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물 수정본
2016-07-05
org.kosen.entty.User@46276733
전봉현(jjcome77)
1. 분석시에 아래와 같은 큰 제목아래에 분석해 주시기 바랍니다.
1. Introduction
2. Detecting and distinguishing cancers and their phenotypes
3. Sensing of infectious diseases: nanoparticle aggregation based systems
4. Seeing cells and tissues with nanoparticles; cellular mapping and in vivo studies
5. Conclusions and outlook
분석자 결론은 따로 추가하셔도 됩니다.
--> 반영하였습니다.
2. 내용들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그림들을 추가해 주십시오. 그림이 거의 없습니다.
--> 이해를 돕고자 그림을 추가하였습니다. 논문의 그림 1개는 많은 저널에서 permission이후 허락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영어가 아닌 언어로 작성할 때는 제약이 있는 경우 등이 있어서 저작권 문제를 피하고자, 직접 그려서 추가 하였습니다.
3. 아래 항목들에 대해서 수정해 주기기 바랍니다.
생물의학 --> 생체의학
플라스몬 --> 플라즈몬
타기팅-->표적(target)
--> 반영하였습니다.
고분자 미셀 (?) 구조
--> 미셀 뒤에 영어적어 주었습니다. “이러한 항체는 금속 입자부터 고분자 미셀(micellar) 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나노 입자 표면에 도입이 되어왔다.”
일반적인 유세포분리기를 SERS기반의 유세포분리기로 발전시켰다.
--> 해당문장을 아래처럼 고쳐주었습니다.
“MacLaughlin 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광기반인 유세포분리기(flow cytometer)를 라만 태그, 레이저와 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접목을 통해서 SERS 기반의 유세포 분리기로 발전시켰다.”
4. 2D 세포 배양과 3D 세포 배양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는 데,
이 둘의 간단한 설명과 차이점을 기술해 주십시오.
--> 아래기술을 추가하였습니다.
“2D 세포 배양은 일반적인 세포배양 방법으로 세포를 세포배양접시에 2차원으로 배양하는 방법이며, 3D 세포 배양은 미세유체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제 생체기관의 3차원적 구조를 모사하는 배양 방법으로, 동물실험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윤리적인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생물체의 반응과는 차이는 있지만, 2차원 보다는 좀 더 실제 생물체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해 줄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5. 아랫 문장은 앞뒤 문장들과 의미 연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50 또는 100nm의 금 나노입자의 합성하였으며, 추가적인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는 티올 포함 리간드[4]를 사용하여 안정화하였다.
-->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른 영향에 대해 연구 위한 3 차원 배양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이때 구체적으로 어떠한 크기의 입자를 준비하였으며, 어떠한 리간드로 안정화하였는지 부연설명을 해 주는 것으로써, 의미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부연 설명을 아래처럼 추가해 주었습니다.
“2가지 다른 크기(50 또는 100nm)의 금 나노 입자의 합성하였으며, 해당 나노입자는 추가적인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는 티올포함 리간드 [4]를 사용하여 안정화 시켰다.”
6.
LOD?
--> 해당문장을 다른 표현으로 고쳤습니다. “초고감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SERS 스펙트럼을 성공적으로 검출하였다[64?].--> 참고문헌 번호가 이상합니다.
--> 11로 고치고 참고문헌 추가하였습니다.
형광 퀜처?
--> 형광 소광제 (quencher) 로 고쳤습니다.
Au 나노입자 --> 금 나노입자
--> 고쳤습니다.
1. Introduction
2. Detecting and distinguishing cancers and their phenotypes
3. Sensing of infectious diseases: nanoparticle aggregation based systems
4. Seeing cells and tissues with nanoparticles; cellular mapping and in vivo studies
5. Conclusions and outlook
분석자 결론은 따로 추가하셔도 됩니다.
--> 반영하였습니다.
2. 내용들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그림들을 추가해 주십시오. 그림이 거의 없습니다.
--> 이해를 돕고자 그림을 추가하였습니다. 논문의 그림 1개는 많은 저널에서 permission이후 허락하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영어가 아닌 언어로 작성할 때는 제약이 있는 경우 등이 있어서 저작권 문제를 피하고자, 직접 그려서 추가 하였습니다.
3. 아래 항목들에 대해서 수정해 주기기 바랍니다.
생물의학 --> 생체의학
플라스몬 --> 플라즈몬
타기팅-->표적(target)
--> 반영하였습니다.
고분자 미셀 (?) 구조
--> 미셀 뒤에 영어적어 주었습니다. “이러한 항체는 금속 입자부터 고분자 미셀(micellar) 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나노 입자 표면에 도입이 되어왔다.”
일반적인 유세포분리기를 SERS기반의 유세포분리기로 발전시켰다.
--> 해당문장을 아래처럼 고쳐주었습니다.
“MacLaughlin 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광기반인 유세포분리기(flow cytometer)를 라만 태그, 레이저와 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접목을 통해서 SERS 기반의 유세포 분리기로 발전시켰다.”
4. 2D 세포 배양과 3D 세포 배양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는 데,
이 둘의 간단한 설명과 차이점을 기술해 주십시오.
--> 아래기술을 추가하였습니다.
“2D 세포 배양은 일반적인 세포배양 방법으로 세포를 세포배양접시에 2차원으로 배양하는 방법이며, 3D 세포 배양은 미세유체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제 생체기관의 3차원적 구조를 모사하는 배양 방법으로, 동물실험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윤리적인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생물체의 반응과는 차이는 있지만, 2차원 보다는 좀 더 실제 생물체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해 줄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5. 아랫 문장은 앞뒤 문장들과 의미 연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50 또는 100nm의 금 나노입자의 합성하였으며, 추가적인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는 티올 포함 리간드[4]를 사용하여 안정화하였다.
-->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른 영향에 대해 연구 위한 3 차원 배양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이때 구체적으로 어떠한 크기의 입자를 준비하였으며, 어떠한 리간드로 안정화하였는지 부연설명을 해 주는 것으로써, 의미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부연 설명을 아래처럼 추가해 주었습니다.
“2가지 다른 크기(50 또는 100nm)의 금 나노 입자의 합성하였으며, 해당 나노입자는 추가적인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는 티올포함 리간드 [4]를 사용하여 안정화 시켰다.”
6.
LOD?
--> 해당문장을 다른 표현으로 고쳤습니다. “초고감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SERS 스펙트럼을 성공적으로 검출하였다[64?].--> 참고문헌 번호가 이상합니다.
--> 11로 고치고 참고문헌 추가하였습니다.
형광 퀜처?
--> 형광 소광제 (quencher) 로 고쳤습니다.
Au 나노입자 --> 금 나노입자
--> 고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