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PEA 분석물 제출
2010-09-02
org.kosen.entty.User@b5c83d6
곽동윤(4you00)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일본의 도로 정비는 빠르게 발전하는 모터리제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교통의 원활화와 효율성 확보를 최우선시 해 왔다. 특히 연도(沿道) 주변환경과의 융화를 무시한 채 도시 계획 및 도로 정비가 진행되어, 이는 인해 획일적인 도로 기능과 경관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구온난화와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국민의 높은 관심은 도시 계획 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도시 구조의 변환을 요구 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도시 계획 또는 정비 수법이 전환되면서 기존의 도로 및 연도(沿道) 주변환경과 연계하는 새로운 계획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분석물에서는 도시 계획 분야에 있어서 "도로 공간에 대한 활용과 민간 관리" 에 대한 일본 발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구온난화와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국민의 높은 관심은 도시 계획 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도시 구조의 변환을 요구 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도시 계획 또는 정비 수법이 전환되면서 기존의 도로 및 연도(沿道) 주변환경과 연계하는 새로운 계획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분석물에서는 도시 계획 분야에 있어서 "도로 공간에 대한 활용과 민간 관리" 에 대한 일본 발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