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박막 증착 시간과 색깔과의 관계?

박막 증착 실험을 했습니다.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파랑에서 노랑쪽으로 색깔이 변하던데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박막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 thin fil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현주님의 답변

    >박막 증착 실험을 했습니다.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파랑에서 노랑쪽으로 색깔이 변하던데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박막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어떤 박막을 어떤 기판위에 증착하는 실험을 수행하셨는지 알 수 없어서 정확히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일 반적으로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전체 박막을 증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면, 박막의 두께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맞습니다. 실리콘 기판 위에 투명한 유전체 박막이 증착되면 유전체 박막의 윗면과 아래면에서의 반사되는 빛에 의한 간섭효과가 발생하면서 박막의 색상이 변하게 되며 또한 박막을 바라보는 각도가 변하여도 색상이 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색상의 변화는 기판의 광학적 특성(굴절율, 소멸계수)과 증착하는 유전체 박막의 굴 절률 및 두께에 따라 변하게 되며, 박막이 얇은 경우 관찰하신 바와 같이 자색 계열에서 녹색 계열로 박막의 색상 변화가 발생하지만 이후 박막이 두꺼워 지면 보다 복잡하게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정학한 조건 을 알지 못하면 색상 변화를 알 수 없습니다. 제가 앞에서 기판을 실리콘으로 한정하였으나, 다른 기판의 경우도 상기의 현상은 발생합니다. 단지 기판 의 굴절율 및 소멸계수와의 관계에 따라 투명한 기판의 경우 색상 변화가 뚜렷하지 못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기 때문에 실리콘 기판에 유전체 박막을 증착하느 경우로 설명하였음을 밝혀 드립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시면 다시 구체적으로 질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박막 증착 실험을 했습니다.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파랑에서 노랑쪽으로 색깔이 변하던데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박막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어떤 박막을 어떤 기판위에 증착하는 실험을 수행하셨는지 알 수 없어서 정확히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일 반적으로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전체 박막을 증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면, 박막의 두께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맞습니다. 실리콘 기판 위에 투명한 유전체 박막이 증착되면 유전체 박막의 윗면과 아래면에서의 반사되는 빛에 의한 간섭효과가 발생하면서 박막의 색상이 변하게 되며 또한 박막을 바라보는 각도가 변하여도 색상이 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색상의 변화는 기판의 광학적 특성(굴절율, 소멸계수)과 증착하는 유전체 박막의 굴 절률 및 두께에 따라 변하게 되며, 박막이 얇은 경우 관찰하신 바와 같이 자색 계열에서 녹색 계열로 박막의 색상 변화가 발생하지만 이후 박막이 두꺼워 지면 보다 복잡하게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정학한 조건 을 알지 못하면 색상 변화를 알 수 없습니다. 제가 앞에서 기판을 실리콘으로 한정하였으나, 다른 기판의 경우도 상기의 현상은 발생합니다. 단지 기판 의 굴절율 및 소멸계수와의 관계에 따라 투명한 기판의 경우 색상 변화가 뚜렷하지 못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기 때문에 실리콘 기판에 유전체 박막을 증착하느 경우로 설명하였음을 밝혀 드립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시면 다시 구체적으로 질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재일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저는 도원옵틱에 근무를 하는 이재일 이라고 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의 원인은 박막의 두께 변화에 따른 물리적인 현상입니다. 눈으로 볼수 있는 visible영역이라면, 박막의 두께변화로 인하여 투과율과, 반사율이 변합니다. 특정 파장에서의 반사율이높은 파장이 눈으로 볼수 있는 것입니다. 색을 다 합치면 검은색이 되죠. 빛을 다 합치면 white가 됩니다. 근데, 혹시 무슨일을 하시는 지요.
    안녕하십니까..... 저는 도원옵틱에 근무를 하는 이재일 이라고 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의 원인은 박막의 두께 변화에 따른 물리적인 현상입니다. 눈으로 볼수 있는 visible영역이라면, 박막의 두께변화로 인하여 투과율과, 반사율이 변합니다. 특정 파장에서의 반사율이높은 파장이 눈으로 볼수 있는 것입니다. 색을 다 합치면 검은색이 되죠. 빛을 다 합치면 white가 됩니다. 근데, 혹시 무슨일을 하시는 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박막 증착 실험을 했습니다.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파랑에서 노랑쪽으로 색깔이 변하던데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박막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박막에서 박막의 물질과 즈착 두께가 많이 작용합니다. 예로 구리를 박막하기 시작하면 검은 색의 썬글라스 새이 나타나지만 이때 옆으로 보면 구리 입자의 특유 색이 있다는거죠. 좀 더 박막이 진행되며 두께워 지면서 구리 특유 색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빛의 굴절이나 투과, 반사의 물리광학적인 현상입니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각 물질의 특유 성질 즉, 자외선 방지나 레이저 빔을 제작하기도하고 IR, X-ray detector, 등 무궁무진하죠. 일반적으로는 건물 창을 만들기도하는 데코레숀에 응용도 합니다. 이런 물질?l 증착의 두께에 따른 색 변화를 소프트웨어로 많들어 색 투괴 파장까지 실은 것도 있습니다.
    >박막 증착 실험을 했습니다.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파랑에서 노랑쪽으로 색깔이 변하던데요.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요? >박막의 두께와 관련이 있는건가요? 박막에서 박막의 물질과 즈착 두께가 많이 작용합니다. 예로 구리를 박막하기 시작하면 검은 색의 썬글라스 새이 나타나지만 이때 옆으로 보면 구리 입자의 특유 색이 있다는거죠. 좀 더 박막이 진행되며 두께워 지면서 구리 특유 색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빛의 굴절이나 투과, 반사의 물리광학적인 현상입니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각 물질의 특유 성질 즉, 자외선 방지나 레이저 빔을 제작하기도하고 IR, X-ray detector, 등 무궁무진하죠. 일반적으로는 건물 창을 만들기도하는 데코레숀에 응용도 합니다. 이런 물질?l 증착의 두께에 따른 색 변화를 소프트웨어로 많들어 색 투괴 파장까지 실은 것도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