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A comparative method of air emission impact assessment for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ies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Study scope and system boundary
3. Methodology
3.1. Emissions evaluation
3.2. Models for emissions estimation
3.3. Impact categories
3.4. Impact assessment method
4. Conclusion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건축물과 빌딩의 건설 단계에도 건축 재료와 사용 에너지와 기자재 및 수송과 연관되는 여러 가지의 환경적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건축물의 건축과정에서도 지구온난화가스(GHG), 기타 비-지구온난화가스(Non-GHG) 등이 방출되고 있다. GHG로서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및 아질산가스(N2O)가 발생되고 있지만, 비-GHG로서는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미분진(PM), 탄화수소류(HCs), 비-메탄휘발성유기화합물(NMVOCs) 등이 사용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방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빌딩과 건축물의 건축단계에서 발생되는 방출가스류와 환경적 악영향의 비교분석도 가치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