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연구소재중앙센터
- 5979
- 1
- 0
‘연구소재(Research Resources)’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 비생물 및 이들에 관한 정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과학 전반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재료들을 말합니다. 개인 연구자들이 많은 연구소재를 직접 구하고 관리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는 연구소재를 확보하고 보관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연구소재를 보존하고 연구자에게 보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 연구소재은행입니다. OECD는 연구소재은행의 활동을 다음과 같이 6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과학, 산업, 농업, 환경, 의료 연구개발과 응용에 필요한 생물자원의 보존과 분양, 2) 생물자원에 대한 연구개발 수행, 3) 생물다양성 보전, 4) 생물 레퍼런스 물질에 대한 보존, 5)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생물자원의 보존, 6) 공공정보 제공과 정책수립에 기여. (재)연구소재중앙센터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소재지원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의 통합관리를 위해 2008년에 설립됐습니다. 신뢰성 있는 연구소재 제공을 목표로 소재은행 운영 표준화와 관리시스템 구축, 실무자 교육과 국내외 협력 활동 등에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소재은행은 1995년에 다섯 개로 시작해 현재는 36개의 은행이 21개 대학에서 운영 중입니다. 암조직, 세포주, 혈청을 비롯한 인체유래물과 동물의 노화조직, 제브라피쉬, 절지동물, 소 유전체, 기생충 등의 동물 소재 외에도 인삼, 식물추출물, 식물DNA 등의 식물 소재, 균주,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조류, 헬리코박터균과 같은 미생물 등의 생물 소재뿐 아니라 단결정이나 변형핵산, 형광물질, 고분자약물전구체, 나노소재 등의 각종 화합물 소재도 다루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로 연구소재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재가 필요한 연구자에게 분양하고 기술자문,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개인 연구자가 보관하기 어려운 연구소재를 기탁 받고 있습니다. 국내 소재은행을 이용하면 세포주나 시약, DNA 라이브러리 등을 외국에서 주문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연구소재은행의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충분한 정보를 가진 신뢰성 있는 연구소재를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소재의 품질보증과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국제기준에 따라 표준화된 소재 관리절차와 방법으로 소재은행을 운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중앙센터는 현재까지 13권의 소재 종류별 모범운영지침을 발간했으며, ‘연구소재은행을 위한 운영관리지침’ 및 ‘연구소재은행-운영관리(용어)’ 두 건을 단체표준으로 등록하여 공적표준화 했습니다(SPS-KNRRC 0001-2008 : 2013, SPS-KNRRC 0002-6198 : 2015). 또한 연구소재은행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해(2014년 5월 특허 등록) 소재관리, 실적관리 시스템 및 표준화된 각 소재은행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소재검색, 분양신청, 기탁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연구소재은행들은 지난 5년간(2010년~2014년) 60만 개 이상의 연구소재를 확보했고, 50여 만 개의 소재를 학계, 산업계 연구자들에게 분양했습니다. 분양된 소재를 활용해 2,034편의 SCI급 논문, 340편의 비 SCI 논문이 발표됐으며, 76건의 특허가 등록됐습니다. 특히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각종 실험서비스를 제공하여 융합 연구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소재는 기초연구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산업에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호박, 수박, 참외 등 박과 식물에 피해를 주는 병원성바이러스를 벤처기업에 분양해 바이러스 진단키트를 개발했고, 단결정체를 분양해 고성능 오디오케이블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항생제 내성 세균은 슈퍼박테리아를 잡는 항생제 후보물질 개발에 이용됐으며, 지의류에서 분리한 곰팡이를 배양해 천연염료,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국가간 생물자원 이동 규제에 관한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되는 등 국제사회에서 생물자원 관련 이슈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중앙센터는 국제 자원센터들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우리나라 소재은행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9년에 설립한 ‘아시아 연구소재은행 네트워크(Asian Network of Research Resource Center, ANRRC, http://www.anrrc.org)’는 중앙센터가 사무국으로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호주를 포함해 아시아 14개국 97개 소재은행이 참여하고 있고, 매년 국제학회를 개최해 연구성과와 현안을 공유하고 회원기관 간 인력교류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는 기생생물자원은행, 의용절지동물은행, 항생제내성균주은행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공적개발원조(ODA)사업도 수행 중입니다. 