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현황과 육성 전략


목적
우리나라 4대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인 세라믹소재의 3D 프린팅 관련 최신 기술현황을 소개하고
First mover 기술로서의 국내 세라믹소재 3D 프린팅 기술을 조명함으로서
선진국 대비 미미한 기술격차에 불과한 국내의 세라믹소재 3D 프린팅산업 전반을 조망하며 선제적인  정부지원 필요성을 주창하고자 함


주요현황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13)에서의 언급을 계기로 글로벌 이슈화된 3D 프린팅 산업은 거의 대부분  고분자와 일부의 금속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세라믹은 고유의 소재특성상 그 응용에  한계를 보이고 있음
고분자소재 3D 프린팅 기술개발이 34년 전에 시작된 반면 세라믹소재는 최근에야 그 적용 가능성이 시도되고  있으며, 여전히 프린팅 후 탈지·소결 공정이 필수적인 이유로 인해 연구개발 성과는 미미한 실정임
최근의 가히 폭발적인 3D 프린팅 기술 발전으로 세라믹소재가 새롭게 주목받으며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으나, 세라믹소재에 최적화된 장비와 소재 개발은 여전히 답보상태임



자료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5-8호-이슈6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URL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keit.re.kr/article.do?psStep=view&psPage=1&bbsCD=itep_data1_bor&shSearch=&shKeyword=&shCategoryCD=PD%C0%CC%BD%B4%B8%AE%C6%F7%C6%AE&shUserID=&gbn=04_32&BIdx=109867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