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wave vector, Density of states 등 물리학 부분질문

    wave vector, Density of states 등 물리학 부분질문

    먼저 schrodinger wave equation에 나오는 k값 (루트 (2mE/(h/2pi)^2)) 이 wave vector 그리고 reciprocal space의 거리좌표 k와 모두 동일한거같은데 맞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그리고schrodinger wave equation을 공부할때 나오는 1D infinite potential well 의 경우 V=0인 공간 좌표는 0~a 일 때 k 값은 n(pi)/a 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3D 의 D.O.S. 를 보면 2가 곱해져서 2...

    자세히 보기
    • D.O.S.
    2015-12-12 김종수(kjskumal)

  • MOSFET, Organic Transistor

    MOSFET, Organic Transistor

    Organic transistor를 공부하는 학생입니다만 수업에서 배운 MOSFET과 차이가 있는듯 하여 질문드리고자합니다. 헷갈리고 있는것이 MOSFET에서 배우기로 p-type semiconductor로 예를 들면 게이트를 마이너스로 가할때 홀이 accumulation되고 작은 플러스를 가할때 depletion, 크게 플러스 전압을 가할때 inversion이 일어난다는 것은 이해를 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알고 있는 바와 실험하고 있는 organic MOSFET의 경우 accumulation을 ...

    자세히 보기
    • MOSFET
    • Organic semiconductor
    2015-12-12 김종수(kjskumal)

  •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제가 예상하는 당의 구조를 LTQ-Orbitrap Positive 모드를 이용하여 MSMS를 찍은 데이타입니다.제가 예상하는 당의 구조는 PPT1 인데 209가 어디서 나온건지 아예 새로운 물질 인지 알수가 없습니다.여러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PPT 에서 1번은 예상되는 당의 구조입니다.2.그 당의 구조를 full mass 로 측정한 데이타들입니다.  여기에서 보면 각각의 peak 들이 209가 차이가 나는데 ...

    자세히 보기
    • Ms/MS

  • 셀룰로오스가 이온성액체에 용해되는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셀룰로오스가 이온성액체에 용해되는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셀룰로오스가 잘 용해 되지 않는 물질로 알고 있는데이온성 액체 에 용해 될때 5~10% 용해된다고 하네요용해시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셀룰로오스
    • 이온성액체

  • NMR software

    NMR software

    안녕하세요.ACD/NMR Processor Academic Edition이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서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NMR
    2015-12-08 김병수(kim1000j)

  • PU필름의 내한성(저온유연성) 대책?

    PU필름의 내한성(저온유연성) 대책?

    폴리우레탄수지합성에 있어서 내한성(저온유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아웃도어용 투습방수기능성 필름으로서 극한환경(-32도)에서 기능성유지를 위한 용도로 전개코자합니다.극한환경하에서 30000회 이상의 굴곡변형을 가한 후 방수기능(내수도)성이 발현되는 제품제조가 목표입니다..합성이나 블랜딩 공정에서 개선할수있는 방법에 대해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PU필름
    • 저온유연성
    • 내한성
    2015-12-07 권오경(ok55)

  • guanidine hydrochloride 이 녹지 않습니다.

    guanidine hydrochloride 이 녹지 않습니다.

    guanidine hydrochloride을 물에 녹이려고 하는데 녹지를 않습니다.40도씨에서 워밍업하면서 돌려도 보고 소니캐이션도 해보고 하는데 도통 녹지 않네요.(4시간 정도 녹였습니다.)잘녹이는 방법이있나요?아니면 몇시간이나 해야하나요? 

    자세히 보기
    • guanidine hydrochloride
    2015-12-07 박지상(bobal)

  • 논문 부탁드립니다.

    논문 부탁드립니다.

    Gut. 2013 Jun;62(6):899-910. doi: 10.1136/gutjnl-2012-302945. Epub 2013 Jan 3.Identifica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15 as a novel mediator of liver regeneration and its application in the prevention of post-resection liver failure in mice.PMID: 23292666http://www.ncbi.nlm.ni...

