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Materials Research Society Fall Meeting
2016-11-12
org.kosen.entty.User@675f9ce
한진규(hannt)
분야
재료
개최일
2016-11-28~2016-12-02
신청자
한진규(hannt)
개최장소
United States,Boston
URL
행사&학회소개
MRS 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재료관련 학회로써 봄과 가을 매년 두 번 미국에서 열린다. 미국에서 개최되는 MRS 학회는 참석자의 약 60퍼센트 이상이 미국외의 지역에서 온 과학자들로써 명실공히 전세계 재료관련 학회라 할 수 있다. 봄에는 애리조나 피닉스에서 열리며 주로 반도체 관련한 산업적인 주제가 주로 다루어지는 반면, 가을에는 보스턴에서 열리며 주로 물리적인 학문적 주제가 주로 다루어진다. 1973 년 이래로 매년 두번의 학회가 개최되며, 전 세계의 재료와 관련된 학계, 산업계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재료 관련 최신의 연구 자료와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는 학회로 알려져 있다. 두 번의 학회 모두 재료 학계의 전반적인 주제인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유무기 물질과 그들의 복합 재료를 포함하여, 소자, 공정,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포스터와 오랄발표가 이루어지는 학회이다. 또한 세션들이 해마다 이슈가 되는 첨단 분야로 정하여, 재료 관련 최신의 정보를 얻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학회로 평가되기도 한다. 또한 논문 채택률이 약 40퍼센트 이하이고, 오럴발표 기준 또한 매우 엄격하게 심사하는 등 세계 최고의 학회 발표 수준을 유지, 관리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보고서작성신청
제가 이 보고서를 신청하는 이유는 지난 2014 MRS fall meeting 을 참석하며 왜 이 학회가 세계최고인가를 여실히 느꼈었는데, 이번 2016 MRS fall meeting 에 다시 참석할 기회가 생겨 그곳에서 얻은 경험과 현장 분위기들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서이다. 학회에서는 강유전체 산화물의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및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오랄, 포스터 발표를 참관하여 그에 대한 기술개발 기술동향 파악 및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2D 물질에 관한 세션 “NM2―2D Layers and Heterostructures beyond Graphene―Theory, Preparation, Properties and Devices”, 유연소자개발에 관한 세션 “BM4―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Biointerface Devices and Stretchable Electronics” 등이 분류되어 있어 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전세계에 수행되고 있는 연구를 보다 폭넓은 관점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본인이 2016 MRS fall meeting 에 참석하게된 계기는 Symposium NM1―Semiconducting Nanowires, Nanoribbons and Heterostructures―Synthesis, Characterizations and Functional Devices 세션에 “Flexible Fiber-type Energy Harvesting based on Perovskite Lead Titanate Nanotube Arrays” 라는 제목으로 포스터 발표를 위해서이다. 나노제너레이터 분야는 최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인해 각광받는 분야인데, 바람이나 벌레의 움직임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손쉽게 전기를 수확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 할 예정이다.
본인이 2016 MRS fall meeting 에 참석하게된 계기는 Symposium NM1―Semiconducting Nanowires, Nanoribbons and Heterostructures―Synthesis, Characterizations and Functional Devices 세션에 “Flexible Fiber-type Energy Harvesting based on Perovskite Lead Titanate Nanotube Arrays” 라는 제목으로 포스터 발표를 위해서이다. 나노제너레이터 분야는 최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인해 각광받는 분야인데, 바람이나 벌레의 움직임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손쉽게 전기를 수확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