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생명과학

분자세포생물학 연구실

Profile

생체 세포의 여러 가지 생명 현상, 즉 세포의 증식과 분화, 대사, 분비, 유전자 발현 등은 세포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 교환과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 내에서의 일련의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조절되고 유지된다. 특히, 생체미세환경 내에 존재하는 세포들의 만성적 염증반응에 관련된 신호전달 체계의 불균형은 암과 동맥경화와 같은 비정상적 만성 염증성 질환을 유발한다.

 

최근에 본 연구실에서 발견한 small leucine zipper protein (sLZIP)과 그 isoform 인 LZIP은 전사인자로써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조절하고, 거품세포 형성에 관여하며, 혈관벽 및 동맥경화반에서 강하게 발현되어 있어 동맥경화의 발병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사인자 PPARγ의 전사활성과 MMP 효소들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하여 혈관내 염증성 유도물질들을 분비함으로써 동맥경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실은 sLZIP과 LZIP을 중심으로 동맥경화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기능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고, 이 단백질들을 질병 치료를 위한 target molecule로 제시하여 동맥경화 발병기전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공헌하고자 한다.

 

안드로겐 수용체 (AR), 에스트로겐 수용체 (ER), 글루코콜티코이드 수용체 (GR) 등의 핵 수용체는 개체의 발생 및 분화, 생식, 염증반응, 항상성 유지 등 개체유지에 중요한 다양한 과정에서 기능을 하며, 이러한 핵 수용체가 관련된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은 전립선암, 유방암, 대사성 질환 등 많은 질병과 연관되어 있다.

 

최근 본 연구실은 AR과 ER에 결합하고 전사활성을 조절하여 전립선암과 유방암의 발병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실은 전립선암 및 유방암 세포에서 이 단백질에 의한 핵 수용체 표적 단백질들의 발현 조절 작용을 규명하고, 형질전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이를 검증함으로써 전립선암 및 유방암 진단/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를 개발하려고 한다. 또한, GR과 결합하여 GR의 전사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에 의한 당 대사 조절 기전을 규명하여 대사성 질환 관련성 및 분자세포생물학적 치료방법 개발에 대한 표적단백질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

대한민국

소속기관

고려대학교 (학교)

연락처

책임자

고제상 jesangko@korea.ac.kr

소속회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