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Biomechanics of the Ascending Thoracic Aorta: A Clinical Perspective on Engineering Data

행사&학회소개
Mechanical Structure of the Ascending Aorta
- Normal structure of the ascending aorta
- Component mechanical properties
- Tissue remodelling of the ascending aorta with age and disease

Ascending Aortic Biomechanics
- Aortic size as a predictor of mechanical stability
- Linear elastic (Hookean) model
- Measurement of aortic biomechanics
- Limitations of ex vivo testing
- Tensile testing data and derived metrics
- Characterization of ascending TAAs using tensile testing
- Ascending aortic dissection
- Noninvasive in vivo methods for assessment of aortic biomechanics

Translational Considerations
보고서작성신청
임상의학에서는 상행흉부대동맥에서의 대동맥류 파열과 박리의 위험성을 줄이기위해 graft를 이용한 수술적인 중재가 요구되는데, 현재는 대동맥의 크기를 토대로 수술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체역학적인 관점에서 혈관벽에 작용하는 응력을 견뎌내는 기계적인 모델을 사용하여 대동맥류의 파열과 박리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인장강도실험을 통하여 건강하거나 질병이 있는 조직의 기계적인 변수를 밝히면서 혈관의 기계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본 리뷰는 이러한 기계적인 실험을 통한 인장실험의 해석과 대동맥의 기계적인 거동을 결정하는 혈관의 구성요소와 구조적인 성질을 살펴보고, 임상의학적인 관점에서 대동맥류에 대한 기계적인 실험을 해석하였다. 또, 최근 초음파심장검진, CT와 MRI를 이용한 혈관조영술에서 대동맥의 위험성을 측정하는 생체역학적인 성질에 촛점을 맞추었다.
본 리뷰는 영상의학 등에 종사하며 대동맥 질병과 관련된 혈관 수술 및 연구에 참여하는 의료진들 및 혈관을 연구하는 생명과학자들에게 역학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를 임상의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데 좋은 정보가 될것으로 생각되어 본 논문의 분석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