    자세히 보기
    • Gut
    • FGF15

  • cell free assay 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cell free assay 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cell free assay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기존의 cell 을 가지고 하는 것에 무언가 빠지거나 인공적임을 가미해서 하는 것 같은데. 하는 이유와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cell free assay
    2015-12-07 양현모(yymomo)

  • Na, NaH, NaBH4 등 수분 접촉시 불나는 이유?

    Na, NaH, NaBH4 등 수분 접촉시 불나는 이유?

    Na, NaH, NaBH4 등 수분과 접촉시 불이 나는 데정확히 그이유는 무엇인가요??NaH를 예를 들어 물과 반응시, 수소 기체 발생하고 까지는 알겠는데 불까지 나는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어서요. 열원이 무엇이며 등등의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NaH
    2015-12-06 신영민(goosle2)

  • 가시광선은 빛의 극히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보이나요?

    가시광선은 빛의 극히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보이나요?

    꺼진 TV화면에 비친 하얀 조명이 사진과 같이 나타났습니다.가시광선은 빛의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저렇게(첨부한 사진과 같이) 보이는 걸까요?무지개빛 가시광선은 띠엄띠엄 조금씩 나타나고 나머지는 텅 비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왜 저렇게 보이는 건지 궁금하네요.제 지식선에서 두어 가지 예측을 해 보면1. 가시광선만 스크린에서 반사되었기 때문에.2. 보이지 않는 부분은 뇌가 주변 정보로 메워버렸기 때문에.위에 것들은 어디까지나 가정입니다. 빛이란 것에 대한 저의 이해가 부족하기에 이런 의문도...

    자세히 보기
    • 가시광선
    2015-12-06 백운석(bws0011)

  •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무슨말인가요?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무슨말인가요?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전하가 밀도 q/(4/3파이r^3) 로 송 속에 고르게 퍼진 상태에서 r 에 생기는 전기장과 같다고 하는데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을 평균한다는 말이 무슨말인가요?

    자세히 보기
    • 전기장
    2015-12-04 임창현(12ckdgus)

  • 피라니 진공 게이지 추천 부탁합니다.

    피라니 진공 게이지 추천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rotary pump를 유기합성라인과 진공오븐 등에 연결해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진공(~10^-3 torr)에 잘 도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pirani vacuum gauge를 알아보고 있습니다.Kurt J Lesker 제품 이외에는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데,혹시 국내  업체 또는 외국 업체라도 추천을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진공
    • 피라니
    • 압력계
    2015-12-03 김상원(costa97)

  • Genomic DNA를 whole genome amplification 후, QC어떻게 해야 할까요?

    Genomic DNA를 whole genome amplification 후, QC어떻게 해야 할까요?

    쓸만한 kit이나, 혹은 방법이 없나요?

    자세히 보기
    • qc
    • whole genome amplification
    2015-12-03 김주혁(kjh5703)

  •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 풀러렌
    • c60
    • 카본
    2015-12-03 김용중(ykimj)

  • lamella interferometer 구조 및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lamella interferometer 구조 및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lamella interferometer 디바이스의 원리 및 구조를 알고 싶습니다.일반 미켈슨 interferometer 와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interferometer
    • lamella
    2015-12-02 서병일(sir0305)

  • vertical memory

    vertical memory

    최근 트랜지스터를 그래핀 fermi level의  gate tuning 을 이용하거나 coplanar gate를 이용해 vertical transistor를 만드는 연구가 있고 그것을 진행중이던 학생인데 소자를 만들다보니 hysterisis가 크게 메모리 효과를 보이는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혹시 메모리소자에서도 vertical 구조로 만드는 것이 있나요?? 혹시 있다면 기존 lateral 한 구조와 다르게 보이는 장점 혹은 단점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vertical
    • memory
    2015-12-02 김종수(kjskumal)

  • 분자량으로 물질 정보 찾기

    분자량으로 물질 정보 찾기

    Taxus spp. cell culture를 통해 어떤 물질을 확보했습니다참고로 저는 chemical compound에 대해서는 문외한입니다.이 물질의 분자량은 685이고 retention time이 40분대 이상인 매우 비극성 compound입니다이 물질에 대한 정보라고는 분자량과 비극성이라는 것 Taxus spp에서 나왔다는 것 뿐입니다이 물질이 어떤 물질인지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이를테면 Taxus spp. 내 포함된 물질에 대한 database가 있어서 그 DB에서 분자량 만으로...

