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프로그램한 STAP 만능세포로 양방향으로의 발생 가능
2014-09-18
org.kosen.entty.User@3b8cb64e
강계원(kwkang34)
이 논문은 2014년 1월 일본 RIKEN 연구소 발생생물학(CDB)의 젊은 생화학연구원 Haruko Obokata를 주저자로 하여 여러려 명의 공저자가 두 편의 논문을 《Nature》지에 발표한 두 번째 논문 내용이다. 첫 번째 논문은 마우스 백혈구를 낮은 pH 용액에 단시간 노출해서 세포가 혈액세포 특성을 상실하고 일부에서 만능성(pluripoteny)과 배아줄기세포로 전환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이를 스트레스-유인 만능성 획득(stimulus-triggered acquisition of pluripotency; STAP)이라고 했고 STAP 세포는 핵 이식이나 전사인자를 유입하지 않고 약한 pH에서 일시적인 스트레스로 만능세포(pluripotent cells)를 만들었다.그러나 날조사실이 들어나 이미 철회한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