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Cleaning up the big muddy: A meta-synthesis of the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 of dams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4.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한국에서 댐 개발 특히 대규모 댐의 개발과 건설은 가능한가? 물부족 국가로서 물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주민을 이해시킬 수 있는가? 현재로서는 어떠한 목적과 핑계로서도 대댐의 개발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국가사회적인 물부족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 대안은 바로 cistern과 chultune 및 지하터널댐의 건설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이 댐의 환경파괴와 생태파괴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지만, 주민의 생활터전 파괴와 혼란상 초래라는 측면에서 주민을 이해시키기에는 버겁다. 대댐의 인프라구조, 생활터전 영향, 공간적·시간적 차원의 가치성을 제시하고 있는 본 논문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서, 댐의 대안을 이해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