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중화염의 용해도 차이

    중화염의 용해도 차이

    요소와 NaOH / KOH가 녹아 있는 페놀 수지를 황산으로 중화하였습니다. 이때 NaOH 수용액에 황산이나, KOH 수용액에 황산으로 각각 중화한것 보다 NaOH와 KOH 1:1로 섞은 수용액에 황산 수용액으로 중화를 하면 중화 염에 관한 용해도가 상승 하는것 같은데 그러한 이유가 뭘까요? - 질문을 잘못드린거 같아서 다시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중화염
    • 용해도
    2019-12-26 이상준(juny6600)

  • 중화시 용해도 차이

    중화시 용해도 차이

    NaOH 수용액에 황산이나, KOH 수용액에 황산보다 NaOH와 KOH 섞은 수용액에 황산 수용액으로 중화를 하면 중화 염에 관한 용해도가 상승 하는것 같은데 그러한 이유가 뭘까요? - 실험중에 요소가 석출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 용해도
    • 중화
    2019-12-20 이상준(juny6600)

  •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에 추가 질문입니다.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에 추가 질문입니다.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에 대한 여러분들이 의견을 주셨습니다. 저도 나름대로 여기저기 물어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의견이 EPMA, ICP를 추천하시더군요. 99.9% Ta를 분석하는데 C가 꽤 많이 있는 것처럼 분석되는 것을 해결하는 것은 어렵더군요. 1. EPMA을 아시는 분들은 C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렵다 2. ICP를 아시는 분들은 C가 잘 분석되지 않는다. 또다른 분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TGA로 C의 절대량을 측정...

    자세히 보기
    • EDS
    • WDS
    • ICP
    2019-12-17 변성천(rg1000)

  •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키는 방법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키는 방법

    안녕하세요. 저는 주로 암세포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요즘에 새로 시도하는 연구가 있는데 제가 이쪽으로 공부를 많이 못해서 궁금한 점이 많아서  코젠 여러분께 질문 드려요. 제가 원하는 단백질에 특정 서열이 inhibitor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려고 peptide를 합성했는데 CPP -peptide라는 것을 아예 생각을 못하고 free peptide 서열로 합성을 했습니다. 혹시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켜보신 분이 있다면 방법이나 아니면 참고...

    자세히 보기
    • free peptide
    • transfection
    2019-12-11 김옥화(kah3173)

  • Ethylhexylglycerin 소취작용관련

    Ethylhexylglycerin 소취작용관련

    Ethylhexylglycerin에 대한 소취작용의 원리나 논문자료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Ethylhexylglycerin

  • 연구용 전혈

    연구용 전혈

    재생의료기기 동등성연구로 냉장전혈을 확보하고 싶은데요. 비적격 whole blood가 연구용도로 사용가능하다는데 구체적으로 입수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경험있으신 분 정보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재생의료기기
    • 냉장혈액연구

  •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을 하였습니다. wt%에서는 Ta 96%  C 4% 로 분석되었습니다. at%는 대략 50 : 50 으로 나옵니다. 이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EDS에서 C에 대한 함량은 오차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시료는 %로 짜리 시료로 보아야 하나요?

    자세히 보기
    • EDS
    • SEM
    • wt
    2019-12-06 변성천(rg1000)

  • 나노가스센서 작동 원리 및 종류

    나노가스센서 작동 원리 및 종류

    나노가스센서의 작동 원리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일반 가스센서의 원리와 메커니즘은 거의 비슷하겠지만 재료의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알기가 어렵네요. 또 나노가스센서의 들어가는 나노재료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탄소나노튜브나 아니면 나노와이어 같은 것 들이요.

    자세히 보기
    • 가스센서
    • 나노가스센서 종류
    2019-12-02 박지명(wlaud332)

  • XRD intensity를 cps로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XRD intensity를 cps로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상대강도를 측정할 때 cps로 측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XRD
    • intensity
    • cps
    2019-12-01 김준형(jhkim220)

  • Nanotechnology

    Nanotechnology

    Nanotechnology에서 Nanomedicine Diagnostics의 국내 동향과 최신 개발사항을 알고싶습니다. 관련 기업 동향도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Nanotechnology
    • Nanomedicine
    2019-11-24 조수호(kist22)

  • 실험군 실험

    실험군 실험

    생명공학 생물 실험을 시행할때 n=113 이런 식으로 나타낼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 싶습니다. 학생들에게 설명을 해야하는데 논문 알려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실험군
    2019-11-22 조수호(kist22)

  • Wnt/B-catenin signaling 관련 질문

    Wnt/B-catenin signaling 관련 질문

    최근에 연골 재생 관련 기사와 논문들이 나오는 걸 보고 관심을 갖게 되어 문헌을 읽어 봤습니다 (NATURE COMMUNICATIONS | (2019) 10:4898, 최근에 서울대 연구팀이 발표했다는 연골 재생 논문입니다) Wnt/b-catenin signaling은 항암 분야에서 꽤나 유명하다지요 저 시그널링을 억제하면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임상/임상하는 약물도 있다고 봤습니다 여기서 질문.. Wnt/b-catenin signaling을 억제하면 cell ...