    자세히 보기
    • Taxus spp
    • Molecular weight
    • compound

  • Thin film의 optical bandgap 측정

    Thin film의 optical bandgap 측정

    안녕하세요.제가 요즘 UV-visible 분석장비를 이용해서 유리 기판에 증착된 thin film의 bandgpa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대략적으로 tauc plot에 따라서 direct와 indirect로 구분되는 것은 인지하고 있습니다.혹시 자세한 분석과정과 설명을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absorbance에 대해서도 약간 혼동이 생기고 있습니다. tauc plot 시 absorbace를 통해서 계산을 유도하는 지도 궁금합니다.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자세히 보기
    • thin film
    • bandgap
    • tauc plot
    2015-12-02 신동협(dhshin82)

  •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반응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반응

    안녕하세요제가 acid chloride와 polyethylene glycol(M.W=1000)을 이용하여 합성을 하려고 합니다.poly THF 를 사용하였을때는 잘 진행되던 반응이 PEG를 쓰니까 진행이 잘 안됩니다.방법은 PEG를 녹인후 acid chloride를 첨가하고 TEA를 dropping 하는 방식인데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아 도움을 요청합니다.

    자세히 보기
    • PEG
    • polyethyleneglycol
    2015-12-01 김주연(kjooen97)

전체 17555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wave vector, Density of states 등 물리학 부분질문

    wave vector, Density of states 등 물리학 부분질문

    먼저 schrodinger wave equation에 나오는 k값 (루트 (2mE/(h/2pi)^2)) 이 wave vector 그리고 reciprocal space의 거리좌표 k와 모두 동일한거같은데 맞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그리고schrodinger wave equation을 공부할때 나오는 1D infinite potential well 의 경우 V=0인 공간 좌표는 0~a 일 때 k 값은 n(pi)/a 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3D 의 D.O.S. 를 보면 2가 곱해져서 2...

    자세히 보기
    • D.O.S.
    2015-12-12 김종수(kjskumal)

  • MOSFET, Organic Transistor

    MOSFET, Organic Transistor

    Organic transistor를 공부하는 학생입니다만 수업에서 배운 MOSFET과 차이가 있는듯 하여 질문드리고자합니다. 헷갈리고 있는것이 MOSFET에서 배우기로 p-type semiconductor로 예를 들면 게이트를 마이너스로 가할때 홀이 accumulation되고 작은 플러스를 가할때 depletion, 크게 플러스 전압을 가할때 inversion이 일어난다는 것은 이해를 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알고 있는 바와 실험하고 있는 organic MOSFET의 경우 accumulation을 ...

    자세히 보기
    • MOSFET
    • Organic semiconductor
    2015-12-12 김종수(kjskumal)

  •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mass 를 측정했는데 어디서 이런 구조가 나온것인지 의견부탁드려요제가 예상하는 당의 구조를 LTQ-Orbitrap Positive 모드를 이용하여 MSMS를 찍은 데이타입니다.제가 예상하는 당의 구조는 PPT1 인데 209가 어디서 나온건지 아예 새로운 물질 인지 알수가 없습니다.여러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PPT 에서 1번은 예상되는 당의 구조입니다.2.그 당의 구조를 full mass 로 측정한 데이타들입니다.  여기에서 보면 각각의 peak 들이 209가 차이가 나는데 ...

