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2022년에 그간 연구개발된 결과물을 실제 도시에 실증하며,
기능을 검증하거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여 연구개발된 결과물이 도시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트윈 기술의 필수적인 기능 중 하나인 데이터 현행화를 통한
실-가상세계 간 지속적인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자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후로는, 세종시뿐만 아니라 데이터상으로 세종시와 유출·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대전, 청주, 천안, 공주 외 기타 도시로 보다 상세한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기능을 확장하여 다중 도시 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 수립 지원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추진하고자 한다.
본 고를 통해 데이터 처리, IoT, 통신,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2D/3D/VR/AR 시각화 등
다양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기술의 개념과
디지털트윈 기술이 제조 분야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 분야 중에는 도시 정책 분야도 있음을 글로벌 사례와 세종시의 도시 행정 디지털트윈 연구개발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트윈 기술의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트윈은 다양한 분야에서 증거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위해 공공정책 분야와 디지털트윈 기술 분야 간 다양한 형태의 융합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와 도시 정책을 위한 디지털트윈 기술은 국토교통부 산하의 지하공동구, 3D 도로정밀지도 등 정밀 인프라 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행위자 기반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제조 디지털트윈 등이 있는데,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트윈 기술 간에도 융합형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국가사회 디지털트윈 구축과 정책적 활용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증거 기반 정책 수립,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데이터 현행화, 실-가상세계 실시간 동기화, 도시 현상 모사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및 시뮬레이션 기반 예측, 정책 수립을 위한 시각화
ABSTRACT
National and social issu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but traditional policy-making methods are no longer effective. Therefore, evidence-based policy making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paradigm. Digital twin technology is one of the digital support tools for the new data-driven policy-making process.
This study presents ongoing government experiments in the world where digital twin technology is applied to policy making and describes our experience in developing digital twin platforms in Sejong—the de facto administrative capital of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1. 국가사회문제 정책 대응의 어려움
2. 증거 기반 정책 수립의 필요성
3. 증거 기반 정책과 정보통신기술
Ⅱ. 디지털트윈 기술
1. 개념 이해
2. 디지털트윈 기술 개념의 시작
3. 디지털트윈 기술의 성장 동인
가. 사람의 인지적 한계 극복의 수단
나. 이종 데이터간 융합의 도구
다. 시계열 시각화 도구
라. 다양한 기술을 연결할 수 있는 도구
4. 디지털트윈 기술의 현재 성숙도 수준
5. 도시정책 디지털트윈 고려사항
Ⅲ. 도시정책 디지털트윈 사례
1. 버추얼 싱가포르 프로젝트
2. 중국 항저우 시티 브레인 프로젝트
Ⅳ. 세종시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프로젝트
1. 세종시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개요
2. 세종시의 정책 요구사항
3. 세종시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현황
가. 추진 핵심 개념
나. 행위자 기반 이동행태를 표현하는 디지털트윈 구축 방법
다. 디지털트윈 모사 결과 및 현재 수준
4. 세종시 공영자전거 운영 적용 사례
5. 향후 추진 계획
Ⅴ. 결론
* 출처 : 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6권 제2호 통권 189호 2021년 4월호
디지털트윈 기술의 도시 정책 활용 사례(세종시 도시행정 디지털트윈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정영준, 조일연, 이정우, 김범호, 이성호, 임창규, 이천희, 백의현, 진기성, 김영철, 이상민,
최민석, 김태호, 장민주, 김산옥, 김혜경, 정승준, 이선영, 안주혁
┃차세대시스템SW연구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리포트
-
[동향보고서] [글로벌ICT이슈] 뉴노멀시대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동향
-
[코센리포트] 메타버스 최신기술동향 및 시장 전망
-
[코센리포트] AI 및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신기술 개발 사례
-
[동향보고서] 도시 규모 서비스 공간에서의 이동로봇 내비게이션 기술
-
[동향보고서] 디지털 트윈의 기술적 정의와 세부적 발전 5단계 모델
-
[코센리포트] 사물인터넷 측면에서의 디지털트윈 기술 특징
-
[코센리포트] 디지털트윈 기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전략
-
[코센리포트] 디지털 트윈 기술과 원자력 발전소 적용 현황
-
[코센리포트] 디지털트윈 기술, 사례 및 표준화 동향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