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wave-Synthesis 검토
2014-09-03
org.kosen.entty.User@2441132e
어용선(uhyoung)
I. 오랜만에 보는 아주 잘 분석된 글입니다.
II. 요약한 분석물의 분량이 매우 많은 것은 줄이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그대로 실어도 될 것 같습니다.
III. 화학술어 몇 개를 대한화학회(또는 한국화학공학회) 술어집(학회 홈페이지 참조)의 것으로 수정하였습니다.
1) 예를 들면,
“gradient”는 화학술어에서 “기울기” 또는 “그래디엔트”로 정하고 있습니다.
“구배(勾配)”는 한자어 또는 일본에서 주로 쓰는 용어지만 화학술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국립국어원 사전에서도 “기울기”, “오르막” 등으로 순화하여 사용합니다. 비유하자면 “citric acid”는 화학 분야는 물론 대한약전과 같은 공식문서에서는 “시트르산”으로 쓰지만 시중에서는 아직 “구연산(枸?酸)”으로 쓰기도 하는 것처럼 “구배”를 그대로 써도 큰 일 나지 않으므로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지만 검토자가 수정하였습니다. 분석자가 원하면 돌려놓아도 됩니다..
2) 나머지 술어도 비슷합니다.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 chalcogenide 칼코게나이드 → 칼코겐(화합물)
- charge carrier 전하 캐리어 → 전하 운반체
- sol-gel 졸-젤 → 졸-겔
- alkali 알카리 → 알칼리
- wurtzite 우르지트 → 섬유아연광
- hydrodesulfurization 수소화탈황 → 수소첨가탈황
- kinetics 반응동력학 → 반응속도론
- borides 보론화물 → 붕소화물
- optical pyrometer 파이로미터 → 광학 고온계
- binary oooo → 이성분 oooo
- binary oxide 이원산화물 → 이성분 산화물
- carbide → 탄소화물 (무기화학 명명법 참조)
- silicide → 규소화물
- electrochemical deposition 전기화학적 증착 → 전기화학적 석출 (증착(蒸着)에는 vapor(蒸)의 의미가 있어서 전기화학에서는 석출이 더 적합)
-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기 증착 → 화학 증착 (비유: 역전앞, → 역전 또는 역앞)
- synchrotron 싱크로톤 → 싱크로트론 (물리학회 용어집), 흔히 “방사광”이라고도 하나 아직 술어로 채택되지 않음
- 3d ion = 3차원 이온(x) → 3d 이온, (3d 전이금속 이온이라는 뜻입니다.)
- ponderomotive 폰더로모티브 → 폰더모티브
IV. 무기화학의 몇 가지 용어에 낮선 분을 위해 첫 번 나오는 곳에 영문을 병기하거나 간략한 수식어를 넣은 것이 있습니다.
1) 진틀상 → 진틀상(zintl phase)
2) 프닉토젠화물 → 15족 원소의 이성분 화합물인 프닉토젠화물
(문장 중에만 넣었습니다.)
V. 검토자가 위의 내용으로 수정한 별첨 원고를 분석자가 수용한다면 그 원고를 게재하여도 좋습니다. 아니면 수정한 파일을 다시 올리기 바랍니다.
(그 밖에 사소한 수정도 있습니다. 자세한 수정내용은 MS-Word “검토”에서 수정 이력을 참고하십시오)
II. 요약한 분석물의 분량이 매우 많은 것은 줄이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그대로 실어도 될 것 같습니다.
III. 화학술어 몇 개를 대한화학회(또는 한국화학공학회) 술어집(학회 홈페이지 참조)의 것으로 수정하였습니다.
1) 예를 들면,
“gradient”는 화학술어에서 “기울기” 또는 “그래디엔트”로 정하고 있습니다.
“구배(勾配)”는 한자어 또는 일본에서 주로 쓰는 용어지만 화학술어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국립국어원 사전에서도 “기울기”, “오르막” 등으로 순화하여 사용합니다. 비유하자면 “citric acid”는 화학 분야는 물론 대한약전과 같은 공식문서에서는 “시트르산”으로 쓰지만 시중에서는 아직 “구연산(枸?酸)”으로 쓰기도 하는 것처럼 “구배”를 그대로 써도 큰 일 나지 않으므로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지만 검토자가 수정하였습니다. 분석자가 원하면 돌려놓아도 됩니다..
2) 나머지 술어도 비슷합니다.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 chalcogenide 칼코게나이드 → 칼코겐(화합물)
- charge carrier 전하 캐리어 → 전하 운반체
- sol-gel 졸-젤 → 졸-겔
- alkali 알카리 → 알칼리
- wurtzite 우르지트 → 섬유아연광
- hydrodesulfurization 수소화탈황 → 수소첨가탈황
- kinetics 반응동력학 → 반응속도론
- borides 보론화물 → 붕소화물
- optical pyrometer 파이로미터 → 광학 고온계
- binary oooo → 이성분 oooo
- binary oxide 이원산화물 → 이성분 산화물
- carbide → 탄소화물 (무기화학 명명법 참조)
- silicide → 규소화물
- electrochemical deposition 전기화학적 증착 → 전기화학적 석출 (증착(蒸着)에는 vapor(蒸)의 의미가 있어서 전기화학에서는 석출이 더 적합)
-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기 증착 → 화학 증착 (비유: 역전앞, → 역전 또는 역앞)
- synchrotron 싱크로톤 → 싱크로트론 (물리학회 용어집), 흔히 “방사광”이라고도 하나 아직 술어로 채택되지 않음
- 3d ion = 3차원 이온(x) → 3d 이온, (3d 전이금속 이온이라는 뜻입니다.)
- ponderomotive 폰더로모티브 → 폰더모티브
IV. 무기화학의 몇 가지 용어에 낮선 분을 위해 첫 번 나오는 곳에 영문을 병기하거나 간략한 수식어를 넣은 것이 있습니다.
1) 진틀상 → 진틀상(zintl phase)
2) 프닉토젠화물 → 15족 원소의 이성분 화합물인 프닉토젠화물
(문장 중에만 넣었습니다.)
V. 검토자가 위의 내용으로 수정한 별첨 원고를 분석자가 수용한다면 그 원고를 게재하여도 좋습니다. 아니면 수정한 파일을 다시 올리기 바랍니다.
(그 밖에 사소한 수정도 있습니다. 자세한 수정내용은 MS-Word “검토”에서 수정 이력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