    자세히 보기
    • Ms/MS

  • 셀룰로오스가 이온성액체에 용해되는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셀룰로오스가 이온성액체에 용해되는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셀룰로오스가 잘 용해 되지 않는 물질로 알고 있는데이온성 액체 에 용해 될때 5~10% 용해된다고 하네요용해시 메카니즘이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셀룰로오스
    • 이온성액체

  • NMR software

    NMR software

    안녕하세요.ACD/NMR Processor Academic Edition이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서문의 드립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 NMR
    2015-12-08 김병수(kim1000j)

  • PU필름의 내한성(저온유연성) 대책?

    PU필름의 내한성(저온유연성) 대책?

    폴리우레탄수지합성에 있어서 내한성(저온유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아웃도어용 투습방수기능성 필름으로서 극한환경(-32도)에서 기능성유지를 위한 용도로 전개코자합니다.극한환경하에서 30000회 이상의 굴곡변형을 가한 후 방수기능(내수도)성이 발현되는 제품제조가 목표입니다..합성이나 블랜딩 공정에서 개선할수있는 방법에 대해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PU필름
    • 저온유연성
    • 내한성
    2015-12-07 권오경(ok55)

  • guanidine hydrochloride 이 녹지 않습니다.

    guanidine hydrochloride 이 녹지 않습니다.

    guanidine hydrochloride을 물에 녹이려고 하는데 녹지를 않습니다.40도씨에서 워밍업하면서 돌려도 보고 소니캐이션도 해보고 하는데 도통 녹지 않네요.(4시간 정도 녹였습니다.)잘녹이는 방법이있나요?아니면 몇시간이나 해야하나요? 

    자세히 보기
    • guanidine hydrochloride
    2015-12-07 박지상(bobal)

  • 논문 부탁드립니다.

    논문 부탁드립니다.

    Gut. 2013 Jun;62(6):899-910. doi: 10.1136/gutjnl-2012-302945. Epub 2013 Jan 3.Identifica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15 as a novel mediator of liver regeneration and its application in the prevention of post-resection liver failure in mice.PMID: 23292666http://www.ncbi.nlm.ni...

    자세히 보기
    • Gut
    • FGF15

  • cell free assay 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cell free assay 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cell free assay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기존의 cell 을 가지고 하는 것에 무언가 빠지거나 인공적임을 가미해서 하는 것 같은데. 하는 이유와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cell free assay
    2015-12-07 양현모(yymomo)

  • Na, NaH, NaBH4 등 수분 접촉시 불나는 이유?

    Na, NaH, NaBH4 등 수분 접촉시 불나는 이유?

    Na, NaH, NaBH4 등 수분과 접촉시 불이 나는 데정확히 그이유는 무엇인가요??NaH를 예를 들어 물과 반응시, 수소 기체 발생하고 까지는 알겠는데 불까지 나는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어서요. 열원이 무엇이며 등등의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NaH
    2015-12-06 신영민(goosle2)

  • 가시광선은 빛의 극히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보이나요?

    가시광선은 빛의 극히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보이나요?

    꺼진 TV화면에 비친 하얀 조명이 사진과 같이 나타났습니다.가시광선은 빛의 일부일 뿐인데 왜 전부인 마냥 저렇게(첨부한 사진과 같이) 보이는 걸까요?무지개빛 가시광선은 띠엄띠엄 조금씩 나타나고 나머지는 텅 비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왜 저렇게 보이는 건지 궁금하네요.제 지식선에서 두어 가지 예측을 해 보면1. 가시광선만 스크린에서 반사되었기 때문에.2. 보이지 않는 부분은 뇌가 주변 정보로 메워버렸기 때문에.위에 것들은 어디까지나 가정입니다. 빛이란 것에 대한 저의 이해가 부족하기에 이런 의문도...

    자세히 보기
    • 가시광선
    2015-12-06 백운석(bws0011)

  •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무슨말인가요?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무슨말인가요?

    공 속의 점r에 있는 점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의 평균값이 전하가 밀도 q/(4/3파이r^3) 로 송 속에 고르게 퍼진 상태에서 r 에 생기는 전기장과 같다고 하는데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을 평균한다는 말이 무슨말인가요?

