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분자에서 XRD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고분자에서 XRD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고분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XRD정보에 대해 알려주세요 찾아보니 대체적 비정질인게 많아서 좋은 peak를 얻기 어렵다라고 되어있는데 결정화도가 낮아 peak가 안보이면 다른 정보도 얻을 수 없는건가요? 입경의 크기, 격자 변형, 화학조성, 정렬상태 등과 같은 재료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는 분야에도 사용되었다. 라고 되어있더군요.
자세히 보기- 고분자
- XRD
2017-05-04 김성수(zero1521)- 3
-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 미세먼지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 미세먼지
2015년경에 미세먼지를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가 이루어졌는데 구체적인 데이터나 관련 자료 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미세먼지
2017-05-02 조수호(kist22)- 1
-
물질의 기화와 끓는점 질문입니다. purify 도와주세요...!
물질의 기화와 끓는점 질문입니다. purify 도와주세요...!
CF3CONH2(고체) 를 Lawesson's reagent로 CF3CSNH2(액체) 로 바꾸는 실험을 하는 중입니다. 알려진 물질이라 끓는점이 나와있지만, 반응을 끝내고 컬럼을 하던지, 반응 용매를 날릴때 보면, CF3CSNH2가 evaporator receiver 에 계속 용매와 같이 날라갑니다. Vacuum 을 잡아도 상온에서도 날라가고, TLC를 찍어두면 spot이 다음날 보면 퍼져서 날라가있습니다. 끓는점이 높은 물질이지만 기화가 잘 되는 물질은 어찌 purification를 해야...
자세히 보기- Gasified
- boiling point
- purification
2017-05-01 이동욱(pobk1234)- 1
-
fullerene acceptor 에 관한 질문입니다.
fullerene acceptor 에 관한 질문입니다.
1. polymer solar cell에 fullerene acceptor를 자주 사용하잖아요. 그렇다면 fullerene의 장점이 무엇이길래 사용되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2. non fullerene acceptor에 대해서 논문을 읽다가 fullerene 이 stability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데, fullerene은 매우 안정한거 아닌가요??
자세히 보기- 고분자
- polymersolarcell
- fullerene
2017-05-01 정진영(jyjeong)- 1
-
농도 맞추는 것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농도 맞추는 것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시료를 섞는 문제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제가 천연물 파우더 1 w/v% 를 3% 아세트산에 녹인 후 동결건조를 하려고 하는데요 이 solution 0.1 w/v% 가 되도록 가교제를 첨가하려고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교제를 어느 시점에, 어떻게 넣는게 맞는건가요? 처음부터 천연물 파우더와 가교제를 한번에 넣고 mixing 하는게 맞는지 천연물 파우더가 다 녹은 다음 넣는 것이 맞는지 후자라면 용액(3% 아세트산 + 1% ...
자세히 보기- 농도
2017-05-01 신용원(begopa1)- 2
-
실험군 설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실험군 설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천연물을 이용해 세포 지지체를 제작하는 연구를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천연물이라는 특성상 기계적 강도와 빠른 분해성을 개선 시키려고 가교제를 섞고 있는데요 논문에서는 0.1, 0.3, 0.5% w/v 혹은 0.1, 0.5, 1.0, 1.5, 2.0%w/v 이런 농도로 실험을 하더라구요 저는 0.1 0.3 0.5 1.0 %w/v 으로 실험을 해보려고 예비실험을 해봤은데 논문처럼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더라구요(가교제 특성상 가교정도에 따라 색변화가 관찰됩니다) ...
자세히 보기- 실험군
2017-04-29 신용원(begopa1)- 2
-
Polymer의 voltage shielding effect 궁금합니다.
Polymer의 voltage shielding effect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liquid crystal display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 다양한 이유로 액정에 polymer를 도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때 polymer도 일종의 유전체라 전압을 걸었을 때 일부 전압을 까먹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나, 그에 대한 논문 찾기가 어려워 질문드립니다. 혹시 LCD 분야가 아니더라도 polymer를 이용했을 때 일부 전압이 까먹히는(?) 그런 내용이 자세 히 설명돼있는 논문 없을까 하여 질문 드립니...
