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
- 4
국가에서 비수도권 대학교에 5년간 천 억원, 매년 2백 억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100여개 대학이 지원하여 현재 예비로 15개 학교가 선정이 되었다고 하네요.
글로컬 대학선정을 계기로 국내 지방대학 (크게보면 대학교육, 대학원교육) 개편이 되려나요?
미국을 보면 각 주 별로 주립대나 연구중심 대학등이 잘 운영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어떤 식으로 변화를 줘야 인구감소에서 오는 지방대 소멸 위기를 해쳐나갈 수 있을까요?
코센에는 전세계 대학과 교육을 경험하신 분들이 계셔서 다른 나라의 사례도 궁금하네요.
우리는 인구감소가 두드러지기 전에도 사회 변화를 대학이 못따라가고 있다는 점에서 위기였던 것 같습니다만..
사회 전체적으로 서울 집중화가 심해져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게 쉬워보이지 않네요.
KOSEN 이슈토론에 의견을 작성해 보세요.
-
2023-07-26 익명
- 0
- 0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해당이슈는 해결되기 어렵다고 봅니다.
앞으로의 대학진학 예정인 인구에 비해서 대학수가 많은게 문제이니, 인구가 갑자기 증가하지 않는이상 대학을 줄이는 방법밖에는 없어보입니다. 5년간 천억이 아니라 1조를 투입해도 쉽지 않아보입니다.
-
2023-07-26 익명
- 0
- 1
물론 통폐합 하지 않고 각 대학 고유의 특성과 역사를 보존하는게 최선이게지만...
저출산으로 점점 줄어가는 학생수 때문에 통폐합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외국학생을 받는 방법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국내대학은 외국인에게 메리트가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2023-07-26 익명
- 0
- 1
지자체가 이루어진지 오래이지만 아직도 수도권 집중화, 대기업취업 선호, 학연, 지연 등이 오랜관습처럽 남아 있는 걸 부정할 수 없는 한 지방대학이 살아 남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 모든 문제들이 획기적으로 해결 될 수 있는 정책이나 행정이 나온다면 좋겠지만 기득권 문제, 당정, 당략, 선거제도, 양당정치(?) 상황이 맞물려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결국은 대학 스스로 자구책을 내야 하는데 재력과 인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역시 쉽지 않은 문제구요
지방에 있는 기업들과의 연계 또는 차세대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특성화 방안을 찾는 길이 어렵지만 하나의 자구책이 되지 않을까 의견을 내어 봅니다.
-
2023-07-22 손지훈(htlaz)
- 0
- 0
문제는 너무 많이 생겨버린 경쟁력 없는 지방 대학들을 지역별로 통합시켜 여러 대학들 중 쟁쟁력 있는 과 몇 개를 내세운
하나의 대학으로 만들어 내는 게 최선이라 생각합니다.
-
2023-07-17 익명
- 0
- 0
얼마전에 수도권 대학정원 규제를 23년만에 풀어서 정원이 817명 늘어났다고 합니다.
그만큼 지방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더 몰리게 되겠지요.
우리나라 전체를 장기적으로 바라보고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는데, 단기 실적에 급급한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
2023-07-04 익명
- 2
- 2
한국 대학은 취업하기 전 스팩 키우는 곳이라 지방 중점 대학을 만들고 재정적 지원을 한들 졸업하고 나서 취업을 할 수 있는 곳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기에 결국에는 수도권 대학 출신이 아니면 취업도 힘들죠. 수도권 상위권 대학 = 취업 보장 이 공식이 없어지지 않는 이상은 힘들 듯요. 대기업 연구소들도 지역 사회 활성화나 그런 이유로 지방으로 갔다가 유능한 인재들 안오니 다들 다시 수도권으로 옮기는 등...
지역 대학과 기업체가 연계되어 AI, 로봇, 반도체 등 특성화 대학이 되어 이쪽 출신들이 바로 기업체로 취업이 된다면 상생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차범(cblee) 2023-08-31지자체가 노력해야합니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데, 중앙정부에 또는 대기업에 의존하는 현상은 좋지 않습니다. 지자체가 지역 기업에 투자하고, 고용을 확대해서,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키워야합니다. 지방대학이 무너지면,,,과연 지자체 존재이유가 있을까요?
-
2023-07-03 익명
- 0
- 4
최근 신문기사보면,
정부가 16년간 약 280조원의 저출생 대응 예산을 쏟아부었음에도 출생아 수가 10년 전 절반 수준인 25만명 아래로 떨어진 뉴스와 같은 맥락에서 보면, 인구 감소 -> 지방대의 쇠퇴 -> 지방 경제의 붕괴 -> 우리나라의 미래 불투명...
혁신도시를 열심히 만들고, 지방 산업단지 활성화하고,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 열심히 다른 정책들과 함께 수도권 과밀화를 막기 위한 정책들을 펼쳤음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 아닐까 생각됩니다.
해결 방안보다는 구조조정과 같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게 ... 좋지 않을까요?
-
2023-06-30 강병언(kangbu)
- 0
- 3
대학 대상으로의 많은 지원은 분명 정책적 효과를 부여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다만, 지방 자치단체의 재정 자립도와 대학이 속한 지역에서의 존속에 대한 위기감 정도에 따라 지원 방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다만, 지역 인구 감소를 상쇄시킬 정도로의 학생 자원이 의미있게 증가될 것인가는 의문입니다. 또한, 그런 경향이 있다하더라도 LINC 3.0사업처럼 정부의 정책의 일관성이 깨어지는 사례가 다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책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여겨집니다.
인구 급증기의 대학 신고제는 전형적인 잘못된 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급증한 대학수 증가의 폐해가 지금 이어지고 있기에, 국립대의 통폐합 진행, 사립대의 통폐합 유도등 강제적 정책 수행으로 보다 강력한 구조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
2023-06-29 이종민(kjist98)
- 0
- 5
지방대학이 외부로부터 전폭적인 금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한다고 한다면
어쩔 수 없이 특성화 대학/학과로 개편을 하여 " 이 부분 만큼은 우리 대학이 최고다 " 하는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지금도 사실 이런 모토로 운영하는 지방 대학들이 일부 있구여.....
참고로 울산과기대, 광주과기원 같은 대학은 지방에 위치해 있지만 우수한 교수진과 학생들이 멀리 지방까지 내려오는 이유는
소규모 연구중심의 대학을 표방하고 있으며, 교육부 소속이 아닌 과기부 산하이기 때문에 교육부 대학과는 다른 전폭적인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는 것이어서 벤취마킹 대상으로는 적절하지 않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