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대유행 중
2022-02-13
org.kosen.entty.User@3c3ce14
이재현(jaelee122)
COVID-19 대유행 중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 연구 및 치료
이재현, jaelee122@hanmail.net
한국산업기술진홍협회
Key Words
영문 키워드. COVID-19, Alcohol abuse, Substance abus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한글 키워드. 코로나-19, 알코올남용, 약물남용, 정신건강, 신체건강
1. 서론
SARS-CoV-2(COVID-19)의 세계 대유행은 우리 생활에서 정신건강 이상 같은 질병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1]. 이 질병의 만연에서 확대를 막기 위하여 격리와 같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개인들의 정신건강은 다양하여 근심 걱정, 우울증, 스트레스 후 증후군, 자해 및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2]. 이러한 요인들은 타 건강 관련 태도들에 영향을 미쳐, 알코올 및 타 약물 남용으로 이어진다[3].
재난 중에 스트레스와 근심은 이를 견디기 위하여 약물남용을 가져온다[4]. COVID-19 관련한 근심과 두려움이 약물남용의 증가와 시작을 유도한다. 약물 거래가 봉쇄의 영향으로 감소하여 약물 소비가 줄어들고 약물이 희귀해진다는 의견도 있다[5]. 조사 방법으로 그림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6].
2. 알코올남용
범유행 동안 알코올남용 위험 요인은 여러 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정신건강, 성별, 나이, 고독, 자손, 느낀 위험 및 정신적 고통, 충동성, 신체 건강, 교육, 소득 손실 및 covid-19로 앓는 사람과의 관계 등이다. 알코올남용에 관한 연구 방법이 다양하여 정량적인 메타분석이 적당하지 않으므로, 신체 및 정신 건강 및 함께 일어나는 중독 특성을 다음에 서술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표 1에는 질문에 의한 알코올남용 사례를 열거하였다[7].
그림 1. 체계적인 리뷰에서 각각 다른 단계의 전보 흐름도
?
표 1. 질문에 답한 알코올남용 사례들
2.1. 정신건강
정신건강 위험은 대체로 음주가 많은 것과 연관된다. 걱정 (및 실망)이 음주의 가장 많은 이유이다[8]. 신체적 고통이 많으면 음주와 관련되며, 중간 및 심한 우울증이 약한 우울증보다 더 많은 음주를 유도한다. 음주병을 앓는 사람은 심리적인 covid-19 요인이 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음주병이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알코올 소비와 갈망 및 정신적 충격 후 장애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9].
2.2. 신체 건강
두 연구가 있는데, 신체 건강 악화는 많은 음주와 관계가 있고, 알코올 소비의 변화는 BMI와 연관된다. 즉 과체중/비만인 자들은 그렇지 않은 자보다 알코올 섭취량을 줄이지 못한다[10]. 같은 맥락에서 신체 운동이 적고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이 음주가 심하다.
2.3. 지루함 및 외로움
격리/자가-고립 상태의 사람들은 보통 사람보다 더 많은 음주를 한다. 같은 경우인 혼자 사는 사람들은 대유행을 견디기 위하여 외로움으로 음주를 더하며 반복 음주가 심하다. 사회적 접촉이 적은 사람들은 또한 약물남용이 심하였다[11].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자가격리는 낮은 음주율을 보였다.
2.4. 인구통계학적 요소
남자들이 COVID-19 유행 중 음주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들이 일주일에 15번 이상 음주를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2]. 반대로 여자들이 대유행 중에 보통 때보다 더 많이 마시지만, 남자들이 술을 폭음한다는 보고도 있다[13]. 캐나다에서는 성별로 볼 때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술을 더 마신다는 보고가 있다. 러시아에서 대유행 중 폭음이 7.1%에 달했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았다[14]. 중국에서는 위험한 그리고 의존성 있는 음주의 비율이 남자가 여자보다 6배 더 많았다[15]. 반대로 폴란드에서 여자들이 더 자주 그리고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술을 마셨다[16]. 흥미로운 연구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 대학을 나온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술을 적게 마셨다[17]. 전체적인 알코올 및 약물남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
표 2. COVID-19 대유행 동안 알코올 및 약물 남용 사례들[17]
3. 약물남용 양상
약물남용은 선택한 45개 연구 중 17개(37.7%)가 있었다. 더 나아가 4개(8.8%)의 연구가 약물남용이었다. 즉 알코올, 법적 또는 불법적 약물들, 혹은 의사가 추천하지 않은 처방된 약물[18], 혹은 확실하지 않은 약물 사용 혹은 남용이었다. 연구에 주로 사용된 약물은 대마초(n = 11), 아편류(n = 5) 일반 혹은 오락 약물(n = 4), 헤로인(n = 3), methamphetamine(n = 3), 진정제 혹은 수면제(n = 3), 코카인(n = 3), MDMA(n = 2), 케타민(n = 1), 벤조디아제핀(n = 1), 흥분제(n = 1), 암페타민(n = 1), 처방된 약물(n = 1), 합성 대마초류(n = 1), GHB(n = 1), 펜타닐(n = 1) 및 진통제(n = 1) 등이다.
