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재료

나노구조기능재료연구실

물질의 미세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그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 이를 완벽히 컨트롤 할 수 있다면 우리가 원하는 특성을 가진 신소재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나노구조기능재료연구실에서는 나노구조체(즉, 나노입자,코팅,섬유,와이어,로드 등)의 나노 구조를 제어하여 새로운 기능을 발현하는 재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
 
A. Nano particles
      Nano particles for Solar Cell
 
  • TIO nanotubeTiO nanoparticle

Schematics of DSSC(Dye-Sensitized Solar Cells)와 TiO2 particle morphology Nano particle의 모양, 크기 등을 제어하여 기존 P25의 TiO2층 Photo-electron성능을 뛰어넘는 구조를 개발한다.


B. Nano coating
     Spray pyrolysis deposition으로 TCO인 FTO제작.



FTO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험실 에서는 spray pyrolysis method로 FTO를 만든다.


C. Nano fiber



Electrospinning을 통하여 ceramic nanofiber를 제작한다. Electrospinning cost-effective하고 scalable한 기술로서 전구체로는 sol-gel precursor, preceramic polymer가 있다.TiO2 nanofiber는 high specific surface area하고 NiFe2O4는 high coercive force한 특징이 있다.
1μm이하의 SiC nanofiber로 만든 soft mat는 high surface area한 특징이 있으며 이 특징은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이 필요한 열전지에 응용된다.


D. Nano wire, nano rods
 
Effect of Two dimension structure

보통의 nano rods는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방향으로 성장을 이뤄 Single crystal을 이룬다.
또한 low dimension의 효과도 볼 수 있어 Quantum confinement로 인한 band gap 조절이 가능해 지며,
특이한 전기적, 물리적 성질들을 보인다.

국가

대한민국

소속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교)

연락처

책임자

류도형

소속회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