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Neglected waterborne parasitic protozoa and their detection in water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Amoebae
3. Blastocystis hominis
4. Ciliates
5. Sporozoa
6. Summary
7. Conclusions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지구상 인류의 절반 이상이 아직도 안전한 음용수와 농업용수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서 Cyclospora cayetanensis, Toxoplasma gondii, Isospora belli, Balantidium coli, Blastocystis hominis, Entamoeba histolytica 등의 원충류는 그 위해성이 약하다는 이유로 사회환경적 검출관리에서 무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원충과 여타 유해 원충이 동시에 잔존하는 수질에서는 이들의 상승작용(synergism)에 의한 위해성이 큰 문제일 수 있고, 무해원충과 유해원충의 가승작용(potentiation)이 더 큰 문제일 수 있다. 특히 고습도와 고온의 열대지역과 아열대지역에서는 이제부터라도 대비해나가야 하지만,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인구과밀의 한반도에서도 대비하지 아니할 수 없는 문제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