자세히 보기- polymer
- voltage
- capacitance
2017-04-28 우재현(too2719)- 5
-
PDLC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PDLC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최근 PDLC에 대해서 공부중입니다. PDLC의 빛의 산란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PDLC cell을 제작할 때 어떤 재료를 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PDLC
- droplet
2017-04-28- 6
-
박막 시료의 발광 특성분석
박막 시료의 발광 특성분석
질문드립니다. 제가 박막시료를 만들었습니다. 박막의 온도(저온)에 따른 발광 특성 분석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300 nm근처에서) 어떤 장비를 이용하면 될까요?
자세히 보기- PL
- 저온
2017-04-28 홍범기(qjarl243)- 2
-
전기화학적 중합 방법 조언 얻고자 합니다.
전기화학적 중합 방법 조언 얻고자 합니다.
전기화학적 중합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합성하고자 하는데 이때 워킹전극을 무엇으로 사용하는게 좋은지 알 수 있을까요? 전기화학을 잘몰라서 찾아보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전기화학적 중합
2017-04-27 이상준(juny6600)- 1
-
- 고분자
- 라만
2017-04-27 이상준(juny6600)- 3
-
Bromination할때 PBr3와 CBr4 반응성 질문입니다.
Bromination할때 PBr3와 CBr4 반응성 질문입니다.
CF3-치환기를 가진 N-heterocycling 구조에 -CH2OH 가 달려있는데 이것을 -CH2Br 로 치환하는겁니다. 극성이라 그런지 뭐때문인지 레퍼런스도 PBr3 쓴것도 거의없고 일드도 많이 낮더라구요...실제로 해보니 tlc spot이 굉장히 여러개 생깁니다. CBr4로 해보려는데 주의점이나 PBr3랑은 반응할때 다른점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Bromination
2017-04-27 이동욱(pobk1234)- 3
-
Spin coating 하는 방법
Spin coating 하는 방법
spin coating을 잘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통 RPM 조절이나 농도등이 있을텐데 제 조건은 고분자샘플인데 양이 엄청 많은 편은 아니라 농도를 진하게 하긴 어렵습니다. spin coating을 할 경우 RPM이 높으면 코팅되는것보다 튀는 양이 더 많은듯한데 cast한후 바로 spin 시키지 않고 살짝 말리고 하는편이 좋을까요?
자세히 보기- spin coating
2017-04-25 김성수(zero1521)- 14
-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에 투고 하고 싶은데요. 방법을 아시는 분들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Human Resources
2017-04-25 류기헌(likeall78)- 1
-
XRD 데이터 찍을 때 필요한 조건
XRD 데이터 찍을 때 필요한 조건
XRD를 찍을 때 필요한 조건이 뭐 있는지 알려주세요 우선 분자구조와 어떻게 코팅을 하였는지 두께는 얼마나 되는지 이렇게는 알겠는데 이외에 필요한 조건으로요
자세히 보기- XRD
2017-04-25 김성수(zero1521)- 5
-
고분자 1H NMR 데이터 질문입니다.
고분자 1H NMR 데이터 질문입니다.
H NMR을 대략 20시간 돌려서 베이스라인이 안정되게끔 데이터를 얻어냈습니다. 여기서 1D NMR이기 때문에 레퍼런스 맞추고 적분비를 구하는거까지만 데이터로 얻어냈는데 이 외에도 데이터를 좀 더 정리할수 있는 게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NMR
- 고분자
2017-04-25 김성수(zero1521)- 2
-
LiAlH4로 reduction 반응한 후 isolation 방법
LiAlH4로 reduction 반응한 후 isolation 방법
제가 LAH를 사용하여 에스터를 환원시켜 -OH 반응을 진행 하였습니다. 문제는 반응 후 부반응물(Li salt 및 기타)을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막힙니다... MC/H2O Extraction 시에는 물층과 유기층으로 Product가 모두 분산되고 Litum salt도 물층으로 전부잡히지 않습니다.. column을 해도 product yield가 매우 낮고 litum 부반응물이 따라옵니다. 어떤 isolation 방법이 좋을까요? - product가 액체라 crystal 잡기도 불가능 ...