탄자니아의 다양한 생물자원 보존과 생명과학자 양성을 목적으로 탄자니아국립공원야생동물연구센터(TAWIRI)와 협력하여 현지 연구원을 교육하고 야생자원을 수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013년 1월에는 TAWIRI 본부에 탄자니아 최초의 소재은행을 개소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부터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새롭게 신설한 바이오기술 분야(TC276 Biotechnology)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2007년 이래 매해 국회에서 국제심포지엄과 전시회를 개최하여 연구소재은행 발전방향을 논의하고 소재은행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아시아, 유럽, 북미 등의 자원센터 및 학술단체들과 교류하고, 국제학술행사를 개최해 국내 소재은행들의 네트워크 강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앙센터는 매년 사업영역을 넓혀가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소재은행과 함께 기초연구에서 산업화까지 활용가능한 다양한 연구소재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소
- (139-774)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621 서울여자대학교 50주년 기념관 324호 (재)연구소재중앙센터
■ 연락처
- 전화: 02-970-7633~8
- 팩스: 02-970-7632
■ 교통
- 교내버스 : 태릉입구역(7번 출구) → 서울여대 간 운행
- 지하철 :
1호선, 6호선 석계역 4번 출구에서 하차한 후 시내버스 이용
6호선, 7호선 태릉입구역 7번 출구에서 하차한 후 학교버스 및 시내버스 이용
6호선 화랑대역 1번 출구에서 하차한 후 시내버스 이용
6호선 화랑대역 3번 출구에서 하차한 후 도보 10분 소요
연구소재은행 목록
구분 | 소재은행명 | 소속대학 | 책임자 | 홈페이지 |
중앙센터 |
(재) 연구소재중앙센터 |
|
이연희 |
http://www.knrrc.or.kr |
거점센터 |
인체유래검체거점센터 |
중앙대학교 |
차영주 |
http://www.koreabiobank.net |
동물거점센터 |
경상대학교 |
김곤섭 |
http://www.knarrc.or.kr |
|
식물거점센터 |
가천대학교 |
김주환 |
|
|
미생물거점센터 |
경기대학교 |
이상섭 |
http://www.knmrrc.or.kr |
|
융합물질거점센터 |
부산대학교 |
정세영 |
http://knfmrrc.pusan.ac.kr |
|
인체유래 |
간암검체은행 |
연세대학교 |
김호근 |
http://lcsb.knrrc.or.kr |
전립선은행 |
가톨릭대학교 |
이지열 |
http://www.prostatebank.or.kr |
|
한국백혈병은행 |
가톨릭대학교 |
김동욱 |
http://klb.knrrc.or.kr |
|
한국부인암은행 |
연세대학교 |
김재훈 |
http://www.kgcb.or.kr |
|
한국세포주은행 |
서울대학교 |
구자록 |
http://cellbank.snu.ac.kr |
|
혈청검체은행 |
중앙대학교 |
차영주 |
http://hsb.knrrc.or.kr |
|
동물 |
기생생물자원은행 |
충북대학교 |
엄기선 |
http://www.parasite-bank.or.kr |
노화조직은행 |
부산대학교 |
정해영 |
http://www.agingbank.or.kr |
|
뇌신경세포표지은행 |
울산대학교 |
심성보 |
|
|
동물생리활성물질은행 |
경상대학교 |
김곤섭 |
http://www.abrb.or.kr |
|
소유전체은행 |
영남대학교 |
최인호 |
http://bgrb.knrrc.or.kr |
|
의용절지동물은행 |
연세대학교 |
용태순 |
http://amib.knrrc.or.kr |
|
제브라피쉬소재은행 |
경북대학교 |
허태린 |
http://zomb.knu.ac.kr |
|
식물 |
생리활성물질자원은행 |
서울대학교 |
오원근 |
http://kbnmb.knrrc.or.kr |
약용식물소재은행 |
가천대학교 |
김주환 |
http://mprb.knrrc.or.kr |
|
인삼소재은행 |
경희대학교 |
양덕춘 |
http://gb.knrrc.or.kr |
|
한국의식물DNA은행 |
고려대학교 |
김기중 |
http://pdbk.korea.ac.kr |
|
미생물 |
곰팡이유전자원은행 |
서울대학교 |
이용환 |
http://genebank.snu.ac.kr |
메타게놈소재은행 |
성균관대학교 |
윤정훈 |
http://mgrb.knrrc.or.kr |
|
박테리오페이지은행 |
한국외국어대학교 |
명희준 |
http://www.phagebank.or.kr |
|
병원성바이러스은행 |
고려대학교 |
송기준 |
http://kbpv.knrrc.or.kr |
|
식물바이러스은행 |
서울여자대학교 |
류기현 |
http://www.virusbank.org |
|
지의류소재은행 |
순천대학교 |
고영진 |
http://kolabic.knrrc.or.kr |
|
한국구강미생물자원은행 |
조선대학교 |
국중기 |
http://kcom.knrrc.or.kr |
|
한국미세조류은행 |
부경대학교 |
허성범 |
http://www.kmmcc.re.kr |
|
항생제내성균주은행 |
서울여자대학교 |
신은주 |
http://www.ccarm.or.kr |
|
헬리코박터은행 |
경상대학교 |
이광호 |
http://hpktcc.knrrc.or.kr |
|
환경미생물은행 |
경기대학교 |
이상섭 |
http://www.kbem.or.kr |
|
융합물질 |
고분자약물전구체은행 |
경희대학교 |
김정안 |
http://bppp.knrrc.or.kr |
다공성나노소재은행 |
성균관대학교 |
이기라 |
http://pnb.knrrc.or.kr |
|
단결정은행 |
부산대학교 |
정세영 |
http://www.crystalbank.com |
|
변형핵산은행 |
포항공과대학교 |
김병현 |
http://bmnas.knrrc.or.kr |
|
비중심대칭소재은행 |
중앙대학교 |
옥강민 |
http://ncsmb.knrrc.or.kr |
|
색가변성미세입자은행 |
서울대학교 |
권성훈 |
http://bctm.knrrc.or.kr |
|
스핑고리피드소재은행 |
서울대학교 |
김상희 |
http://slb.knrrc.or.kr |
|
형광소재은행 |
부경대학교 |
정중현 |
http://pb.knrrc.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