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보건의료

약물학 연구실

우리 몸의 세포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외부 물질 등 다양한 환경성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 환경에 대한 세포의 끊임 없는 상호작용과 적응 과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정상적 세포 기능을 유지하고 다양한 질병 발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환경성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시스템 중 하나인 Keap1-Nrf2경로는 세포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대표로하는 외부 변화에 적응하고 생존을 도모하도록 하기위해 설계 발달된 시스템이다. 즉 transcription factor인 Nrf2의 활성화는 phase2 효소군 ,GSH 합성 및 조절 효소군, thioredoxin등의 항산화 단백질 군 등의 일괄적인 발현 증가를 이끌어 산화적 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하고 환경성 물질의 배출을 촉진하도록 유도한다. Keap1-Nrf2시스템의 바이올로지와 생리학적 기능의 중요성은 독성학 및 화학적 암 예방제 연구를 통해 입증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 Keap1-Nrf2시스템의 역할은 환경성 스트레스가 관여하는 다양한 질병의 병리학적 면과 또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면에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본 연구실의 주된 관심 분야는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의 기능 및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암과 퇴행성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관심 연구분야 및 수행 중인 연구는 대략 다음과 가다. 1)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 소속 transcription factor 들같의 상호작용 및 조절기전탐구. 2)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 하위인자들의 기능탐구 : 26S proteasome 시스템의 조절을 통한 스트레스 반응성 연구. 3) 조직 섬유화, 퇴행성 뇌질환 등의 병리인자로서의 Keap1-Nrf2역할 연구 및 약물학적 접근을 통한 조절연구. 4)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 조절을 유도하는 암예방제 개발 및 기전연구 5) 종양 세포의 성장 및 내성발달에서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의 변화 및 기능연구. 이러한 연구분야의 수행을 위하여 일반적인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 세포 생물학적 연구 방법, 동물 실험을 이용한 질환모델의 적용, 세포 및 동물에서 lentivirus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전달, gene array분석을 이용한 광범위 유전자 발현 검색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조직섬유화 #퇴행성 뇌질환 등의 병리인자로서의 keap1-Nrf2 역할 연구 및 약물학적 접근을 통한 조절연구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 조절을 유도하는 아 ㅁ예방제 개발 및 기전연구 #종양세포의 성장 및 내성발달에서 환경성 스트레스 반응계의 변화 및 기능 연구

국가

대한민국

소속기관

가톨릭대학교 (학교)

연락처

책임자

곽미경 mkwak@catholic.ac.kr

소속회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