자세히 보기- LiAlH4
- OH isolation
- reduction 반응
2017-04-19 한지웅(hjy1273)- 4
-
실리카 컬럼 질문입니다 ㅠ
실리카 컬럼 질문입니다 ㅠ
액체 물질을 컬럼으로 분리하는데 그냥 실리카에 하면 뜨겁게 내려오더라구요 그래서 triethylamine 으로 중성화 시켜서 컬럼을 하는데 rf 값 0.8 정도(EA-HX 50) 되는 pd를 컬럼해서 받으면 베이스라인이 같이 나오네요...왜그런건가요...? 그리고 실리카가 뜨거워지는건 물질이 실리카에 반응해서 깨지는건가요???
자세히 보기- Silica
- Column
- Neutralization
2017-04-18 이동욱(pobk1234)- 3
-
micro-Raman 관련?
micro-Raman 관련?
micro-Raman 에 대해서... 일반적인 Raman spectroscopy 앞에 왜 micro 라는 단어가 붙는지 그로인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raman
- micro-raman
2017-04-17 박재화(jhpark5362)- 2
-
블랙홀 인포메이션 패러독스의 인포메이션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블랙홀 인포메이션 패러독스의 인포메이션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스티븐 호킹은 블랙홀에서 호킹복사에서의 양에너지를 가진 입자뿐만 아니라 정보도 빠져나올수 있다고 주장해 자신의 호킹복사이론을 뒤집었는데요, 그 전에 스티븐호킹이 주장한 정보는 블랙홀 안에서 소실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블랙홀에서 빠져나오는 정보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블랙홀 내부 입자의 각운동량,전하량 등등을 의미하는것인지, 사라지고 방출된다는것이 정보 엔트로피를 의미하는건지, 설명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블랙홀
2017-04-17 이호준(jeff8080)- 0
전체 17555개
-
고분자에서 XRD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고분자에서 XRD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고분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XRD정보에 대해 알려주세요 찾아보니 대체적 비정질인게 많아서 좋은 peak를 얻기 어렵다라고 되어있는데 결정화도가 낮아 peak가 안보이면 다른 정보도 얻을 수 없는건가요? 입경의 크기, 격자 변형, 화학조성, 정렬상태 등과 같은 재료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는 분야에도 사용되었다. 라고 되어있더군요.
자세히 보기- 고분자
- XRD
2017-05-04 김성수(zero1521)- 3
-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 미세먼지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 미세먼지
2015년경에 미세먼지를 '한-미 협력 공동 조사 연구(KORUS-AQ)'가 이루어졌는데 구체적인 데이터나 관련 자료 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미세먼지
2017-05-02 조수호(kist22)- 1
-
물질의 기화와 끓는점 질문입니다. purify 도와주세요...!
물질의 기화와 끓는점 질문입니다. purify 도와주세요...!
CF3CONH2(고체) 를 Lawesson's reagent로 CF3CSNH2(액체) 로 바꾸는 실험을 하는 중입니다. 알려진 물질이라 끓는점이 나와있지만, 반응을 끝내고 컬럼을 하던지, 반응 용매를 날릴때 보면, CF3CSNH2가 evaporator receiver 에 계속 용매와 같이 날라갑니다. Vacuum 을 잡아도 상온에서도 날라가고, TLC를 찍어두면 spot이 다음날 보면 퍼져서 날라가있습니다. 끓는점이 높은 물질이지만 기화가 잘 되는 물질은 어찌 purification를 해야...
자세히 보기- Gasified
- boiling point
- purification
2017-05-01 이동욱(pobk1234)- 1
-
fullerene acceptor 에 관한 질문입니다.
fullerene acceptor 에 관한 질문입니다.
1. polymer solar cell에 fullerene acceptor를 자주 사용하잖아요. 그렇다면 fullerene의 장점이 무엇이길래 사용되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2. non fullerene acceptor에 대해서 논문을 읽다가 fullerene 이 stability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데, fullerene은 매우 안정한거 아닌가요??