3.1. 정신건강
5개 연구의 참여자들에 의하면 정신건강은 대부분 높은 약물남용에 의하여 일어난다. 한 연구에 의하면, 마리화나 사용의 변화 및 사용 증가는 중증 및 심각한 우울증을 가져왔다[19]. 이전에 혹은 현재 약물남용 및 도박 문제를 경험했던 사람들은 대유행 중에 동반 정신병 조건, 특히 기분장애(우울증 및 조울증) 혹은 걱정을 호소했다[20].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91%가 미국에서 대마초를 사용했으며, 네덜란드에서는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가 대마초 이용 증가의 원인이었다[20].
3.2. 신체 건강
2개의 연구에서 신체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약물남용이 많았다. 이들은 이전에 대마초를 남용한 자들로, 더 많은 대마초를 이용하였다. 현재 의학적 용도로 대마초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더 많은 양을 소비하였다[22].
3.3. 지루함 및 외로움
대유행 동안 2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지루함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있다. 이에 의하면 지루함 때문에 처방된 대마초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지루함이 대마초를 더 많이 사용하는 제일 큰 이유였다. 또 다른 하나는 외로움/고립됨이 이유였다. 파티가 줄어들고 밤 활동이 감소하면서 만나는 친구가 적고 외로움이 생기는 것이 대마초를 더 찾는 이유였다.
3.4. 인구통계학적 요소
아르헨티나에서 대유행 중 남자들이 격리 중 더 많은 약물을 복용하였다[22]. 비슷하게 미국에서 비치명적인 아편류 남용으로 남자들이 격리 기간 중 응급실을 더 많이 찾았다. 반대로 캐나다와 네덜란드에서는 여자들의 대마초 사용률이 증가하였다. 미국에서 격리 기간 중 인종별로 흑인 환자가 아편류 남용이 전해보다 더 늘었다. 비슷한 예로 히스패닉(21.9%) 혹은 흑인(18.4%)들의 약물남용이 3.33배 더 늘었다[23]. 18~24세의 연령층이 약물남용이 많았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빈도가 줄었다. COVID-19 이전보다 이후에 젊은 층이 더 늘었다. 또한 젊은 층(15~24세)이 나이가 더 많은 층(25세 이상)보다 약물남용이 많았다.
4. 치료 및 결론
이와 같은 상황을 볼 때 알코올 및 약물 남용 문제들의 치료가 시급하다. 특히 알코올남용이 더 문제이다. 이들의 남용을 관리하지 않으면 해당 개인과 가족에게 부정적 결과가 올 뿐만 아니라 건강 시스템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된다. 대유행 이후 경제와 사회의 재건을 위하여 약물남용의 치료와 진료의 문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할지가 중요하며, 증거에 입각한 투자가 중요하다[24]. 영국의 보건당국은 전체적인 혜택 비율이 2.5-1이라고 한다. 대유행 중 문제가 되는 남용에 대해 표적화 및 증거에 입각한 치료가 이후 기간 동안 중요하며, 이는 개인 생활과 가정을 위함과 동시에 사회와 건강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을 줄일 것이다.
References
1. Czeisler, M.´E., Lane, R.I., Petrosky, E., Wiley, J.F., Christensen, A., Njai, R., Weaver, M. D., Robbins, R., Facer-Childs, E.R., Barger, L.K., Czeisler, C.A., 2020. Mental health, substance use, and suicidal ide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United States, June 24?30, 2020. Morb. Mortal. Wkly. Rep. 69 (32), 1049?1057.
2. Brooks, S.K., Webster, R.K., Smith, L.E., Woodland, L., Wessely, S., Greenberg, N., Rubin, G.J., 2020. The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and how to reduce it: rapid review of the evidence. The Lancet 395 (10227), 912?920.
