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기계,재료
발행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발행일
2020.11.09
URL
국내 제조업 경쟁력 지수 하락과 글로벌 제조업 증가세 둔화로 스마트 제조 도입이 적극 필요. GDP 대비 국내 제조업 비중은 27.5%로써, 세계 2위(`19년 기준), OECD 회원국 중 1위로 한국은 제조업 중심국가이나 한국의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는 `10년 3위→ `20년 6위로 하락 전망. 세계 경제포럼은 제조업 혁신을 위해 `18년부터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을 발표, 한국의 등대공장은 1개(포스코) (`20.1 기준).
□ 글로벌 스마트 제조 시장은 2025년 3,800억 달러로 전망되는 거대 시장
ㅇ IIoT -> 디지털 트윈 -> AI -> 산업보안 등 순으로 시장이 형성될 전망
- IIoT는 스마트 제조의 중추 산업을 형성하여 800억 달러로 전망(`25년)
- Digital Twin은 스마트 제조 활용의 최종 단계로써 190억달러 이상 전망(`25년)
- 기술적 성숙이 전망되는 `25년에는 적극적인 AI도입이 예상되어 170억 달러로 전망되고, OT보안(산업보안)은 160억 달러로 전망(`25년)
ㅇ 국내 시장규모는 `20년에는 12.4조 원, `25년까지는 21.9조 원이 예상되며, 연간 12.1%의 높은 성장률로 성장 속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
□ D.N.A.를 기반으로 관련 분야별로 산업 생태계가 형성 중
ㅇ (Data 분야) IIoT플랫폼 기반의 종합 솔루션으로 시장을 공략 중
- SW 전문기업은 SaaS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고, 제조기반 기업은 PaaS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솔루션 제공
- `10년 최초의 산업시설 공격사례인 Stuxnet 이후로 해킹은 IT영역에서 OT영역으로 공격 범위를 확장 추세
ㅇ (Network 분야) 유선은 TSN기반 산업용 이더넷, 무선은 5G 적용이 대두
- 산업용 유선네트워크는 Fieldbus의 호환성 및 속도제약 등으로 TSN 기반 산업용 Ethernet으로 전환 중
- 3GPP는 5G시스템이 TSN(Time Sensitive Network)을 접목한 표준을 추진 중
ㅇ (AI 분야) 스마트 제조에서의 AI 역할은 상태 감지→진단→예측→조치
- 글로벌 기업 (GE, GM, Nokia) 및 국내 대기업 중심으로 품질 향상,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공격적으로 AI 도입 중
□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ㅇ 공장자동화와 IIoT, Edge, Cloud, Digtial Twin, AI, Network, 산업보안 등 ICT전반의 기술이 결합된 기간산업임과 동시에 융합산업으로 부처 칸막이 없는 종합R&D 지원이 필요
ㅇ 데이터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제조 데이터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이 필요
ㅇ 5G 관련 정책을 무선 네트워크로 확장하여 스마트 제조의 산업용 무선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확대 전환이 필요
CONTENTS ///////////////////////////////////////////
1. 스마트 제조의 개요
2. 배경
3. 스마트 제조 시장 전망
4. DNA 활용 동향
가. Data 분야
나. Network 분야
다. AI 분야
5. 결론 및 시사점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ICT Spot Issue (2020-14호)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STEM 교육에서 AI 활용 현황 및 전망
-
[동향보고서] 산업용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술 동향
-
[코센리포트] 현장 중심의 RPA 기술 동향과 2021 추진 과제
-
[코센리포트] 사물인터넷 측면에서의 디지털트윈 기술 특징
-
[동향보고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의 운영인력 양성정책 지원
-
[코센리포트] 멀티 클라우드 기술 개요 및 시장동향
-
[코센리포트] 클라우드 위협 동향과 서비스형 보안(SECaaS) 전략
-
[코센리포트] 훈련면역: 정상과 질병에서 선천성면역기억 프로그램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