    자세히 보기
    • Wnt /b catenin signaling
    • 연골 재생
    • chondrocyte

  • prp재생의료

    prp재생의료

    Platelet-Rich Plasma in Tissue Engineering: Hype and Hope. Eur Surg Res. 2018;59(3-4):265-275 논문원문을 보고싶습니다. 가능하신 분 공유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재생의료
    • prp

  • 특정 Vial 주문가능한 곳 문의 입니다.

    특정 Vial 주문가능한 곳 문의 입니다.

    제품은 4 mL vial 에 바코드가 붙어 있고 그리고 특정 번호가 새겨져있는 vial 형태를  구매하고자 합니다.  가령 ABC01, ABC02, ABC03 .....  이렇게 써있는 형태입니다. 혹시 해당 제품에 대해 아시거나 조언을 주실 수 있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fisher 것을 찾아보고 있는데 주문 제작이 필요한 부분일 듯 해서요.  

    자세히 보기
    • VIAL
    2019-11-14 양현모(yymomo)

  • 연구용혈액

    연구용혈액

    서울권에서 연구 (prp ppp 세포분석 등) 를 위한 말초혈액은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지요? 어떤 루트와 절차가 필요한지요? 경험있으신 랩 조언 부탁드립니다. 약 30명 정도 100cc내 전혈입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말초혈액

  •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의약품 분석에서 잔여불순물인 residual proteinA에 대한 기준 및 기준에 대한 근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근거로는 일정 농도 이하면 해롭지 않다라는 내용을 원하는데,, 찾기가 어렵네요! ㅠㅠ 답변 부탁드려요!! ㅜㅜ

    자세히 보기
    • residual protein A
    • 잔류물
    • 불순물
    2019-11-12

  • solar cell 효율_IPCE cal.

    solar cell 효율_IPCE cal.

    solar cell의 IPCE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기준되는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광원의 W을 구한다음 같은 광원으로 solar cell 샘플에 쐬였을때 변환되는 IPCE를 측정하고 합니다. 그런데 기준 광다이오드를 같고 W를 구하는 식이 잘 못 되었는지 샘플의 측정값보다 W값이 적게 나옵니다. spectral response(SR) SR= A/W      A: 전류      W(P): 전력량 or 광량...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IPCE cal

  • GC 관련

    GC 관련

    안녕하세요, 저는 Agilent사의 7890B GC 장비를 이용하여 촉매 파우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체 반응을 시킨 뒤 반응 기체의 conversion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로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들어가고 나가는 기체의 C,H,O 비율을 비교해보려는 과정 중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 올립니다. 파우더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반응 생성물로 H2O가 발생하는데, H2O는 GC로 주입되기 전 칠러를 통해 제거됩니다.  또한 반응온도가 카본 침적이 발생하는 온도대라 들...

    자세히 보기
    • GC
    • 촉매
    2019-11-07 이정아(leja1994)

  • Autophagy

    Autophagy

    최근 autophagy가 신약필드에서 떠오르고 있습니다. 초보단계에서 이해를 위한 자료는 어떤게 좋은지요? 한가지 더는 국내 거점 연구팀 알고 계신분 정보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자가포식

  • 화합물의 고온 고압 가열 관련

    화합물의 고온 고압 가열 관련

     NaCl 농축액을 멸균하여 사용하고 싶은데, 121도에서 15분간  멸균을 1회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다음 과정에 변경이 생겨 배지를 제조 후 1회 멸균된 NaCl 농축액을 첨가하여 121도 15분 멸균해도 NaCl의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NaCl의 끓는 점은 1400도가 넘는데, 2회 정도 멸균해도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어렴풋한 생각을 해 봅니다 NaCl 이외에 다른 화합물들도 ...

