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멤리스터 연구기관(UCSB, Purdue 대학) 방문

분야

응집물질물리

발행기관

민경식(mks@kookmin.ac.kr / 82-010-5699-8310)

발행일

2014-07-24~2014-07-28


UCSB의 Prof. Strukov 연구실에서는 멤리스터의 crossbar array를 제작하여 이의 pattern classification에의 응용에 관한 중요한 실험결과를 보이고 이를 2003년에 Nature에 발표함. 그 후에 crossbar array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음. Prof. Strukov 연구실에서는 TiO2 박막을 기반으로 해서 멤리스터 소자를 제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박막 물질에 대해서는 많이 고려를 하고 있지 않은 듯함. 여기에서는 멤리스터 crossbar와 CMOS 회로를 별도의 기판에서 제작하여 이를 wire로 연결하여 crossbar의 read 및 write 동작을 실험적으로 보이는 연구를 하고 있음. 실제 멤리스터 소자와 실제 CMOS 회로의 wire 연결을 통해서 실제 crossbar array의 동작을 연구하고 있고 이번 연구결과로 멤리스터 crossbar의 read 및 write 동작의 신경모방응용 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됨. Purdue Univ.의 Roy교수의 연구팀에서는 spin device를 이용해서 신경모방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에 관해서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음. 구현방법에는 spin device와 CMOS의 hybrid circuit을 이용해서 신경모방시스템을 구현하거나 아니면 spin device와 멤리스터 crossbar array를 조합해서 신경모방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음. 기존의 멤리스터 crossbar array를 이용해서 신경모방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에, neuron을 어떻게 구현하는 가에 대한 문제가 있었는데, spin device를 활용함으로써 neuron의 구현에 대한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이 그룹의 연구의 중요성이 있음. 또한 spin device의 self-oscillation 특성을 이용하여 spiking neural network을 구현하려고 하는 시도도 계속되고 있는데, self-oscillation 특성은 멤리스터 단독으로만 회로를 만들 경우에는 발생할 수 없는 현상이기 때문에, spin device와 멤리스터의 조합이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