3. Carrico, A.W., Horvath, K.J., Grov, C., Moskowitz, J.T., Pahwa, S., Pallikkuth, S., Hirshfield, S., 2020. Double jeopardy: methamphetamine use and HIV as risk factors for COVID-19. AIDS Behav. 1.
4. Lapeyre-Mestre, M., Boucher, A., Daveluy, A., Gibaja, V., Jouanjus, E., Mallaret, M., Peyri`ere, H., Micallef, J., Bouquet, E., Chaouachi, L., Chevallier, C., 2020. Addictovigilance contribution during COVID-19 epidemic and lockdown in France. Therapies 75 (4), 343?354.
5. Mot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J. Clin. Epidemiol. 62 (10), 1006?1012.
6.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21.109150.
7.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8. Yazdi, K., Fuchs-Leitner, I., Rosenleitner, J., Gerstgrasser, N.W., 2020.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relapse. Front. Psychiatry 11, 1470.
9. Knell, G., Robertson, M.C., Dooley, E.E., Burford, K., Mendez, K.S., 2020. Health behavior changes during COVID-19 pandemic and subsequent “stay-at-home” ord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 (17), 6268.
10. Vanderbruggen, N., Matthys, F., Van Laere, S., Zeeuws, D., Santermans, L., Van den Ameele, S., Crunelle, C.L., 2020. Self-reported alcohol, tobacco, and Cannabis use during COVID-19 lockdown measures: results from a web-based survey. Eur. Addict. Res. 26 (6), 309?315.
11. đogaˇs, Z., Kalcina, L.L., Dodig, I.P., Demirovi´c, S., Madirazza, K., Vali´c, M., Pecoti´c, R., 2020. The effect of COVID-19 lockdown on lifestyle and mood in Croatian general population: a cross- sectional study. Croat. Med. J. 61 (4), 309.
12.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13. Gritsenko, V., Skugarevsky, O., Konstantinov, V., Khamenka, N., Marinova, T., Reznik, A., Isralowitz, R., 2020. COVID 19 fear, stress, anxiety, and substance use among Russian and Belarusian University students. Int. J. Ment.Health Addict. 1?7.
14. Ahmed, M.Z., Ahmed, O., Aibao, Z., Hanbin, S., Siyu, L., Ahmad, A., 2020. Epidemic of COVID-19 in China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Problems. Asian J. Psychiatry, 102092.
15.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16. Rolland, B., Haesebaert, F., Zante, E., Benyamina, A., Haesebaert, J., Franck, N., 2020. Global changes and factors of increase in caloric/salty food intake, screen use, and substance use during the early COVID-19 containment phase in the general population in france: survey study. JMIR Public Health Surveill. 6 (3), e19630.
17.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21.109150.
18 Hawke, L.D., Barbic, S., Voineskos, A., Szatmari, P., Cleverley, K., Hayes, E., Relihan, M. D., Courtney, D., Cheung, A., Darnay, K., Henderson, J.L., 2020. Impacts of COVID- 19 on youth mental health, substance use, and wellbeing: a rapid survey of clinical and community samples. Can. J. Psychiatry 65, 701?709.
19. Knell, G., Robertson, M.C., Dooley, E.E., Burford, K., Mendez, K.S., 2020. Health behavior changes during COVID-19 pandemic and subsequent “stay-at-home” ord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 (17), 6268.
20. Martinotti, G., Alessi, M.C., Di Natale, C., Sociali, A., Ceci, F., Lucidi, L., di Giannantonio, M., 2020. Psychopathological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substance user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period in Italy. Front. Psychiatry 11, 896.
21. Van Laar, M.W., Oomen, P.E., Van Miltenburg, C.J., Vercoulen, E., Freeman, T.P., Hall, W.D., 2020. Cannabis and COVID-19: reasons for concern. Front. Psychiatry 11, 1419.
22. Boehnke, K.F., McAfee, J., Ackerman, J.M., Kruger, D.J., 2020. Medication and substance use increases among people using cannabis medical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 J. Drug Policy, 103053.
23. Ballivian, J., Alcaide, M.L., Cecchini, D., Jones, D.L., Abbamonte, J.M., Cassetti, I., 2020. Impact of COVID?19-related stress and lockdown on mental health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in Argentina. J. Acquired Immune Defic. Syndr. 85 (4), 475?482.
