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 Non-Coding RNAs As Potential Novel Prognostic Biomarkers in Colorectal Cancer
2016-05-16
org.kosen.entty.User@44435e6
이상후(sprout30)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LncRNAs IN CANCER AND THEIR POTENTIAL AS PROGNOSTIC BIOMARKERS
3. ONCOGENIC LncRNAs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COLORECTAL CANCER
4. TUMOR SUPPRESSIVE LncRNAs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COLORECTAL CANCER
5. CONCLUSIONS AND FUTURE PERSPECTIVES
2. LncRNAs IN CANCER AND THEIR POTENTIAL AS PROGNOSTIC BIOMARKERS
3. ONCOGENIC LncRNAs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COLORECTAL CANCER
4. TUMOR SUPPRESSIVE LncRNAs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COLORECTAL CANCER
5. CONCLUSIONS AND FUTURE PERSPECTIVES
보고서작성신청
직장암(colorectal cancer)는 전세계적으로 4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인데, 현재까지는 주로 외과의들이 조직병리학적인 특성분석을 통해서 진단 및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까지 직장암 환자들을 판별하고 예후를 관찰하는데 용이한 생체지표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몇 가지 지표들은 발견되어 연구자 임상단계에서 임상적인 효용성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최근에 차세대 유전자 분석기법의 발전과 전사체 분석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핵산 유래 생체지표들이 속속들이 확인되고 있으며,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발굴되고 있다. 대표적인 지표중에 하나가 non-coding RNAs라 불리는 RNAs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 지표의 발견으로 인하여 개인맞춤 암 진단의 가능성을 한 단계 높이게 되었으며, 더욱이 많은 long non-coding RNAs가 조직 및 암 특이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예후성 생체지표로 유용하다고 밝혀지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직장암에서 long non-coding RNAs의 오발현에 대한 최신 연구내용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