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자료 처리◁
▷자료동화 (Data assimilation)◁
자료동화란 모델의 초기 입력 자료를 실제 대기에 가깝도록 만들어 주는 과정을 말한다. 보통 이전에 모델이 예측한 기상장을 관측자료로 수정하여 분석장을 계산한다. 종관규모기상학 연구실에서는 자료동화기법(3DVAR, 4DVAR, EnKF, ETKF, 4DEnVAR, ETKF-3DVAR, etc.)을 이용한 기상 현상의 예측성 향상 및 발생 역학 연구, 독자적 자료동화 기술(ROI, ASDA) 개발 연구, 자료동화 알고리즘 기반의 최적관측전략(adaptive observations strategies) 개발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가장 발달한 자료 동화 방법 가운데 하나인 4차원 변분 자료 동화 방법에서는 위 그림에서와 같이 어떠한 시간 간격 내의 배경장 및 관측 자료와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장을 계산한다. 4차원 변분 자료 동화 방법은 시•공간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비종관 관측 자료의 동화에 적합하나, 배경 오차 공분산을 명시적으로 계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4차원 변분 자료 동화 방법과 앙상블 자료 동화 방법의 장점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수치 예보◁
▷기후 변화 연구◁

Impact of harvest on regional climate
It is investigated the impacts of land surface alterations from harvesting practices on the regional surface climate over the North China Plain. The bare soil surface after harvest in June had biophysical impacts on the surface climate that were mediated by decreasing evapotranspiration and latent heat flux effects, which increased surface air temperatures and decreased surface humidity. An increase in shortwave radiation also contributed to the rise in temp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