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5-16
org.kosen.entty.User@2a11b4da
유영만(eserlohn)
본 연구실은 사상성 진균의 대표적인 모델생물인 A. nidulans의 전 생활사에 걸쳐 전사체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이들 유전자 중 무성분화 시기에 발현이 증가하는 51개의 전사인자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아울러, 웹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얻은 이들 전사인자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고 그 결손돌연변이 균주를 제작하였다. 이 돌연변이주들을 이용하여, 무성분화과정 또는 이차대사에 관여하는 새로운 전사인자의 유전자들을 발굴하고 그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무성분화 및 이차대사 과정의 유전자 네트워크를 규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출아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탄소원 및 아미노산 대사 관련 유전자 중 일부(CIT1 및 GDH3)가 환경충격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하는 기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유전자들이 나타내는 항세포사멸기능(anti-apoptotic function)의 기작을 연구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 유전자들의 돌연변이체 또는 그 산물을 이용하여, 대사질환의 효모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대사질환 치료제 탐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신규 유방암 억제단백질 M2의 암억제 기능 연구하기 위하여, M2의 암억제 기능을 분석하고, M2 항암단백질 대량 생산을 위한 과발현 세포주를 제작하여, 치료용 단백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출아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탄소원 및 아미노산 대사 관련 유전자 중 일부(CIT1 및 GDH3)가 환경충격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하는 기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유전자들이 나타내는 항세포사멸기능(anti-apoptotic function)의 기작을 연구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 유전자들의 돌연변이체 또는 그 산물을 이용하여, 대사질환의 효모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대사질환 치료제 탐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신규 유방암 억제단백질 M2의 암억제 기능 연구하기 위하여, M2의 암억제 기능을 분석하고, M2 항암단백질 대량 생산을 위한 과발현 세포주를 제작하여, 치료용 단백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국가
대한민국
소속기관
충남대학교 (학교)
연락처
042-821-6415 https://cbb.cnu.ac.kr/micro-professor-piljae-maeng/
책임자
맹필재 pjmaeng@c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