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grated approach with the zebrafish model for biomonitoring of municipal wastewater effluent and receiving waters
2018-03-22
org.kosen.entty.User@4a936c55
김오식(enviromath)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하수처리장 방류수는 하류의 수역으로 유입되므로 다종다양한 천연화학물질과 각양각색의 산업화학물질을 모니터링해야 하지만 모든 화학물질을 검출하고 분석하는 일은 전연 불가능한 일이다. 그 많은 화학물질이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간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인 상가작용(additivity)이나 상승작용(synergism)과 가승작용(potentiation) 및 상쇄작용(antagnism)으로 중간생성물을 만들기도 하고 신종 화학물질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신규 및 신종의 화학물질은 수서생물에 독성을 미치기도 하므로, 바이오모니터링 하여 그 대안을 찾아내어야 한다. 그러한 바이오모니터링의 수단으로서는 내장이 맨눈으로도 훤히 내다보이는 투명한 물고기의 제브라피쉬를 적용하는 경우가 가장 효율이라고 할 수 있다. 수질독성 모니터링을 위한 제브라피쉬의 적용성과 각종의 악영향의 분석도 기대해 볼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