24. Glasner-Edwards, S., Rawson, R., 2010. Evidence-based practices in addiction treat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ublic policy. Health Policy 97 (2?3), 93?104.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 연구 및 치료
이재현, jaelee122@hanmail.net
한국산업기술진홍협회
Key Words
영문 키워드. COVID-19, Alcohol abuse, Substance abus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한글 키워드. 코로나-19, 알코올남용, 약물남용, 정신건강, 신체건강
1. 서론
SARS-CoV-2(COVID-19)의 세계 대유행은 우리 생활에서 정신건강 이상 같은 질병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1]. 이 질병의 만연에서 확대를 막기 위하여 격리와 같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개인들의 정신건강은 다양하여 근심 걱정, 우울증, 스트레스 후 증후군, 자해 및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2]. 이러한 요인들은 타 건강 관련 태도들에 영향을 미쳐, 알코올 및 타 약물 남용으로 이어진다[3].
재난 중에 스트레스와 근심은 이를 견디기 위하여 약물남용을 가져온다[4]. COVID-19 관련한 근심과 두려움이 약물남용의 증가와 시작을 유도한다. 약물 거래가 봉쇄의 영향으로 감소하여 약물 소비가 줄어들고 약물이 희귀해진다는 의견도 있다[5]. 조사 방법으로 그림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6].
2. 알코올남용
범유행 동안 알코올남용 위험 요인은 여러 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정신건강, 성별, 나이, 고독, 자손, 느낀 위험 및 정신적 고통, 충동성, 신체 건강, 교육, 소득 손실 및 covid-19로 앓는 사람과의 관계 등이다. 알코올남용에 관한 연구 방법이 다양하여 정량적인 메타분석이 적당하지 않으므로, 신체 및 정신 건강 및 함께 일어나는 중독 특성을 다음에 서술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표 1에는 질문에 의한 알코올남용 사례를 열거하였다[7].
그림 1. 체계적인 리뷰에서 각각 다른 단계의 전보 흐름도
?
표 1. 질문에 답한 알코올남용 사례들
2.1. 정신건강
정신건강 위험은 대체로 음주가 많은 것과 연관된다. 걱정 (및 실망)이 음주의 가장 많은 이유이다[8]. 신체적 고통이 많으면 음주와 관련되며, 중간 및 심한 우울증이 약한 우울증보다 더 많은 음주를 유도한다. 음주병을 앓는 사람은 심리적인 covid-19 요인이 있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음주병이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알코올 소비와 갈망 및 정신적 충격 후 장애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9].
2.2. 신체 건강
두 연구가 있는데, 신체 건강 악화는 많은 음주와 관계가 있고, 알코올 소비의 변화는 BMI와 연관된다. 즉 과체중/비만인 자들은 그렇지 않은 자보다 알코올 섭취량을 줄이지 못한다[10]. 같은 맥락에서 신체 운동이 적고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이 음주가 심하다.
2.3. 지루함 및 외로움
격리/자가-고립 상태의 사람들은 보통 사람보다 더 많은 음주를 한다. 같은 경우인 혼자 사는 사람들은 대유행을 견디기 위하여 외로움으로 음주를 더하며 반복 음주가 심하다. 사회적 접촉이 적은 사람들은 또한 약물남용이 심하였다[11].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자가격리는 낮은 음주율을 보였다.
2.4. 인구통계학적 요소
남자들이 COVID-19 유행 중 음주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들이 일주일에 15번 이상 음주를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2]. 반대로 여자들이 대유행 중에 보통 때보다 더 많이 마시지만, 남자들이 술을 폭음한다는 보고도 있다[13]. 캐나다에서는 성별로 볼 때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술을 더 마신다는 보고가 있다. 러시아에서 대유행 중 폭음이 7.1%에 달했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았다[14]. 중국에서는 위험한 그리고 의존성 있는 음주의 비율이 남자가 여자보다 6배 더 많았다[15]. 반대로 폴란드에서 여자들이 더 자주 그리고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술을 마셨다[16]. 흥미로운 연구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 대학을 나온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술을 적게 마셨다[17]. 전체적인 알코올 및 약물남용은 다음 표 2와 같다.
?
표 2. COVID-19 대유행 동안 알코올 및 약물 남용 사례들[17]
3. 약물남용 양상
약물남용은 선택한 45개 연구 중 17개(37.7%)가 있었다. 더 나아가 4개(8.8%)의 연구가 약물남용이었다. 즉 알코올, 법적 또는 불법적 약물들, 혹은 의사가 추천하지 않은 처방된 약물[18], 혹은 확실하지 않은 약물 사용 혹은 남용이었다. 연구에 주로 사용된 약물은 대마초(n = 11), 아편류(n = 5) 일반 혹은 오락 약물(n = 4), 헤로인(n = 3), methamphetamine(n = 3), 진정제 혹은 수면제(n = 3), 코카인(n = 3), MDMA(n = 2), 케타민(n = 1), 벤조디아제핀(n = 1), 흥분제(n = 1), 암페타민(n = 1), 처방된 약물(n = 1), 합성 대마초류(n = 1), GHB(n = 1), 펜타닐(n = 1) 및 진통제(n = 1) 등이다.
