO가 내려가는지 아니면 두개 다 영향을 받는지 왜 그렇게 이동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Conjugation
    • absorption
    2016-06-15 김종수(kjskumal)

  • 미개봉 유통기한 경과 시약

    미개봉 유통기한 경과 시약

    세포 배양을 진행 중인 1인 입니다 실험실에 미개봉한채로 1달 부터 1년 이상 까지 다양한 기간을 가진 시약들이 존재합니다 주로 파우더 형태이고요 습기에 약한 형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됩니다 시약회사에서는 유통기한을 준수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저는 이런 경험이 없어서요 개봉하지는 않았는데 유통기한이 경과한 시약 얼마 정도까지 경과한 것은 사용 가능할까요? 물론 어떤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주로 세포 증식 배양에만 사용할 계획입니다 (사용 가능이란 단어...

    자세히 보기
    • 시약 유통기한
    • 유통기한 경과

  • 데시케이터가 안열려요

    데시케이터가 안열려요

    뜨거운걸 바로 넣고 뚜껑을 닫아서 그런지 데시케이터가 쉽게 열리지 않아요 이럴땐 어떻게하는게 좋을까요

    자세히 보기
    • 압력
    2016-06-13 김은혜(yaho1234)

  • celite filter

    celite filter

    안녕하세요. 화학과 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제가 zirconium 기반의 complex 합성을 하고 있는데 우선 Cp 기반의 리간드에 n-BuLi을 사용하여 lithiation 후 ZrCl4를 적가하여 Cp2ZrCl2 유도체를 합성하고자 하였습니다. 부산물로 생성되는 LiCl을 잡아주고자 celite를 약 1~2cm정도 패킹 하여 crude를 DCM에 녹여 통과시켜 주었는데 celite에 product가 걸렸는지 통과된 물질을 날려보니 별로 얻어진게 없었습니다. ce...

    자세히 보기
    • celite
    • LiCl

  • 1000micron정도의 금속산화물을 50nm정도로 나노분쇄하는 기계

    1000micron정도의 금속산화물을 50nm정도로 나노분쇄하는 기계

    양산 기계 중 월 1톤정도 생산하는 장비공급 업체가 있나요? 분쇄장비 외에 어떤 장비가 필수적인지요. 신뢰성있는 업체로 추천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 나노
    • 습식
    • 건식

  • ionic liquid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ionic liquid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고분자에 ionic liquid로 도핑을 해주는데 여러가지 효과들이 있지만  논문을 보았을때 크게 차이가 남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왜 ionic liquid를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ionic liquid
    2016-06-08 이상준(juny6600)

  •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폴리이미드 합성 관련하여 몇가지 질문사항이 있습니다. 폴리아믹산을 거쳐서 폴리이미드가 합성되는데 1. 이미드화 반응을 할때의 온도 조건이 논문마다 다 달라서 이미드화 온도를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기존에는 용매 m-cresol, 온도 195도였고, 현재는 용매 NMP, 온도 195도 입니다. 2. 100% 이미드화가 진행된 것을 판단해야 하는데, 확인할 방법이 IR 밖에는 없는건가요?    폴리이미드 ...

    자세히 보기
    • 유기화학
    • 고분자
    • 폴리이미드
    2016-06-07 김영범(gorrard)

  • cyclovoltammetry

    cyclovoltammetry

    안녕하세요. 화학계 연구실에 종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제가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여 oxidation potential과 reduction potential을 측정하고 그에따른 bandgap을 측정하기 위해 CV(cyclovoltammetry)를 측정 하였습니다. 그런데 측정 할 때마다 에너지 값이 너무 상이하게 나와서 결과에 대한 신뢰가 별로 없습니다. polishing 과정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것 말고도 reference전극의 종류나 counter 전극의 종류에 ...

    자세히 보기
    • cv

  • mass 질문입니다.

    mass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유기합성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benzene ring에 Br작용기가 두 개 달려있는데, compound mass가 계산 값으로 342.0732가 나옵니다.   유기 분광학 책을 찾아보았는데 molecular mass 비율이 M =100, M+2 = 195.0, M+4 = 95.4 와 같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실제 측정 결과 342와 344가 1:1 비율로 관측 되었습니다. 왜 이러죠?  

    자세히 보기
    • mass

  • high resolution mass

    high resolution mass

    안녕하세요. 유기 합성 연구중인 대학원생입니다.   high resolution mass를 측정하였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mass 계산된 값과 high resolution mass에 observed된 값의 오차범위가 얼마 이내여야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또, Int% 값과 Err[ppm/mmu] 값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high resolution mass
    • mass spectrum

  • IC50와 Ki 의 차이

    IC50와 Ki 의 차이

    어떤 약물이 특정 효소에 저해활성을 보일 때 주로 IC50 혹은 Ki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두가지가 정확히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의 친절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IC50
    • Ki
    2016-06-05

  • 반사율 측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반사율 측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다층박막으로 열선 반사 재료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spectrometer 장비가 반사도 측정이 안되서 혹시 경남이나 부산쪽에 측정가능한 연구원이나 실험실이 있을까요?? 파장대는 200~2000nm 정도 측정하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반사율
    • 투과도

  • baldwins's rule 질문입니다.

    baldwins's rule 질문입니다.

    baldwins's rule이 잘이해가 안되는데 아시는 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 baldwins's rule
    2016-06-04 이상준(juny6600)

  •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phobic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phobic

    논문을 읽다가 그냥 넘길 수도 있는 문제이긴한데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올려봅니다. 표면이 hydrophilic 한것이 surface energy 가 크고 hydrophobic 한 것이 surface energy 가 작다는 식으로 나와있는데 surface energy라는 에너지의 척도가 원래 따로 기준이 있는 것인가요? 즉 위에서 처럼 hydro기를 기준으로 philic하면 에너지가 높은게 정해져있는건지 타당한 이유나 신뢰할 만한 자료의 출처를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surface energy
    • hydrophilic
    • hydrophobic
    2016-06-02 김종수(kjskumal)

  • Mn 환원제

    Mn 환원제

     Mn 환원제로는 주로 많이 사용하는 재료가 무었이 있나요~! 연속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제법이 있는지요~~

    자세히 보기
    • Mn
    • 환원제
    • 연속추출법

  • 세포 배양하면서 효소 활성을 위해 Mg2+ 첨가의 고려

    세포 배양하면서 효소 활성을 위해 Mg2+ 첨가의 고려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2차 대사산물 생산수율을 높이고자 합니다 효소 활성을 높임으로써 타겟 물질 생산 수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요.. 확인해보니 이 효소는 Mg2+ 를 cofactor로 사용하고 이 이온을 첨가했을 때 효소 활성이 높아진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식물 세포 배양 배지에는 기본적으로 Mg2+이 macromolecule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포함된 농도는 세포가 생존하기 위한 농도이지요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이요.. 효소 활성을 위해 cofactor의...

    자세히 보기
    • 효소 활성화
    • cofactor
    • magnesium ion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