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재료

도전성 폴리머계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 (전문가 보고서)

1. 분석자 서문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는 전통적인 커패시터와 같은 원리이지만, 구부릴 수 있으면서도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최첨단 전자 기기로의 사용이 기대되고 있다. 도전성 폴리머는 높은 비용량과 폴리머 고유의 신축성이 기대되어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용 재료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여러 종류의 도전성 폴리머계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의 특성, 제조 방법 및 디자인 콘셉트 등을 정리하였으며, 최근의 연구 개발 성과 및 앞으로의 개발 방향 등을 제안하고 있어 도전성 폴리머계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 연구에 참조가 될 것으로 보인다[1].
 

2. 목차

1. 서론
2.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 재료
3. 도전성 폴리머계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
3.1. Polyaniline(PAn)
3.2. Polypyrrole(PPy)
3.3. Polythiophene(PTh)와 그 파생물
4. 복합재 기반 플렉서블 슈퍼커패시터
4.1. 카본 나노튜브계 복합재
4.2. 그래핀/그래핀 산화물계 복합재
4.3. CC(carbon cloth)계 복합재
4.4. 금속산화물계 복합재
5. 도전
6. 현재의 노력과 미래 개발
7. 요약
References
 

3. 원문정보
1. I. Shown, A. Ganguly, L. Chen, K. Chen, Conducting polymer-based flexible supercapacitor. Energy Sci Eng. 3(1), 2-26 (2015).
2. Ryu, K. S., K. M. Kim, N.-G. Park, Y. J. Park, and S. H. Chang. 2002. Symmetric redox supercapacitor with conducting polyaniline electrodes. J. Power Sources 103:305.309.
3. Li, H., J. Wang, Q. Chu, Z. Wang, F. Zhang, and S. Wang. 2009.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pecific capacitance of polyaniline in sulfuric acid. J. Power Sources 190:578.586.
4. Kim,B.C. , J.S.Kwon, J.M.Ko, J.H.Park, C.O.Too, and G. G. Wallace. 2010. Preparation and enhanced stability of flexible supercapacitor prepared from nafion/ polyaniline nanofiber. Synth. Met. 160:94.98.
5. Fan, L.-Z., and J. Maier. 2006. High-performance polypyrrole electrode materials for redox supercapacitors. Electrochem. Commun. 8:937. 940.
6. An, H., Y. Wang, X. Wang, L. Zheng, X. Wang, L. Yi, et al. 2010. Polypyrrole/carbon aerogel composit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 J. Power Sources 195:6964. 6969.
7. Snook, G. A., and G. Z. Chen. 2008. The measurement of specific capacitances of conducting polymers using the quartz crystal microbalance. J. Electroanal. Chem. 612:140.146.
8. Laforgue, A., P. Simon, C. Sarrazin, and J.-F. Fauvarque. 1999. Polythiophene-based supercapacitors. J. Power Sources 80:142.148.
9. Gupta, V., and N. Miura. 2006. Influence of the microstructure on the supercapacitive behavior of polyaniline/single-wall carbon nanotube composites. J. Power Sources 157:616.620.
10. Li, P., E. Shi, Y. Yang, Y. Shang, Q. Peng, S. Wu, et al. 2014. Carbon nanotube-polypyrrole core-shell sponge and its application as highly compressible supercapacitor electrode. Nano Res. 7:209.218.

※ 이 자료의 분석은 현대자동차의 김경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코센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댓글 7

넷덤(netdom) 2015-04-19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넷덤(netdom) 2015-06-14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신명수(albert) 2015-07-03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최인애(sae0624) 2015-07-06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김경수(superenergy2015) 2015-11-24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이훈주(hoonjlee) 2017-02-26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게시

답글달기

문남윤(embulance) 2022-04-25

감사합니다.

게시

답글달기
비공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