3.1. 정신건강
5개 연구의 참여자들에 의하면 정신건강은 대부분 높은 약물남용에 의하여 일어난다. 한 연구에 의하면, 마리화나 사용의 변화 및 사용 증가는 중증 및 심각한 우울증을 가져왔다[19]. 이전에 혹은 현재 약물남용 및 도박 문제를 경험했던 사람들은 대유행 중에 동반 정신병 조건, 특히 기분장애(우울증 및 조울증) 혹은 걱정을 호소했다[20].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91%가 미국에서 대마초를 사용했으며, 네덜란드에서는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가 대마초 이용 증가의 원인이었다[20].
3.2. 신체 건강
2개의 연구에서 신체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약물남용이 많았다. 이들은 이전에 대마초를 남용한 자들로, 더 많은 대마초를 이용하였다. 현재 의학적 용도로 대마초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더 많은 양을 소비하였다[22].
3.3. 지루함 및 외로움
대유행 동안 2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지루함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있다. 이에 의하면 지루함 때문에 처방된 대마초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지루함이 대마초를 더 많이 사용하는 제일 큰 이유였다. 또 다른 하나는 외로움/고립됨이 이유였다. 파티가 줄어들고 밤 활동이 감소하면서 만나는 친구가 적고 외로움이 생기는 것이 대마초를 더 찾는 이유였다.
3.4. 인구통계학적 요소
아르헨티나에서 대유행 중 남자들이 격리 중 더 많은 약물을 복용하였다[22]. 비슷하게 미국에서 비치명적인 아편류 남용으로 남자들이 격리 기간 중 응급실을 더 많이 찾았다. 반대로 캐나다와 네덜란드에서는 여자들의 대마초 사용률이 증가하였다. 미국에서 격리 기간 중 인종별로 흑인 환자가 아편류 남용이 전해보다 더 늘었다. 비슷한 예로 히스패닉(21.9%) 혹은 흑인(18.4%)들의 약물남용이 3.33배 더 늘었다[23]. 18~24세의 연령층이 약물남용이 많았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빈도가 줄었다. COVID-19 이전보다 이후에 젊은 층이 더 늘었다. 또한 젊은 층(15~24세)이 나이가 더 많은 층(25세 이상)보다 약물남용이 많았다.
4. 치료 및 결론
이와 같은 상황을 볼 때 알코올 및 약물 남용 문제들의 치료가 시급하다. 특히 알코올남용이 더 문제이다. 이들의 남용을 관리하지 않으면 해당 개인과 가족에게 부정적 결과가 올 뿐만 아니라 건강 시스템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된다. 대유행 이후 경제와 사회의 재건을 위하여 약물남용의 치료와 진료의 문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할지가 중요하며, 증거에 입각한 투자가 중요하다[24]. 영국의 보건당국은 전체적인 혜택 비율이 2.5-1이라고 한다. 대유행 중 문제가 되는 남용에 대해 표적화 및 증거에 입각한 치료가 이후 기간 동안 중요하며, 이는 개인 생활과 가정을 위함과 동시에 사회와 건강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을 줄일 것이다.
References
1. Czeisler, M.´E., Lane, R.I., Petrosky, E., Wiley, J.F., Christensen, A., Njai, R., Weaver, M. D., Robbins, R., Facer-Childs, E.R., Barger, L.K., Czeisler, C.A., 2020. Mental health, substance use, and suicidal ide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United States, June 24?30, 2020. Morb. Mortal. Wkly. Rep. 69 (32), 1049?1057.
2. Brooks, S.K., Webster, R.K., Smith, L.E., Woodland, L., Wessely, S., Greenberg, N., Rubin, G.J., 2020. The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and how to reduce it: rapid review of the evidence. The Lancet 395 (10227), 912?920.
3. Carrico, A.W., Horvath, K.J., Grov, C., Moskowitz, J.T., Pahwa, S., Pallikkuth, S., Hirshfield, S., 2020. Double jeopardy: methamphetamine use and HIV as risk factors for COVID-19. AIDS Behav. 1.