자세히 보기- 고분자
- polymersolarcell
- fullerene
2017-05-01 정진영(jyjeong)- 1
-
농도 맞추는 것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농도 맞추는 것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시료를 섞는 문제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제가 천연물 파우더 1 w/v% 를 3% 아세트산에 녹인 후 동결건조를 하려고 하는데요 이 solution 0.1 w/v% 가 되도록 가교제를 첨가하려고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교제를 어느 시점에, 어떻게 넣는게 맞는건가요? 처음부터 천연물 파우더와 가교제를 한번에 넣고 mixing 하는게 맞는지 천연물 파우더가 다 녹은 다음 넣는 것이 맞는지 후자라면 용액(3% 아세트산 + 1% ...
자세히 보기- 농도
2017-05-01 신용원(begopa1)- 2
-
실험군 설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실험군 설정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천연물을 이용해 세포 지지체를 제작하는 연구를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천연물이라는 특성상 기계적 강도와 빠른 분해성을 개선 시키려고 가교제를 섞고 있는데요 논문에서는 0.1, 0.3, 0.5% w/v 혹은 0.1, 0.5, 1.0, 1.5, 2.0%w/v 이런 농도로 실험을 하더라구요 저는 0.1 0.3 0.5 1.0 %w/v 으로 실험을 해보려고 예비실험을 해봤은데 논문처럼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더라구요(가교제 특성상 가교정도에 따라 색변화가 관찰됩니다) ...
자세히 보기- 실험군
2017-04-29 신용원(begopa1)- 2
-
Polymer의 voltage shielding effect 궁금합니다.
Polymer의 voltage shielding effect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liquid crystal display에 관심이 많은 학생입니다. 다양한 이유로 액정에 polymer를 도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때 polymer도 일종의 유전체라 전압을 걸었을 때 일부 전압을 까먹는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나, 그에 대한 논문 찾기가 어려워 질문드립니다. 혹시 LCD 분야가 아니더라도 polymer를 이용했을 때 일부 전압이 까먹히는(?) 그런 내용이 자세 히 설명돼있는 논문 없을까 하여 질문 드립니...
자세히 보기- polymer
- voltage
- capacitance
2017-04-28 우재현(too2719)- 5
-
PDLC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PDLC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최근 PDLC에 대해서 공부중입니다. PDLC의 빛의 산란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PDLC cell을 제작할 때 어떤 재료를 주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PDLC
- droplet
2017-04-28- 6
-
박막 시료의 발광 특성분석
박막 시료의 발광 특성분석
질문드립니다. 제가 박막시료를 만들었습니다. 박막의 온도(저온)에 따른 발광 특성 분석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300 nm근처에서) 어떤 장비를 이용하면 될까요?
자세히 보기- PL
- 저온
2017-04-28 홍범기(qjarl243)- 2
-
전기화학적 중합 방법 조언 얻고자 합니다.
전기화학적 중합 방법 조언 얻고자 합니다.
전기화학적 중합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합성하고자 하는데 이때 워킹전극을 무엇으로 사용하는게 좋은지 알 수 있을까요? 전기화학을 잘몰라서 찾아보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전기화학적 중합
2017-04-27 이상준(juny6600)- 1
-
- 고분자
- 라만
2017-04-27 이상준(juny6600)- 3
-
Bromination할때 PBr3와 CBr4 반응성 질문입니다.
Bromination할때 PBr3와 CBr4 반응성 질문입니다.
CF3-치환기를 가진 N-heterocycling 구조에 -CH2OH 가 달려있는데 이것을 -CH2Br 로 치환하는겁니다. 극성이라 그런지 뭐때문인지 레퍼런스도 PBr3 쓴것도 거의없고 일드도 많이 낮더라구요...실제로 해보니 tlc spot이 굉장히 여러개 생깁니다. CBr4로 해보려는데 주의점이나 PBr3랑은 반응할때 다른점이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Bromination
2017-04-27 이동욱(pobk1234)- 3
-
Spin coating 하는 방법
Spin coating 하는 방법
spin coating을 잘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통 RPM 조절이나 농도등이 있을텐데 제 조건은 고분자샘플인데 양이 엄청 많은 편은 아니라 농도를 진하게 하긴 어렵습니다. spin coating을 할 경우 RPM이 높으면 코팅되는것보다 튀는 양이 더 많은듯한데 cast한후 바로 spin 시키지 않고 살짝 말리고 하는편이 좋을까요?
