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2014-09-03
org.kosen.entty.User@61e478c0
하태진(taejinha82)
분야
정보/통신
개최일
2014-09-08~2014-09-08
신청자
하태진(taejinha82)
개최장소
Munich , France
URL
행사&학회소개
ISMAR 학회는 혼합/증강현실 연구 분야의 Major/Top 컨퍼런스로써 올해 13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ISMAR 학회는 1998/1999년 International Workshop on Augmented Reality (IWAR), 1999/2001년 bi-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Reality (ISMR), 2000/2001년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gmented Reality (ISAR)이란 이름으로 학회가 개최되었으며, 2002년부터 현재까지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이름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작년의 경우, 26개국으로부터 103편의 논문이 제출되었는데 이중 26편이 구두 논문으로 채택되어 25.2%의 논문 채택률을 보였습니다.
ISMAR 학회는 높은 수준의 기술 논문들이 발표되는 것으로 유명한데, 올해는 특히 14편의 Full-length 논문 중에 10편을 선정하여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TVCG)저널에 개제할 예정입니다. TVCG는 컴퓨터과학분야 Top 10% 안에 드는 수준 높은 저널입니다.
작년의 경우, 26개국으로부터 103편의 논문이 제출되었는데 이중 26편이 구두 논문으로 채택되어 25.2%의 논문 채택률을 보였습니다.
ISMAR 학회는 높은 수준의 기술 논문들이 발표되는 것으로 유명한데, 올해는 특히 14편의 Full-length 논문 중에 10편을 선정하여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TVCG)저널에 개제할 예정입니다. TVCG는 컴퓨터과학분야 Top 10% 안에 드는 수준 높은 저널입니다.
보고서작성신청
우선 KOSEN 에서 ISMAR 학회에 대한 소개 문서가 없는 것을 발견하여, 제가 ISMAR 학회에 대한 소개 보고서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본 신청자는 올해 ISMAR 학회에서 Full-length 논문을 발표할 예정인데, 국내에서 유일한 구두 발표 참가자입니다. 따라서 본 학회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에게 혼합/증강현실 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합니다.
참고로 본 신청자는 과거 10년동안 증강현실 연구를 한 경력을 바탕으로,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독자들에게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최근에 구글 글래스, META 등의 안경형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어 혼합/증강현실 연구 분야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본 학회의 워크숍 및 튜토리얼 기간 동안에 증강현실기반 의료, 산업,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설계,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정(Calibration) 방법에 관한 주제가 소개될 예정인데, 본 신청자는 이 주제에 대한 내용을 보고서에 포함하고자 합니다.
그 밖에, 컴퓨터 비전 분야의 대가인 CMU의 Takeo Kanade 교수, 증강현실 HCI 연구의 대가인 워싱톤 대학의 Tom Furness 교수의 키노트 발표를 요약하여 작성하고자 합니다.
특히 본 신청자는 올해 ISMAR 학회에서 Full-length 논문을 발표할 예정인데, 국내에서 유일한 구두 발표 참가자입니다. 따라서 본 학회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에게 혼합/증강현실 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합니다.
참고로 본 신청자는 과거 10년동안 증강현실 연구를 한 경력을 바탕으로,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독자들에게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최근에 구글 글래스, META 등의 안경형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어 혼합/증강현실 연구 분야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본 학회의 워크숍 및 튜토리얼 기간 동안에 증강현실기반 의료, 산업,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설계,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정(Calibration) 방법에 관한 주제가 소개될 예정인데, 본 신청자는 이 주제에 대한 내용을 보고서에 포함하고자 합니다.
그 밖에, 컴퓨터 비전 분야의 대가인 CMU의 Takeo Kanade 교수, 증강현실 HCI 연구의 대가인 워싱톤 대학의 Tom Furness 교수의 키노트 발표를 요약하여 작성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