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요 약 문
1. 제 목: 국제 원자력 안전기준의 변화?전망과 국내 원자력 발전 안전의 국제 선도화 방안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원자력의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사고시 재해가 해당국가는 물론 주변국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원자력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약30%를 원자력 발전으로 충당하고, 병원, 산업체 등 약 4천2백여 기관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원전의 추가 건설 등에 따라 원자력 안전 및 방호에 국민적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원자력 안전에 대한 대국민 신뢰기반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IAEA는 원자력 안전기준 개발을 통해 원자력 발전 운영국가 및 잠재적으로 원자력 건설 운영 국가들에 자국의 안전기준에 반영할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원자력 안전 및 방호 역량 강화를 위해 GNSSN, ANSN, FORO 등 지역별 원자력 안전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 따라서, 국제적 원자력 안전 기준인 IAEA의 원자력 안전기준 제ㆍ개정의 동향을 조사ㆍ분석 및 전망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원전 안전기준에 반영, 안전시스템을 견고히 함으로써 국내적으로 원자력 안전에 대한 대국민 신뢰 기반을 구축하고 국제적으로는 IAEA원자력 안전기준을 모범적으로 이행 하므로써 우리나라의 원전 안전 신뢰도 제고는 물론 원전수출의 우위를 도모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STEM 교육에서 AI 활용 현황 및 전망
-
[코센리포트] 기계학습에서 3D 재건의 동향
-
[동향보고서] JPEG Pleno Holography 표준화 현황
-
[동향보고서]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67(2023.03.27)
-
[동향보고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
[코센리포트] 세계 원자력발전소의 최신 동향 및 전망
-
[코센리포트]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 및 방사능 유출 피해
-
[코센리포트]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유산: 다각적 영향 및 권고사항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