4. Lapeyre-Mestre, M., Boucher, A., Daveluy, A., Gibaja, V., Jouanjus, E., Mallaret, M., Peyri`ere, H., Micallef, J., Bouquet, E., Chaouachi, L., Chevallier, C., 2020. Addictovigilance contribution during COVID-19 epidemic and lockdown in France. Therapies 75 (4), 343?354.
5. Mot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J. Clin. Epidemiol. 62 (10), 1006?1012.
6.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21.109150.
7.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8. Yazdi, K., Fuchs-Leitner, I., Rosenleitner, J., Gerstgrasser, N.W., 2020.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relapse. Front. Psychiatry 11, 1470.
9. Knell, G., Robertson, M.C., Dooley, E.E., Burford, K., Mendez, K.S., 2020. Health behavior changes during COVID-19 pandemic and subsequent “stay-at-home” ord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 (17), 6268.
10. Vanderbruggen, N., Matthys, F., Van Laere, S., Zeeuws, D., Santermans, L., Van den Ameele, S., Crunelle, C.L., 2020. Self-reported alcohol, tobacco, and Cannabis use during COVID-19 lockdown measures: results from a web-based survey. Eur. Addict. Res. 26 (6), 309?315.
11. đogaˇs, Z., Kalcina, L.L., Dodig, I.P., Demirovi´c, S., Madirazza, K., Vali´c, M., Pecoti´c, R., 2020. The effect of COVID-19 lockdown on lifestyle and mood in Croatian general population: a cross- sectional study. Croat. Med. J. 61 (4), 309.
12.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13. Gritsenko, V., Skugarevsky, O., Konstantinov, V., Khamenka, N., Marinova, T., Reznik, A., Isralowitz, R., 2020. COVID 19 fear, stress, anxiety, and substance use among Russian and Belarusian University students. Int. J. Ment.Health Addict. 1?7.
14. Ahmed, M.Z., Ahmed, O., Aibao, Z., Hanbin, S., Siyu, L., Ahmad, A., 2020. Epidemic of COVID-19 in China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Problems. Asian J. Psychiatry, 102092.
15. Silczuk, A., 2020. Threatening increase in alcohol consumption in physicians quarantined due to coronavirus outbreak in Poland: the ALCOVID survey. J. Public Health 42 (3), 461?465.
16. Rolland, B., Haesebaert, F., Zante, E., Benyamina, A., Haesebaert, J., Franck, N., 2020. Global changes and factors of increase in caloric/salty food intake, screen use, and substance use during the early COVID-19 containment phase in the general population in france: survey study. JMIR Public Health Surveill. 6 (3), e19630.
17.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21.109150.
18 Hawke, L.D., Barbic, S., Voineskos, A., Szatmari, P., Cleverley, K., Hayes, E., Relihan, M. D., Courtney, D., Cheung, A., Darnay, K., Henderson, J.L., 2020. Impacts of COVID- 19 on youth mental health, substance use, and wellbeing: a rapid survey of clinical and community samples. Can. J. Psychiatry 65, 701?709.
19. Knell, G., Robertson, M.C., Dooley, E.E., Burford, K., Mendez, K.S., 2020. Health behavior changes during COVID-19 pandemic and subsequent “stay-at-home” ord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 (17), 6268.
20. Martinotti, G., Alessi, M.C., Di Natale, C., Sociali, A., Ceci, F., Lucidi, L., di Giannantonio, M., 2020. Psychopathological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substance user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period in Italy. Front. Psychiatry 11, 896.
21. Van Laar, M.W., Oomen, P.E., Van Miltenburg, C.J., Vercoulen, E., Freeman, T.P., Hall, W.D., 2020. Cannabis and COVID-19: reasons for concern. Front. Psychiatry 11, 1419.
22. Boehnke, K.F., McAfee, J., Ackerman, J.M., Kruger, D.J., 2020. Medication and substance use increases among people using cannabis medical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 J. Drug Policy, 103053.
23. Ballivian, J., Alcaide, M.L., Cecchini, D., Jones, D.L., Abbamonte, J.M., Cassetti, I., 2020. Impact of COVID?19-related stress and lockdown on mental health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in Argentina. J. Acquired Immune Defic. Syndr. 85 (4), 475?482.
24. Glasner-Edwards, S., Rawson, R., 2010. Evidence-based practices in addiction treat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ublic policy. Health Policy 97 (2?3), 9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