    자세히 보기
    • 화합물
    • 고온 고압
    • 추가 가열

전체 17555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중화염의 용해도 차이

    중화염의 용해도 차이

    요소와 NaOH / KOH가 녹아 있는 페놀 수지를 황산으로 중화하였습니다. 이때 NaOH 수용액에 황산이나, KOH 수용액에 황산으로 각각 중화한것 보다 NaOH와 KOH 1:1로 섞은 수용액에 황산 수용액으로 중화를 하면 중화 염에 관한 용해도가 상승 하는것 같은데 그러한 이유가 뭘까요? - 질문을 잘못드린거 같아서 다시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중화염
    • 용해도
    2019-12-26 이상준(juny6600)

  • 중화시 용해도 차이

    중화시 용해도 차이

    NaOH 수용액에 황산이나, KOH 수용액에 황산보다 NaOH와 KOH 섞은 수용액에 황산 수용액으로 중화를 하면 중화 염에 관한 용해도가 상승 하는것 같은데 그러한 이유가 뭘까요? - 실험중에 요소가 석출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 용해도
    • 중화
    2019-12-20 이상준(juny6600)

  •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에 추가 질문입니다.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에 추가 질문입니다.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에 대한 여러분들이 의견을 주셨습니다. 저도 나름대로 여기저기 물어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의견이 EPMA, ICP를 추천하시더군요. 99.9% Ta를 분석하는데 C가 꽤 많이 있는 것처럼 분석되는 것을 해결하는 것은 어렵더군요. 1. EPMA을 아시는 분들은 C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렵다 2. ICP를 아시는 분들은 C가 잘 분석되지 않는다. 또다른 분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TGA로 C의 절대량을 측정...

    자세히 보기
    • EDS
    • WDS
    • ICP
    2019-12-17 변성천(rg1000)

  •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키는 방법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키는 방법

    안녕하세요. 저는 주로 암세포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요즘에 새로 시도하는 연구가 있는데 제가 이쪽으로 공부를 많이 못해서 궁금한 점이 많아서  코젠 여러분께 질문 드려요. 제가 원하는 단백질에 특정 서열이 inhibitor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려고 peptide를 합성했는데 CPP -peptide라는 것을 아예 생각을 못하고 free peptide 서열로 합성을 했습니다. 혹시 free peptide를 세포에 발현시켜보신 분이 있다면 방법이나 아니면 참고...

    자세히 보기
    • free peptide
    • transfection
    2019-12-11 김옥화(kah3173)

  • Ethylhexylglycerin 소취작용관련

    Ethylhexylglycerin 소취작용관련

    Ethylhexylglycerin에 대한 소취작용의 원리나 논문자료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Ethylhexylglycerin

  • 연구용 전혈

    연구용 전혈

    재생의료기기 동등성연구로 냉장전혈을 확보하고 싶은데요. 비적격 whole blood가 연구용도로 사용가능하다는데 구체적으로 입수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경험있으신 분 정보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재생의료기기
    • 냉장혈액연구

  •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시 문제점

    99.9% Ta 시료를 EDS로 분석을 하였습니다. wt%에서는 Ta 96%  C 4% 로 분석되었습니다. at%는 대략 50 : 50 으로 나옵니다. 이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EDS에서 C에 대한 함량은 오차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시료는 %로 짜리 시료로 보아야 하나요?

    자세히 보기
    • EDS
    • SEM
    • wt
    2019-12-06 변성천(rg1000)

  • 나노가스센서 작동 원리 및 종류

    나노가스센서 작동 원리 및 종류

    나노가스센서의 작동 원리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일반 가스센서의 원리와 메커니즘은 거의 비슷하겠지만 재료의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알기가 어렵네요. 또 나노가스센서의 들어가는 나노재료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탄소나노튜브나 아니면 나노와이어 같은 것 들이요.

    자세히 보기
    • 가스센서
    • 나노가스센서 종류
    2019-12-02 박지명(wlaud332)

  • XRD intensity를 cps로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XRD intensity를 cps로 측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상대강도를 측정할 때 cps로 측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자세히 보기
    • XRD
    • intensity
    • cps
    2019-12-01 김준형(jhkim220)

  • Nanotechnology

    Nanotechnology

    Nanotechnology에서 Nanomedicine Diagnostics의 국내 동향과 최신 개발사항을 알고싶습니다. 관련 기업 동향도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Nanotechnology
    • Nanomedicine
    2019-11-24 조수호(kist22)

  • 실험군 실험

    실험군 실험

    생명공학 생물 실험을 시행할때 n=113 이런 식으로 나타낼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 싶습니다. 학생들에게 설명을 해야하는데 논문 알려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실험군
    2019-11-22 조수호(kist22)