자세히 보기- spin coating
2017-04-25 김성수(zero1521)- 14
-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에 투고 하고 싶은데요. 방법을 아시는 분들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Human Resources
2017-04-25 류기헌(likeall78)- 1
-
XRD 데이터 찍을 때 필요한 조건
XRD 데이터 찍을 때 필요한 조건
XRD를 찍을 때 필요한 조건이 뭐 있는지 알려주세요 우선 분자구조와 어떻게 코팅을 하였는지 두께는 얼마나 되는지 이렇게는 알겠는데 이외에 필요한 조건으로요
자세히 보기- XRD
2017-04-25 김성수(zero1521)- 5
-
고분자 1H NMR 데이터 질문입니다.
고분자 1H NMR 데이터 질문입니다.
H NMR을 대략 20시간 돌려서 베이스라인이 안정되게끔 데이터를 얻어냈습니다. 여기서 1D NMR이기 때문에 레퍼런스 맞추고 적분비를 구하는거까지만 데이터로 얻어냈는데 이 외에도 데이터를 좀 더 정리할수 있는 게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NMR
- 고분자
2017-04-25 김성수(zero1521)- 2
-
LiAlH4로 reduction 반응한 후 isolation 방법
LiAlH4로 reduction 반응한 후 isolation 방법
제가 LAH를 사용하여 에스터를 환원시켜 -OH 반응을 진행 하였습니다. 문제는 반응 후 부반응물(Li salt 및 기타)을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막힙니다... MC/H2O Extraction 시에는 물층과 유기층으로 Product가 모두 분산되고 Litum salt도 물층으로 전부잡히지 않습니다.. column을 해도 product yield가 매우 낮고 litum 부반응물이 따라옵니다. 어떤 isolation 방법이 좋을까요? - product가 액체라 crystal 잡기도 불가능 ...
자세히 보기- LiAlH4
- OH isolation
- reduction 반응
2017-04-19 한지웅(hjy1273)- 4
-
실리카 컬럼 질문입니다 ㅠ
실리카 컬럼 질문입니다 ㅠ
액체 물질을 컬럼으로 분리하는데 그냥 실리카에 하면 뜨겁게 내려오더라구요 그래서 triethylamine 으로 중성화 시켜서 컬럼을 하는데 rf 값 0.8 정도(EA-HX 50) 되는 pd를 컬럼해서 받으면 베이스라인이 같이 나오네요...왜그런건가요...? 그리고 실리카가 뜨거워지는건 물질이 실리카에 반응해서 깨지는건가요???
자세히 보기- Silica
- Column
- Neutralization
2017-04-18 이동욱(pobk1234)- 3
-
micro-Raman 관련?
micro-Raman 관련?
micro-Raman 에 대해서... 일반적인 Raman spectroscopy 앞에 왜 micro 라는 단어가 붙는지 그로인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raman
- micro-raman
2017-04-17 박재화(jhpark5362)- 2
-
블랙홀 인포메이션 패러독스의 인포메이션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블랙홀 인포메이션 패러독스의 인포메이션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스티븐 호킹은 블랙홀에서 호킹복사에서의 양에너지를 가진 입자뿐만 아니라 정보도 빠져나올수 있다고 주장해 자신의 호킹복사이론을 뒤집었는데요, 그 전에 스티븐호킹이 주장한 정보는 블랙홀 안에서 소실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블랙홀에서 빠져나오는 정보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블랙홀 내부 입자의 각운동량,전하량 등등을 의미하는것인지, 사라지고 방출된다는것이 정보 엔트로피를 의미하는건지, 설명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블랙홀
2017-04-17 이호준(jeff808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