    자세히 보기
    • 전기장
    2015-12-04 임창현(12ckdgus)

  • 피라니 진공 게이지 추천 부탁합니다.

    피라니 진공 게이지 추천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rotary pump를 유기합성라인과 진공오븐 등에 연결해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진공(~10^-3 torr)에 잘 도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pirani vacuum gauge를 알아보고 있습니다.Kurt J Lesker 제품 이외에는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데,혹시 국내  업체 또는 외국 업체라도 추천을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진공
    • 피라니
    • 압력계
    2015-12-03 김상원(costa97)

  • Genomic DNA를 whole genome amplification 후, QC어떻게 해야 할까요?

    Genomic DNA를 whole genome amplification 후, QC어떻게 해야 할까요?

    쓸만한 kit이나, 혹은 방법이 없나요?

    자세히 보기
    • qc
    • whole genome amplification
    2015-12-03 김주혁(kjh5703)

  •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Fullerene의 개요에 대한 리뷰논문 있으시면 추천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 풀러렌
    • c60
    • 카본
    2015-12-03 김용중(ykimj)

  • lamella interferometer 구조 및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lamella interferometer 구조 및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lamella interferometer 디바이스의 원리 및 구조를 알고 싶습니다.일반 미켈슨 interferometer 와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interferometer
    • lamella
    2015-12-02 서병일(sir0305)

  • vertical memory

    vertical memory

    최근 트랜지스터를 그래핀 fermi level의  gate tuning 을 이용하거나 coplanar gate를 이용해 vertical transistor를 만드는 연구가 있고 그것을 진행중이던 학생인데 소자를 만들다보니 hysterisis가 크게 메모리 효과를 보이는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혹시 메모리소자에서도 vertical 구조로 만드는 것이 있나요?? 혹시 있다면 기존 lateral 한 구조와 다르게 보이는 장점 혹은 단점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vertical
    • memory
    2015-12-02 김종수(kjskumal)

  • 분자량으로 물질 정보 찾기

    분자량으로 물질 정보 찾기

    Taxus spp. cell culture를 통해 어떤 물질을 확보했습니다참고로 저는 chemical compound에 대해서는 문외한입니다.이 물질의 분자량은 685이고 retention time이 40분대 이상인 매우 비극성 compound입니다이 물질에 대한 정보라고는 분자량과 비극성이라는 것 Taxus spp에서 나왔다는 것 뿐입니다이 물질이 어떤 물질인지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이를테면 Taxus spp. 내 포함된 물질에 대한 database가 있어서 그 DB에서 분자량 만으로...

    자세히 보기
    • Taxus spp
    • Molecular weight
    • compound

  • Thin film의 optical bandgap 측정

    Thin film의 optical bandgap 측정

    안녕하세요.제가 요즘 UV-visible 분석장비를 이용해서 유리 기판에 증착된 thin film의 bandgpa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대략적으로 tauc plot에 따라서 direct와 indirect로 구분되는 것은 인지하고 있습니다.혹시 자세한 분석과정과 설명을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absorbance에 대해서도 약간 혼동이 생기고 있습니다. tauc plot 시 absorbace를 통해서 계산을 유도하는 지도 궁금합니다.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자세히 보기
    • thin film
    • bandgap
    • tauc plot
    2015-12-02 신동협(dhshin82)

  •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반응

    polyethylene glycol을 이용한 반응

    안녕하세요제가 acid chloride와 polyethylene glycol(M.W=1000)을 이용하여 합성을 하려고 합니다.poly THF 를 사용하였을때는 잘 진행되던 반응이 PEG를 쓰니까 진행이 잘 안됩니다.방법은 PEG를 녹인후 acid chloride를 첨가하고 TEA를 dropping 하는 방식인데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아 도움을 요청합니다.

    자세히 보기
    • PEG
    • polyethyleneglycol
    2015-12-01 김주연(kjooen97)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