  • Wnt/B-catenin signaling 관련 질문

    Wnt/B-catenin signaling 관련 질문

    최근에 연골 재생 관련 기사와 논문들이 나오는 걸 보고 관심을 갖게 되어 문헌을 읽어 봤습니다 (NATURE COMMUNICATIONS | (2019) 10:4898, 최근에 서울대 연구팀이 발표했다는 연골 재생 논문입니다) Wnt/b-catenin signaling은 항암 분야에서 꽤나 유명하다지요 저 시그널링을 억제하면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임상/임상하는 약물도 있다고 봤습니다 여기서 질문.. Wnt/b-catenin signaling을 억제하면 cell ...

    자세히 보기
    • Wnt /b catenin signaling
    • 연골 재생
    • chondrocyte

  • prp재생의료

    prp재생의료

    Platelet-Rich Plasma in Tissue Engineering: Hype and Hope. Eur Surg Res. 2018;59(3-4):265-275 논문원문을 보고싶습니다. 가능하신 분 공유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재생의료
    • prp

  • 특정 Vial 주문가능한 곳 문의 입니다.

    특정 Vial 주문가능한 곳 문의 입니다.

    제품은 4 mL vial 에 바코드가 붙어 있고 그리고 특정 번호가 새겨져있는 vial 형태를  구매하고자 합니다.  가령 ABC01, ABC02, ABC03 .....  이렇게 써있는 형태입니다. 혹시 해당 제품에 대해 아시거나 조언을 주실 수 있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fisher 것을 찾아보고 있는데 주문 제작이 필요한 부분일 듯 해서요.  

    자세히 보기
    • VIAL
    2019-11-14 양현모(yymomo)

  • 연구용혈액

    연구용혈액

    서울권에서 연구 (prp ppp 세포분석 등) 를 위한 말초혈액은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지요? 어떤 루트와 절차가 필요한지요? 경험있으신 랩 조언 부탁드립니다. 약 30명 정도 100cc내 전혈입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말초혈액

  •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의약품 분석에서 잔여불순물인 residual proteinA에 대한 기준 및 기준에 대한 근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근거로는 일정 농도 이하면 해롭지 않다라는 내용을 원하는데,, 찾기가 어렵네요! ㅠㅠ 답변 부탁드려요!! ㅜㅜ

    자세히 보기
    • residual protein A
    • 잔류물
    • 불순물
    2019-11-12

  • solar cell 효율_IPCE cal.

    solar cell 효율_IPCE cal.

    solar cell의 IPCE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기준되는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광원의 W을 구한다음 같은 광원으로 solar cell 샘플에 쐬였을때 변환되는 IPCE를 측정하고 합니다. 그런데 기준 광다이오드를 같고 W를 구하는 식이 잘 못 되었는지 샘플의 측정값보다 W값이 적게 나옵니다. spectral response(SR) SR= A/W      A: 전류      W(P): 전력량 or 광량...

    자세히 보기
    • solar cell
    • IPCE cal

  • GC 관련

    GC 관련

    안녕하세요, 저는 Agilent사의 7890B GC 장비를 이용하여 촉매 파우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체 반응을 시킨 뒤 반응 기체의 conversion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로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들어가고 나가는 기체의 C,H,O 비율을 비교해보려는 과정 중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 올립니다. 파우더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반응 생성물로 H2O가 발생하는데, H2O는 GC로 주입되기 전 칠러를 통해 제거됩니다.  또한 반응온도가 카본 침적이 발생하는 온도대라 들...

    자세히 보기
    • GC
    • 촉매
    2019-11-07 이정아(leja1994)

  • Autophagy

    Autophagy

    최근 autophagy가 신약필드에서 떠오르고 있습니다. 초보단계에서 이해를 위한 자료는 어떤게 좋은지요? 한가지 더는 국내 거점 연구팀 알고 계신분 정보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자가포식

  • 화합물의 고온 고압 가열 관련

    화합물의 고온 고압 가열 관련

     NaCl 농축액을 멸균하여 사용하고 싶은데, 121도에서 15분간  멸균을 1회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다음 과정에 변경이 생겨 배지를 제조 후 1회 멸균된 NaCl 농축액을 첨가하여 121도 15분 멸균해도 NaCl의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NaCl의 끓는 점은 1400도가 넘는데, 2회 정도 멸균해도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어렴풋한 생각을 해 봅니다 NaCl 이외에 다른 화합물들도 ...

    자세히 보기
    • 화합물
    • 고온 고압
    • 추가 가열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