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Big Data Analytics for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s: A Survey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1.1 Examples of Big Data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 Disaster Areas
1.2 Scope and Structure of this Paper

2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S (ECNS) AND BIG DATA ANALYTICS
2.1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s (ECNs)
2.2 State-of-the-Art ECNs
2.3 Comparison of ECNs in Disaster Scenarios
2.4 Motivation and Overview of Big Data Analytics

3 TECHNIQUES FOR BIG DATA ANALYTICS FROM CONTENT AND SPATIAL POINTS OF VIEW
3.1 Techniques for Content Analytics
3.2 Techniques for Spatial Analytics

4 ENHANCEMENT OF ECNS BASED ON BIG DATA ANALYTICS
4.1 Applications and Enhancement of ECNs from Content Analytics
4.2 Applications and Enhancement of ECNs from Spatial Analytics

5 CHALLENGING ISSUES IN BIG DATA ANALYTICS FOR ECNS
5.1 Challenges for Content Analytics
5.2 Challenges for Spatial Analytics
5.3 Challenges for Enhancement of ECNs

6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비상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서비스가 되지 않거나 제한적인 상황에서의 재난 관리를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해 주기 위한 중요한 연구 이슈이다. 네트워크 자원이 제한적이고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 조건이 동적으로 변할 때 주어진 자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것인가가 주요 문제이다. 재난 지역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은 재산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제한적인 자원들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추천 논문에서는 콘텐츠 및 공간 관점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기존의 비상 통신 네트워크의 기술들을 기술하며, 그 비상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망한 방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추천 논문에서는 앞으로 남아 있는 도전 과제들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본 논문을 통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현재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재난, 안전 문제에 대한 해결책 도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고 본 논문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