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미 중 반도체 갈등의 의미와 시사점

1. 배경

2. 미국의 대중 반도체 관련 법안 및 정책

3. 미 제재에 대한 중국의 반도체 산업 대응

4. 시사점
□ 중국, 미국 GDP 턱밑까지 올라온 경제력으로 글로벌 기술 패권에 도전
ㅇ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지속 성장하여 ‘21년 미국 GDP의 73.5%에 도달, `30년 이후에는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
ㅇ 중국의 과학기술력은 미래 성장동력 산업의 주요 분야 양자, 바이오, 통신 등에서 미국에 근접
□ CHIPS 법 : 미국의 반도체 제조 산업 재건을 위한 시동
ㅇ 자국 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집중 지원과 함께 CHIPS 지원금 수혜기업은 중국 등 다른 나라(중국, 북한, 이란 등 관심 대상국)에 첨단 반도체 시설 요소 도입 불가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국 주도의 주요국 협력 추진
ㅇ 글로벌 반도체 주요국 미국/일본/대만/한국의 반도체 산업 구조(생산-장비-소재·부품-후공정)는 상보적인 관계를 활용하여 반도체 공급망 강화
ㅇ 반도체 시장은 한, 미, 일, 대만 4개국이 메모리 97.9%, 시스템 반도체 86.6%로 점유중
□ 미국의 제재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는 중국
ㅇ 중국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설계 IP(ARM) 제재에 대한 대안으로, RISC-V에 적극적인 연구개발 추진
ㅇ 중국제조 2025를 통한 반도체 굴기는 현재 진행형, 설계·파운드리·장비 등의 분야에서 괄목한 성과를 산출하며 반도체 생태계 확보 중
ㅇ 중국은 7나노 이상 위주의 중저가형 반도체 제조 공장을 확충 추진
□ 시사점
ㅇ CHIPS 법은 설계 및 장비에 치중된 미국 반도체 산업을 제조 역량과 인력양성까지 포함하여 전방위로 육성하고자 하는 법안
ㅇ 미국의 반도체 법과 반도체 협력 추진으로 미국은 첨단공정 중심으로, 중국은 성숙공정 관련 반도체와 화합물 반도체 중심으로 경쟁 전망
ㅇ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경쟁 속에서, 메모리 중심으로 고착화된 우리 반도체 산업이 지속성장 하기 위한 새로운 해법 모색이 필요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