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백신, 항체, 단백질의약품, 유전자 치료제 등의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관련 시장 및 생산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에 사용되는 소재, 부품 및 장비 시장 또한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에 있다. 바이오의약품의 생산 공정의 downstream에 서는 대부분 크로마토그래피와 여과 공정을 통해 최종 바이오의약품의 분리정제가 이루어지며, 특히 열화학적 안정성이 낮은 바이오 제품 특성상 여과 공정에 사용되는 필터가 핵심 소재로 생산 공정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적용되는 필터는 제균필터(sterile filter), 바이러스필터(virus filter),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심층필터(depth filter), 에어필터(vent filter) 등 각각의 목적에 맞게 여러 단계에서 사용된다. 심층필터는 의약품에 생산에 사용된 세포를 회수하거나 제거하는 공정 (clarification)에 사용되며, 제균필터와 에어필터는 공정의 멸균성을 보장하기 위해, 바이러스 필터는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써 의약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외여과막은 분리정제된 의약품을 농축 및 제제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의 기공 크기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크게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심층필터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의 한외여과막까지 매우 다양하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리포트
-
[동향보고서] [바이오헬스산업브리프 Vol.432]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성장 동력 M&A의 국내외 동향분석
-
[동향보고서] 2025 바이오산업 전망 K바이오 핫이슈
-
[동향보고서]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
[코센리포트] 환경/철강/반도체/소재/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체분리막 활용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학회보고서] 고온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 기술 워크숍 - 재료 및 응용
-
[동향보고서] Fouling phenomena during membrane filtration of microalgae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