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2차 검토내용

코센 관리시스템의 내부사정으로 2차 검토결과를 올리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습니다.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비교적 잘 수정하였습니다. 2차 검토에서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파일에서 직접 수정하고, 수정된 부분은 노란색을 칠해 두었습니다. 분석자께서 수정에 동의하시면 색칠을 없애고 게재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더 수정하셔도 됩니다. 이때는 수정한 부분에 옅은 푸른색을 칠해두시면 쉽게 알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2. 전통적인 표준어로 수정하였고, 많이 쓰고 있는 단어도 한글로 순화하기 위해 권장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 예: 최근 문장 앞에 “하지만”을 쓰고 있지만, 전통적인 표준어에서 “하지만”은 “OO하지만”과 같은 곳에 쓰고 문장 앞에서는 “그러나” 또는 “그렇지만” 을 쓰는 것이 상례입니다.
◇예: “본질적으로”, “지속적으로”
한자 접미사 “-적”은 되도록 쓰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러한 것은 법원도서관에서 순화하도록 한 단어나 표현입니다.
◇“연소되는” - “연소하는”; “지속됨에 따라” - “지속함에 따라”
영어 수동형 문장을 번역하던 영향으로 '-되다'를 많이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능한 한 우리말 표현인 능동형을 쓰면 좋겠습니다.

3. 띄어 쓰기를 수정하였습니다.
◇ 예: “화합물등이 있다.” - “화합물 등이 있다.”
◇ “1kg” “1 kg” (숫자와 단위는 띄어 씁니다.)
예가 많아 모두 기록하지 않겠습니다. 수정한 파일과 수정전의 것을 비교하십시오.

4. 표현을 순화하였습니다.
◇ “없어지는 반면” - “없어지지만”
“반면”이라는 한자어보다 -지만'이라는 접속 조사를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5. 한글 화합물 이름을 명명법에 맞게 수정하였습니다.
◇ 예: “포리프로필렌” -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 “셀룰로스”
“슬폰산” - “설폰산”

6. 한글 술어에 덧붙인 괄호내 영어는 필요 없으므로 제거하였습니다.
◇예: 에스터교환반응(trans-esterification), 탈수반응(dehydration), 탈하이드록시 반응 (dihydroxylation) 및 탄화반응(carbonization)
- 에스터교환반응, 탈수반응, 탈하이드록시 반응 및 탄화반응
◇ 위에서 영어 “dihydroxylation”은 “dehydroxylation”의 오타이지만 필요 없는 단어이니 상관 없습니다.
◇ 단, 약자를 정의하려고 쓴 것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예: “한계 산소 지수법(Limiting Oxygen Index, LOI)”

7. 필요 없는 단어를 제거하였습니다.
◇ “거의 대부분이” - “대부분이”
“대부분”에 “거의” 뜻이 담겨 있으므로 굳이 “거의 대부분”으로 쓸 이유가 없습니다.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8. 영어표현을 한글로 수정하였습니다.
◇ 예: “시편의 사이즈” - “시편 크기”.
“연구실 스케일” - “연구실 규모”

9. 일본어 표현을 한글 표현으로 바꾸었습니다.
◇ 예: “감안하면” - “고려하면”

10. 오타를 수정하였습니다.
◇예: “혼성화화하여” - “혼성화하여”
“키토산과 키토산과 폴리비닐..” - ” 키토산과 폴리비닐..”

11.바른 단어로 수정하였습니다.
◇예: “효과가 적음을” - “효과가 작음을”

12.독자가 읽을 때 혼돈할 수 있는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예:“하지만 실리카가 동일한 탄소 양을 사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Char에 의한 난연 특성보다는 그 효과가 적음을 보였다. 코팅 측면에 있어서는 실리카 처리가 훨씬 쉽고 적은 겹 수로 코팅을 했을 때에도 발포 특성이 탄소 소재를 사용했을 경우보다는 좋았다.”
◇앞에서는 난연 특성에 효과가 작다고 하고, 이어진 것에서는 발포특성이 좋다고 하여 독자가 혼돈할 수 있습니다. 앞의 것은 실란을 사용하여 생성된 char는 탄소를 사용한 것보다 단열층 효과가 작다는 것이므로 다른 표현으로 바꾸었습니다.

13.붕산 화합물에 대한 것은 생략하였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몇 줄 넣어도 좋습니다.

14.Reference를 잘 못 기재한 것을 수정하였습니다. 참고문헌은 실제로 찾아본 것이나 중요한 것을 써아 하는데 원문에 있는 것을 단순 재인용하면서 제대로 옮겨쓰지 못한 것 같습니다.
◇ Reference [4]는 “Fire retardant materials”라는 학술지에 실린 것이 아니고, A.R. Harrocks와 D. Price가 공동으로 편집한 단행본 “Fire retardant materials” (Woodhead 출판사 발행)에 실린 것입니다.
◇ “Fire retardant materials (2001): 31-68” 은 학술잡지로 읽을 수 있어 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수정하였습니다.
◇Reference [7]도 단행본이므로 출판된 곳을 표시하여야 합니다.
◇논문을 인용할 때 학술지명은 표준 약자로 쓰는 것이 상례인데 여기서는 전부를 쓴 것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다만 소문자와 대문자 표기가 일관성이 없어 같게 수정하였습니다.

15. 여기서 예를 들지 않은 것은 수정한 파일과 분석자가 올린 파일을 비교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