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분자세포신호전달 연구실
2022-05-31
org.kosen.entty.User@55010088
송영훈(yhsong)
- 1505
- 3
- 2
분자세포신호전달 연구실(Molecular and Cell Signaling Lab)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응용생명화학전공 소속으로 송영훈 교수를 연구책임자로 하여 식물에서 광신호전달과 관련된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착 생명체로서 식물은 주위 환경변화를 인지하고 적절한 반응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들을 진화시켜 왔습니다. 그 중에서 개화(flowering)와 같이 매년 동일한 시기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발달과정 및 생리현상들은 광수용체들이 관여하고 있는 분자 메모리(molecular memory)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모델식물인 애기장대(Arabidopsis)에서 광수용체 기반의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분자 메모리에 의한 식물의 환경 반응성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식물들의 진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광주기 의존적 개화시기 조절 메커니즘 연구
2. 양지 및 음지식물의 진화적 적응성 연구
3. 광신호 매개 식물-미생물 상호작용 연구
2. 양지 및 음지식물의 진화적 적응성 연구
3. 광신호 매개 식물-미생물 상호작용 연구

우리 연구실은 현재 2명의 포스닥, 6명의 대학원생 그리고 1명의 학부연구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구성원들이 개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만 디스커션 및 협업을 통해 전체 프로젝트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매주 주간 리포트(weekly report), 저널 클럽 및 분기별 과제 진도 발표(quarterly project progress presentation)로 구성되어 있는 랩미팅을 통해 자유롭고 활발하게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고, 개인적인 성장 및 커리어 개발(career development)을 위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학술대회 참가를 통해 본인의 연구를 적극 홍보하고 많은 연구자들과 교류할 뿐만 아니라 실험실원들 사이의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구성원들 사이의 친밀도가 높아 번개 및 회식 분위기가 매우 좋습니다.
우리 연구실과 광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에 관심있는 포스닥, 연구원, 대학원생 및 인턴 희망 학생은 하단의 연락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전화 : 02-880-4649 (office), 4659 (lab)

연구실 모든 분들의 각자 만족하는 성취로 연구실 연구 결과까지 up되는 홧팅을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